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뇌졸중 입원환자 간호에 대한 질평가 연구

Title
뇌졸중 입원환자 간호에 대한 질평가 연구
Authors
이민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improvement of patient care quality, by examining the degree of nursing implementation for stroke inpatients an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with the perception of patients, and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e degree of nursing implementation, the patient care activities of nurses who were in charge of the subject patients were investigated by a head nurse, who was responsible for nursing care quality management, through direct observation, interview, nursing record and environment observation. The nurses investigated consisted of 28 persons.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with the perception of patients, stroke patients who were in the neurology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patients of this study. The patients investigated consisted of 68 person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16 days, from March 25 through April 11, 1999. The research instrument for the degree of nursing implementation was modified in conjunction with nursing implementation for stroke patient through several times of deliberation by myself and A General Hospital s Nursing Quality Improvement Committee. That instrument s content validity was proven by the above-mentioned process, and it included 84 items: 14 items for medication, 12 for hygiene, 13 for intake/output, 5 for nutrition, 8 for maintenance of air way, 7 for exercise/activity, 8 for education/counseling, 5 for safety, 4 for communication, 5 for sleeping and 3 for neurologic observation. This scale s reliability(Cronbach s Alpha) was .9001. The instrument used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with the perception of patients, Wandel & Ager(1774) s Quality Patient Care Scale were developed and Shin Jeong Sup(1992) were modified. 38 items were selected from this instrument: 10 for physical care, 8 for psyco-social care, 7 for general care, 5 for communication care and 8 for specialist care. This scale s reliability(Cronbach s Alpha) was .96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ctual numbers,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d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Degree of Nursing Implementation The degree of nursing implementation of the nurses investigated was mean score of 1.61, which was roughly above the average. Especially, their nursing implementation was rated high in the domain of safety with a mean score of 1.91, intake/output with a mean score of 1.78, and medication with a mean score of 1.76. The next one in which their nursing implementation was done largely was nutrition, followed by neurologic observation, air way, hygiene, communication, sleeping, exercise/activity, and education/ counseling in the order named. 2. The Quality of Nursing Care with the Perception of Patients The quality of nursing care with the perception of stroke inpatients was mean score of 3.87. The domain at which they were most satisfied as general care with a mean score of 3.95, followed by specialist care with a mean score of 3.93, communication care with a mean score of 3.86, psyco-social care with a mean score of 3.82, and physical care with a mean score of 3.80 in the order named. 3. The Relationship of Nursing Implementation to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Care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eams, although the teams in which nursing implementation was done more greatly tended to give patients more perceived quality. ;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간호가 적절한지 또는 효과적인지를 질적 간호서비스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고 그 측정을 위한 표준지표를 선택하여 간호업무를 평가하고 그 장점과 단점을 검토하여 수정하는 주기적 순환을 거쳐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입원환자의 간호수행정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해 봄으로써 간호 질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간호수행정도는 연구대상환자의 담당간호사 28명을 대상으로 간호질관리 담당 수간호사가 간호사의 간호활동을 직접관찰 및 면담, 간호기록, 환경관찰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은 A종합병원의 신경과 병동에 뇌졸중으로 입원한지 5일 이상된 환자 68명을 임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3월 25일부터 4월 11일까지 16일간이었다. 연구도구로 간호수행정도는 뇌졸중 환자 간호수행에 관련된 문항을 본 연구자와 A종합병원의 간호질향상위원회에서 수차의 심의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후 투약 14문항, 위생 12문항, 섭취 및 배설 13문항, 영양 5문항, 기도유지 8문항, 운동 및 활동 7문항, 교육 및 상담 8문항, 안전 5문항, 의사소통 4문항, 수면 5문항, 신경학적 관찰 3문항으로 총 84개 문항이다.