View : 517 Download: 0

자연진통 및 Oxytocin 자극진통에 의한 모체 혈청과 태아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에 관한 연구

Title
자연진통 및 Oxytocin 자극진통에 의한 모체 혈청과 태아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에 관한 연구
Authors
안정자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자연분만과 자연진통 및 oxytocin 자극후에 시행한 제왕절개술시에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즉 합병증이 없는 만삭임부 87예가 대상이며 진통이 오기전의 임부 6예, oxytocin자극군 33예, 진통을 수반한 응급 제왕절개술 20예, 자연 질식분만 28예로 구분하였다.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는 방사면역측정법을 측정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통이 오지 않는 상태에서 시행한 선택적 제왕절개술시에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는 각각 163.8±14.8ng/ml, 23.8±3.4ng/ml였다. Oxytocin 단시간 자극군에서는 oxytocin자극후 30분에 모체와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oxytocin자극 40분후에는 289.6±21.4ng/ml 및 49.4±4.4ng/ml로 무진통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자연진통때를 관찰컨데, 초기에는 385.0±35.7ng/ml 및 54.5±6.5ng/ml로 혈청cortisol치가 무진통 상태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며 자연진통 말기에는 713.0±31.1ng/ml 및 136.6±11.2ng/ml로 더욱 증가되었다. 따라서 진통자극은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2. Oxytocin 단시가(40분간) 자극시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 증가의 비는 1:6.2로서 자연진통 자극시와 유사하였다. 3. 태아 제대정맥 혈청cortisol치의 증가는 모체 혈청cortisol치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during the spontaneous and oxytocin stimulated labor. Uncomplicated term pregnant women of eighty seven were taken part in for this study. These included 6 subjects prior to onset of labor, 33 subjects stimulated with oxytocin, 20 subjects who had cesarean section with onset of labor, and 28 cases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Serum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were determined by a specific and sensitive radioimmunoass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rum cortisol values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were 163.8±14.8ng/ml and 23.8±3.4ng/ml in women who had undergone elective cesarean section without onset of labor. Serum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started to increase at 30 min. after oxytocin stimulati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o 289.6±21.4ng/ml and 43.4±4.4ng/ml respectively at 40 min, after oxytocin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were moderately increased to 385.0±35.7ng/ml and 54.5±6.5ng/ml in the early stage of labor and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713.0±31.1ng/ml, 136.6±11.2ng/ml, respectively in the late stage of labor. 2. The ratio of the fetal to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 after oxytocin short-stimulation was 1:6.2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etal to maternal cortisol levels at spontaneous labor group. 3.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the increased fetal serum cortisol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corresponding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