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정옥-
dc.creator곽정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6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92-
dc.description.abstractAs a part of the public health systems for the community, the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nutrition education indices such as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nutrition, and the Behavior-Diagnosis and the Food Environment as effective materials of the nutrition education in spreading the public health activities and nutrition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These materials were applied to a real community and their effects were measured respectively. In developing the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the KAP were newly established as follows: The attitude means the concept of one’s way of thought, the practice is the nutrition practice preparing for the practical nutrition, and the Behavior-Diagnosis is the practical intake of foods. And KAP, Behavior-Diagnosis, Environment developed as materials of evaluation and education different from when they were used only for the evaluation of nutrition. All the items of the sentence range from the basic knowledge to the newly developed knowledge in order with 100 score scale. The nutrition education was done for 33 persons including the chairwoman of the view’s association all of whom live in Sudong-Myeun, Namyangju-Kun, Kyungki-do, the demonstration area for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taken by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ollege. It has been performed eight times between April 3rd and May 30th, 1991, from 13:00 to 16:00 every thursday. We investigated actual conditions of objects about KAP, Behavior -Diagnosis and Environment seperately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or the evaluation, firstly we compared differences of scores of KAP and(Behavior-Diagnosis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assessing education effects, and analyzed correlation among the KAP and Behavior-Diagnosis, and also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know what has influence on the Behavior-Diagno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urned out as follows: 1. The comparison of the scores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with newly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showed significant in crease in the Knowledge(p<0.001), Attitude(p<0.01), and Practice(p<0.001). 2. The scores of the Behavior-Diagnosi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after education with the new education materials, especially in the number of foods taken per day(p<0.001), the balanced intake of five food groups per day(p<0.001), the general food habits for adult(p<0.001), and amount of daily intake of nutrients measured by simple method for assessing nutrien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lipid(p<0.001), calcium(p<0.05), Vit.A(p<0.05), Vit.B2(p<0.01), Vit.C(p<0.05) after nutrition education. 3.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Behavior-Diagnosis, KAP, Family Food Environment showed that the number of foods taken per day had relation with K(r=0.68, p<0.01), A(r=0.52, p<0.01), P(r=0.40, p<0.05) and Family Food environment(r=0.61, p<0.01), the average scores of the balanced intake of five food groups per day had relation with K(r=0.56, p<0.01), A(r=0.51, p<0.01), P(r=0.47, p<0.01) and the Family Food Environment(r=0.54, p<0.01), each intake amounts of calorie and protein had relations with Food Environment(r=0.47, r=0.55, p<0.01), the scores of the general food habits for adult were with K(r=0.36, p<0.05), P(r=0.36, p<0.05), and the scores of specific food habits for adult were with the attitude(r=0.33, p<0.05).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knowledge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on the number of food taken per day(46.9% explained) and also on the balanced intake of five food groups per day(31.6% explained), and the scores of the family food environment on the intake amount of calories(21.7% explained), protein(30.6% explained) and on the general habits for adults(47.7% explained), and the scores of the attitude on the specific food habits(11.1% explained).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일환으로 보건 영양교육을 전개함에 있어 식생활 개선에 보다 효과적인 영양교육 자료를 영양교육 지표 즉 지식(Knowledge), 태도(Attitude), 실습(Practice), 식행동-영양진단(Behavior-Diagnosis) 및 식생활 환경(Environment)의 문항, 영양진단 방법, 항목으로 개발하였으며, 이 자료를 실제 지역사회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영양교육 사업 모델을 제시하고자 시도 되었다. 영양교육 자료개발에 있어서는 식생활 개선에 필요한 K(Knowledge) A(Attitude) P(Practice)의 정의 및 개념을 새로이 정립하였으며, 문헌을 통해 KAP, Be-D(식행동-영양진단), En(식생활 환경)의 교육 자료를 개발 하였다. 즉 태도는 의식구조의 개념을 뜻하는 것으로, 실습은 영양실천을 위한 응용 양영실습으로, 식행동-영양진단은 실제의 식품섭취 행동으로 규정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의 KAP 및 Be-D는 과거의 영양상태 평가만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평가 및 교육자료로 개발하였다. KAP의 각 문항은 기초적인 KAP에서부터 계속 발전된 문항으로 순차적으로 배열 작성하였으며, 평가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일원화하였다.. 