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은 Wandel & Ager(1974)가 개발한 간호의 질 측정도구(Quality Patient Care Scale)를 신정섭(1992)이 번역하고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로 신체적 간호 10문항, 정신사회적 간호 8문항, 일반적 간호 7문항, 의사소통 간호 5문항, 전문적 간호 8문항으로 총 38개 문항이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간호수행정도 Chronbach s α=.9001,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 Chronbach s α=.9612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간호수행정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은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및 병동별, 팀별 간호수행정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의 차이는 t-test, ANOVA로 유의수준은 p<0.05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간호사의 연령은 평균 27.01세이었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25명(89.3%)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종교는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14명(50.0%)이었다. 병원근무 경력은 평균 4.07년, 신경과 근무경력은 평균 3.57년이었다. 2) 환자의 연령은 평균 48.72세이었고 성별은 여자 50명(73.5%)으로 여자가 대부분이었다. 교육정도는 고졸 27명(39.7%), 대졸이상 23명(33.8%)이었으며 종교는 기독교가 25명(36.8%)으로 가장 많았다. 현병동의 간호만족은 만족한다가 40명(58.8%), 불만족한다 1명(1.5%)이었다. 건강상태는 기대한 정도이다 40명(58.8%), 기대보다 안좋다 18명(26.5%), 기대이상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10명(14.7%)으로 나타났다. 2. 간호수행정도 간호수행정도는 총 84문항 0점에서 2점 기준으로 최고 168점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총평균 135.36, 평균평점 1.61로 ‘중상’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역별 간호수행정도에서 평균(1.61) 이상으로 높게 평가된 영역은 안전(1.91), 섭취 및 배설(1.78), 투약(1.76), 영양(1.65), 신경학적 관찰(1.65), 기도유지(1.64) 순으로 안전에 대한 간호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평균(1.61)보다 낮게 평가된 영역은 위생(1.58), 의사소통(1.54), 수면(1.49), 운동 및 활동(1.35), 교육 및 상담(1.18) 순으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한 간호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보면 투약 처방, 투약카드, 준비된 약과 용량의 일치, 투약경로, 정맥주사 유지 시작 후 시간과 날짜 기록, 각 근무시마다 정맥주입 경로 확인, 72시간마다 정맥주사 바늘 및 수액세트 교체,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이유 및 방법, 배액양 기록 등(2.00)은 완전하게 수행하고 있었으며, 취침전에 등마사지 등으로 이완시키는 활동(0.46)은 전체 간호수행에서 가장 낮았다. 3.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 뇌졸중 입원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은 총 38문항 1점에서 5점 기준으로 최고 190점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총평균 147.09, 평균평점 3.87로 ‘중상’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역별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을 보면 5영역 중 평균(3.87) 이상으로 높게 평가된 영역은 일반적 간호(3.95), 전문적 간호(3.93)의 순으로 일반적 간호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평균(3.87)보다 낮게 평가된 영역은 의사소통 간호(3.86), 정신사회적 간호(3.82), 신체적 간호(3.80)의 순으로 신체적 간호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보면 간호사는 환자를 친절하게 대해준다(4.29)가 가장 높았고, 치료나 간호를 할 때 위생적인 방법으로 한다(4.28), 입원시 병원규칙 제반시설에 대해 설명해 준다(4.25) 순으로 질평가가 높았고 병실을 환기시키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 준다(3.21)가 가장 낮았으며, 소음을 줄여 조용한 환경을 유지해 준다(3.29), 개인위생이 필요할 때 도와준다(3.40) 순으로 질평가가 낮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수행정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 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수행정도는 연령, 결혼상태, 종교, 병원근무경력, 신경과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투약(t=4.54, p=0.04), 기도유지(t=5.67, p=0.03), 의사소통(t=7.14, p=0.01) 영역에서 간호대졸이상이 간호수행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은 성별에 따른 차이(t=2.13, p=0.04)만 있었고 연령, 교육정도, 종교, 결혼상태, 경제상태, 현병동의 간호만족 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5. 간호수행정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간의 관계 간호수행정도가 높은 팀이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이 높은 경향은 보이나 팀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 측면 1) 교육 및 상담, 신체적 간호 수행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간호사 교육을 통해 이 영역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고취시켜야 할 것이다. 2. 간호실무 측면 1)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관리로 교육 및 상담, 신체적 간호의 직접간호 시간을 늘려 환자간호의 질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2) 간호수행에 있어 간호부서의 정책과 프로토콜 제공 등이 간호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개선이 요구되는 간호부문을 간호부서에서 정책과 프로토콜 제공 등으로 질관리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3. 간호연구 측면 1)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수행정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의 질간의 관계를 반복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2) 간호수행정도 관찰 자료수집시 복수 관찰자가 실시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3) 간호수행정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다른질환의 간호질평가를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