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재연-
dc.creator하재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2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initiation interven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on fading verbal prompts from peer-initiation intervention without losing treatment effect.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ix peers without disabilities(3 for training/3 for generalization probe)were selected from one integrated kindergarten. Multiple baselines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Peers without disabilities were taught to make social initiation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n were provided verbal prompts for those initiations in play setting. After five-session training, visual feedback was provided to peers with verbal prompts in play setting. In the next phase, visual feedback was provided to peers without verbal prompts. When intervention session was over, generalization session was conducted in play settion which contained one child with disabilities, one trained peer, and one untrained peer.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after five to nine weeks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rough peer-initiation intervention, peer’s social initiations increased. 2. Through peer-initiation intervention,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reased. 3. Peer’ initiations and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to follow-up sessions. 4.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reased somewhat in another setting, but not as much as showed in intervention sessions. 5. When visual feedback was provided to peers without verbal prompts,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ontinued at the levels found during previous ph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r-initiation intervention could be effective at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peers. It also suggest that visual feedback could maintain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out verbal prompts.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적절한 적응과 발달을 위해서 일생동안 필요한 기술이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다른 기술들을 학습할 수 있는 유용한 상황을 제공해주므로 취학전 아동들이 성취해야할 중요한 발달 과제이다. 그런데 많은 취학전 장애아동들의 경우 또래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잘 참여하지 않으므로 또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장애아동에게 있어 또래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문제를 인식하고, 장애아동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자 또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또래아동들의 시작행동이 언어촉진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 유치원에 다니는 4-6세의 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장애아동들과 동일학급에 있는 6명의 비장애 또래아동들이 참여하였는데, 그 중 3명은 또래 시작행동 훈련을 받고 중재회기 및 일반화 회기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3명은 훈련을 받지 않고 일반화 회기에만 참여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3명의 또래아동들에게 차례로 사회적 시작행동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후 이루어진 놀이회기에서 처음에는 언어촉진만 제공하였고 그 다음에는 언어촉진과 시각적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시각적 피드백만 제공하였다. 그리고 중재를 통해 증가한 상호작용이 다른 상황으로 일반화가 이루어지는지 조사하였고 실험종료 후 5주에서 9주가 지난 다음에 유지검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시작행동 훈련과 언어촉진 및 시각적 피드백을 통하여 비장애 또래 아동들의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또래 시작행동 훈련과 언어촉진 및 시각적 피드백을 통하여 장애아동과 비장애 또래아동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셋째, 또래 시작행동 훈련과 언어촉진 및 시각적 피드백을 통하여 증가된 비장애 또래아동의 시작행동 및 장애아동과 또래아동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실험종료 후 5-9주가 지난 후에도 유지되었는데, 중재가 실시된 단계보다는 낮으나 기초선 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넷째, 장애아동 1과 장애아동 2의 경우 훈련받은 또래아동 및 훈련을 받지 않은 또래아동과 있을 때 상호작용을 보였으나 중재회기에서 보이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장애아동 3의 경우 일반화 회기에서 상호작용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시각적 피드백이 언어촉진과 함께 제공되다가 언어촉진 없이 시각적 피드백만 실시되었을 때에도 장애아동과 비장애 또래아동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전 단계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또래 시작행동 훈련과 촉진 및 시각적 피드백은 적어도 본 연구에 참여한 또래아동들의 사회적 시작행동, 그리고 장애아동과 또래아동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아무런 중재도 제공되지 않은 일반화 회기를 볼 때 장애아동과 또래아동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하긴 하나 중재회기 수준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장애아동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래아동을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각적 피드백은 언어촉진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장애아동과 또래아동 간의 상호작용을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을 때에도 중재효과가 유지되고 중재상황에서 증가된 사회적 상호작용 수준이 원적학급으로 일반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장애아동과 또래아동간 사회적 상호작용 = 6 1. 사회적 상호작용 = 6 2. 장애아동과 또래아동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성 = 6 3. 장애아동과 또래아동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 9 4. 장애아동과 또래아동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 = 11 B. 장애아동과 또래아동간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또래 시작행동 중재 = 13 1. 또래 시작행동 중재 = 13 2. 또래 시작행동 중재에 관한 연구들 = 14 3. 또래 시작행동 중재의 제한점 = 16 1) 일반화 = 16 2) 언어촉진에의 의존 = 18 4. 언어촉진에의 의존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각적 피드백 = 1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3 A. 대상장애아동 및 비장애 또래아동 선정 = 23 B. 실험 기간 = 25 C. 실험 환경 = 25 D. 실험설계 및 조건 = 26 1. 기초선 = 26 2. 또래 시작행동 중재 = 26 1) 1단계: 또래 시작행동 훈련과 언어촉진 = 29 2) 2단계: 시각적 피드백과 언어촉진 = 29 3) 3단계: 시각적 피드백 = 29 3. 일반화 = 29 4. 유지 = 30 E. 관찰 및 측정 = 30 F. 관찰자 신뢰도 = 32 Ⅳ. 연구 결과 = 33 A. 또래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 = 33 B.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 35 C. 일반화 = 38 D. 언어촉진 = 40 Ⅴ. 논의 및 제언 = 42 A. 논 의 = 42 1. 또래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 = 42 2.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 44 3. 유지 = 45 4. 일반화 = 46 5. 시각적 피드백 = 50 B. 제한점 및 제언 = 51 1. 제한점 = 51 2. 제 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67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18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title"또래아동 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