영양교육은 이화여자 대학교 의과대학 보건 의료 시범 지역인 경기도 남양주군 수동면의 지도층에 속하는 부인 33명을 대상으로 1991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8회에 걸쳐 매주 목요일 오후 1시~4시까지 실시하였으며, 교육 실시전과 후에 대상자의 KAP, Be-D 및 En실태를 설문지법과 면담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평가에 있어서는 우선 영양교육 효과 측정을 위해서 교육 실시 전후간의 KAP 및 Be-D평점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KAP와 Be-D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또한 식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양지식 점수는 교육전이 평균 59.5±16.9점, 교육후가 평균 70.3±17.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태도 점수는 교육전이 평균 77.7±20.7점, 교육후가 평균 81.7±19.8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실습 점수는 교육전이 평균 67.4±11.7점, 교육후가 평균 82.1±1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식행동 영양 진단에 있어서 1일 섭취 식품 가지수는 교육전이 평균 15.8±6.0가지, 교육후가 평균 25.9±7.6가지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1일 5군 식품 섭취 및 균형식사 평점은 교육전이 평균 64.3±15.2점, 교육후가 평균 86.5±11.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간이 영양소량 측정법에 의한 1일 섭취 영양소량에서는 지방(p<0.001), 칼슘(p<0.05), 비타민 A(p<0.05), 비타민 B2(p<0.01), 비타민 C(p<0.05)의 섭취량이 교육전 보다 교육후가 높았다. 성인 일반형 식습관 점수는 교육전 평균이 52.1±16.7점, 교육후 평균이 60.7±16.6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성인 특수형 식습관 점수는 교육전 평균이 69.5±11.4점, 교육후 평균이 71.7±12.7점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식행동-영양진단과 지식, 태도, 실습, 가정 식생활 환경과의 상관분석 결과 1일 섭취 식품 가지수는 지식 (r=0.68, p<0.01), 태도(r=0.52, p<0.01), 실습(r=0.40, p<0.05), 가정 식생활 환경(r=0.61, p<0.01)과 상관성이 있었고, 1일 5군 식품 섭취 및 균형식사 평점은 지식 (r=0.56), 태도(r=0.51), 실습(r=0.47), 가정 식생활 환경 (r=0.54)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p<0.01), 열량 섭취량은 가정 식생활 환경(r=0.47)과 상관성이 있었고, 단백질 섭취량 또한 가정 식생활 환경(r=0.55)과 상관성이 있었다(p<0.01). 성인 일반형 식습관 점수는 지식 (r=0.36, p<0.05), 실습(r=0.36, p<0.05), 가정 식생활 환경(r=0.69, p<0.01)과 상관성이 있었고, 성인 특수형 식습관 점수는 태도(r=0.33, p<0.05)와 상관성이 있었다. 4 .식행동-영양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1일 섭취 식품가지수에는 지식 점수(46.9% 설명력), 1일 5군 식품섭취 및 균형 식사 평점에는 지식 점수(31.6% 설명력), 열량 섭취량과 단백질 섭취량에는 가정 식생활 환경 점수(21.7%, 30.6% 설명력), 성인 일반형 식습관에는 가정 식생활 환경점수(47.7% 설명력), 성인 특수형 식습관에는 태도 점수(11.1% 설명력)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시기 ------------------------------------------------- 5 Ⅲ. 연구내용 및 방법 ------------------------------------------------- 6 A. 연구계획 절차 ---------------------------------------------------- 6 B. 식생활 개선을 위한 영향교육 자료개발 ----------------------------- 7 1. 교육자료 I: 지식, 태도, 실습 및 식행동-영양진단 ----------------- 7 가. 지식(Knowledge) ----------------------------------------------- 7 나. 태도(Attitude) ------------------------------------------------ 7 다. 실습(Practice) ------------------------------------------------ 8 라. 식행동-영양진단(Behavior-Diagnosis) --------------------------- 8 2. 교육자료 II: 식생활 환경 ---------------------------------------- 9 가. 가정 식생활 환경(Family Environment) -------------------------- 9 나. 지역사회 식생활 환경(Community Environment) ------------------- 9 다. 주부 생활 시간표(Time Schedule) ------------------------------- 9 C. 영양교육 방법 및 실시 -------------------------------------------- 10 D. 영양교육 평가 ---------------------------------------------------- 12 1. 영양교육 실시결과 효과판정 -------------------------------------- 12 2. 식생활 변화를 유발하는 동기 분석 -------------------------------- 12 3. 영양교육 일반지도 계획에 대한 평가 ------------------------------ 12 Ⅳ. 연구 결과 -------------------------------------------------------- 14 A.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 14 B. 영양교육 자료 개발 ----------------------------------------------- 16 1. 식생활 개선에 필요한 지식 문항 ---------------------------------- 16 2. 식생활 개선에 필요한 태도 문항 ---------------------------------- 20 3. 식생활 개선에 필요한 실습 문항 ---------------------------------- 22 4. 식생활 개선에 필요한 식행동-영양진단방법 ------------------------ 25 5. 식생활 환경 문항 ------------------------------------------------ 34 C. 교육전 지식, 태도, 실습, 식행동-영양진단 및 식생활 환경 실태 ----- 39 1. 교육전 지식, 태도, 실습 점수 ------------------------------------ 39 2. 교육전 식행동-영양진단점수 -------------------------------------- 40 3. 식생활 환경 실태 점수 ------------------------------------------- 43 D. 교육후 지식, 태도, 실습 및 식행동-영양진단 실태 ------------------ 46 1. 교육후 지식, 태도, 실습점수 ------------------------------------- 46 2. 교육후 식행동-영양진단 점수 ------------------------------------- 47 E. 영양교육 자료개발 및 교육실시에 대한 평가 ------------------------ 50 1. 교육후 지식, 태도, 실습의 효과 판정 ----------------------------- 50 2. 식행동-영양진단의 효과 판정 ------------------------------------- 51 3. 식행동-영양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53 4. 식생활 변화를 유발하는 동기분석 --------------------------------- 57 5. 영양교육 일반지도 계획의 평가 ----------------------------------- 58 Ⅴ. 고찰 ------------------------------------------------------------- 60 Ⅵ. 결론 ------------------------------------------------------------- 71 참고문헌 ------------------------------------------------------------- 74 영문초록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916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역사회 영양교육 자료개발과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