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신애-
dc.creator유신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49-
dc.description.abstract제1형 알레르기 반응은 조직내의 비만세포(mast cell)나 혈액내의 호염기세포(basophil)의 세포막 수용체(receptor)에 결합하는 IgE 항체-항원 반응후 유리되는 수종의 화학전달물질에 의해 결과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학전달물질중 대표적인 히스타민의 유리에 대하여는 꾸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져 왔으나 아직 확실한 유리 기전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최근 기염 효소로 알려져 있는 hyaluronidase가 제1형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추정하는 견해가 대두됨에 따라 저자는 제1형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킨 흰쥐의 복수에서 복강 비만세포를 유리하고 이를 사용하여 hyaluronidase와 히스타민 유리와의 관계를 관찰하고, 임상영역에서 널리 쓰이는 알레르기 관련 약물들 즉, 히스타민 유발물질인 모르핀과 compound 48/80 그리고 항 알레르기 물질인 Tranilast와 Disodium Cromoglycate(DSCG)를 사용하여 복강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의 증가 및 억제효과 그리고 hyaluronidase의 활성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작된 흰쥐의 복강내 비만세포를 분리하여 hyaluronidase 활성도 및 히스타민의 유리량을 측정하여 정상 흰쥐와 비교 관찰한 결과 감작후 4일째부터 hyaluronidase 활성도와 히스타민의 유리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hyaluronidase의 활성도는 감작후 7일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히스타민 유리량은 감작후 14일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이 시기에 hyaluronidase의 활성도는 이미 감소되었다. 2. 감작된 흰쥐에 Tranilast를 5일간 투여한 군의 hyaluronidase 및 히스타민 유리량을 흰쥐의 복강 비만세포에서 측정하고 이를 정상 흰쥐와 비교 관찰한 결과 hyaluronidase 활성도 감소와 히스타민의 유리량이 의의있게 억제되었다. 3. 제1형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한 후 10일째부터 5일간 Tranilast로 전처치한 후 제14일 되는 흰쥐에 염산-모르핀을 복강내로 투여한 군의 복강 비만세포에서의 hyaluronidase의 활성도와 히스타민의 유리량은 Tranilast 단독 투여군에 비해 hyaluronidase 활성도와 히스타민 유리량은 의의있게 증가되었다. Tranilast에 의해 의의있게 hyaluronidase의 활성도와 히스타민의 유리량이 감소되었다가 염산-모르핀에 의하여 다시 증가하였다. 4. 정상 흰쥐의 복강에서 분리한 복강 비만세포에 compound 48/80 및 염산-모르핀을 작용시켜 hyaluronidase의 활성도와 히스타민의 유리량이 현저히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5. 정상 흰쥐의 복강 비만세포에 Tranilast와 DSCG를 작용시킨 후 compound 48/80 및 염산-모르핀으로 활성화시키면 hyaluronidase 활성도와 히스타민의 유리량의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복강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는 과정 중 기염 효소로 알려져 있는 hyaluronidase가 관여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항 알레르기제인 Tranilast와 DSCG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키고 hyaluronidase의 활성도를 감소시켰으며, 항 알레르기제를 투여한 후에도 모르핀은 감작된 상태에 놓여있는 비만세포에서 hyaluronidase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히스타민의 유리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킴을 관찰하였다. ; Type I allergic reaction and it’s related clinical manifestations are known to occur by the effects of various chemical mediators. These chemical mediators are released from circulating basophils and tissue mast cells, which become “sensitized” through the binding of antigens and antibodies of the Ig E type to their cell surface receptors. Efforts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release of these mediators, especially that of histamine, have been persued for years. The mechanism is not yet clarified at the present time. Recent reports of hyaluronidase, an enzym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tissue inflammatory process, as possible participant in type I allergic reaction, initiated thi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the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the 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were investigated. Also anti-allergic agents, tranilast and disodium cromoglycate, along with known histamine releasers, morphine and compound 48/80, were used to observe the inhibitory and stimulatory effects of these substances on the hyaluronidase activity as well as histamine release from the rat mast cell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started to increase on the 4th day of postsensitization. Hyaluronidase activity reached it’s peak value on the 7 th day of postsensitization and that of histamine release on the 14th day of postsensitization. 2)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pre-treated with tranilast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non-treated cells. 3)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pre-treated with Tranilast, followed by morphine injection,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ranilast treated cells. 4) In vitro study of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un-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using morphine and compound 48/80 as activators,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non-activator used cells. 5) In vitro study of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un-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pre-treated with tranilast and disodium cromoglycate, using compound 48/80 and morphine as activators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ranilast and disodium cromoglycate treated cells. From above results, participation of enzyme hyaluronidase in the process of histamine release from sensitized rat pertioneal mast cells, could be suggested. It was also quite evident that the clinically used anti-alleric agents, Tranilast and disodium cromoglycate, have significant inhibitory function on the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while morphi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yaluronidase activity and histamine release from sensitized rat peritoneal mast cel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4 A. 실험재료 --------------------------------------------------------- 4 1. 실험 동물 ------------------------------------------------------- 4 2. 실험에 사용된 시약 ---------------------------------------------- 4 3. 실험 동물군 ----------------------------------------------------- 5 가. 제1형 알레르기 유발군 ----------------------------------------- 5 나. 유리복강 비만세포 실험군 -------------------------------------- 6 B. 실험방법 --------------------------------------------------------- 7 1. 감작(sensitization) 시키는 방법 --------------------------------- 7 2. 복강 비만세포(peritoneal mast cell)의 분리방법 ------------------ 7 3. 비만세포 제조방법 ----------------------------------------------- 9 4. Hyaluronidase 활성도 측정법 ------------------------------------- 9 5. 히스타민 정량법 ------------------------------------------------- 10 6. 히스타민 유리제에 의한 복강 비만세포로 부터의 hyaluronidase 활성도 및 히스타민 유리량 측정법 -------------------------------- 11 7. 항 알레르기제(Tranilast와 DSCG)가 복강 비만세포에서의 hyaluronidase 활성도와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억제효과의 측정법 - 11 Ⅲ. 실험성적 --------------------------------------------------------- 13 A. 대조군의 hyaluronidase 활성도와 히스타민 유리량 ------------------ 13 B. 감작(sensitization) 후의 hyaluronidase의 활성도 및 히스타민 유리량의 변화 ---------------------------------------------------- 13 C. 감작시킨 흰쥐의 복강내 비만세포에서의 hyaluronidase 할성도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효과 -------------------------------------- 14 D. Hyaluronidase 활성화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Compound 48/80의 효과 ------------------------------------------------------------- 21 E. Hyaluronidase 활성화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염산-모르핀의 효과 ------------------------------------------------------------- 21 F. Hyaluronidase 활성화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DSCG의 효과 ------- 21 G. Hyaluronidase 활성화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Tranilast의 효과 -- 26 Ⅳ. 고찰 ------------------------------------------------------------- 29 Ⅴ. 결론 ------------------------------------------------------------- 36 참고문헌 ------------------------------------------------------------- 38 영문초록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97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종의 알레르기 (allergy) 관련 약물이 흰쥐의 복강내 비만세포에서 hyaluronidase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