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6 Download: 0

중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및 과제 수행 실태 분석

Title
중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및 과제 수행 실태 분석
Authors
박정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생들은 수행 평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과제 수행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그리고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에는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수행평가의 필요성 둘째, 학습 효과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셋째, 운영방식 넷째, 채점 과정 및 결과 네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수행평가 과제 수행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과제의 양 둘째, 자료와 정보원 셋째, 선호하는 수행평가 방식과 과제 성격 넷째, 장애요인과 개선요인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 개인별 특성은 학생의 성별·학년·성적·사교육여부·사교육시간·부모의 맞벌이 여부의 요인을 중심으로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의 특성에 따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 학생들의 수행 평가 과제 수행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학생의 특성에 따라 수행 평가 과제 수행 실태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특별시 6개의 중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표집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경제적 생활·교육 여건 등을 고려하여 강남구·서대문구·성북구에서 2학교씩 선정하였다. 각 학교에서 한 학년에 한 학급씩 표집 하였다. 총 586부의 설문을 배포하였고, 564장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회수율은 96.2%이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43장을 제외하고, 521장(88.9%)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12.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통계처리방법을 달리하였다.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항목들의 내적 일관성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응답에 대한 기술통계와 집단 간의 차이 검증에 대해서는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후 검증의 하나인 Turkey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수행평가 인식에 관한 4가지 영역 중 ‘채점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 이였었다. 그러나, ‘운영 방식’, ‘필요성’과 ‘학습 효과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정적 이였다. 특히, 학생들은 수행평가의 ‘학습 효과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가장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둘째로,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학년과 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 살펴보면, 1학년은 수행평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2·3학년은 수행평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성적에 따라 살펴보면, 평균 59점 이하의 학생들은 수행평가의 필요성·학습 효과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운영방식·채점 과정 및 결과의 모든 영역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평균 60~79점대의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로, 수행평가 과제의 양에 대해 중학생들은 대체로 많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수행평가 양에 대한 부담감이 컸다. 또한, 한 학기에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수행평가 횟수에 대해 학생들은 44.0%가 한 학기당 한 과목에서 ‘2번’이 가장 적당하다고 응답하였고, 이는 학생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수행평가 과제를 수행 할 때 필요한 정보(자료)를 79.3%의 학생들이 ‘인터넷’에서 얻고 있었고, 그 외 신문이나 관련도서들은 활용 빈도가 낮았다. 또한, 수행평가 과제를 혼자 해결 할 수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전체 학생들 중 60.3%가 ‘대체로 그렇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행평가 과제를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별로는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수행평가 과제를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해결이 어려워 도움이 필요할 때, 대부분의 학생들이 친구한테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 준비를 위한 사교육 경험을 묻는 질문에 전체적으로 63.9%의 학생들이 수행평가 준비를 위해 사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학생 개인 배경별로는, 저학년·성적이 낮은 학생들·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수행평가를 위해 사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많았다. 다섯째, 학생들이 제일 선호하는 수행 평가 방법은 작품 만들기, 실험·실습법, 역할놀이였다. 위의 수행평가 방법을 좋아하는 이유는 ‘친구들과 함께하는 것이 좋아서'와 ‘준비하는 과정이 재미있어서’였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맞는 과목의 수행평가를 제일 좋아한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개인과제보다는 협동과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 협동 과제를 위한 모둠 구성방법으로 중학생들은 친한 친구와 자율적으로 정하는 것을 가장 선호했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의 장애요인과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수행평가 과제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시간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료 찾기가 어려움’, ‘조별 과제 수행 시 조원의 참여 부족’,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내용임’, ‘비용’ 순으로 응답하였다. 수행평가 과제 수행과 관련 가장 바라는 점은 ‘과제의 축소’였다. 다음으로 ‘자료의 충분한 제공’, ‘평가의 공정성 및 객관성 확보’, ‘조별과제 배점 차등화’, ‘가정환경 차 고려’ 순으로 응답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사나 학교 행정가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교사나 학교 행정가들은 수행평가로 인한 학습의 흥미 증가, 학습 및 수업 태도의 변화, 학습 효과 등과 같은 교육적 목표 달성에 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학교 행정가들은 과제 개발·시행 및 채점에 시간이 걸리는 수행평가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수행평가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에게 수행평가 시행에 대한 자율성을 좀 더 주어야 한다. 셋째로, 학교 행정가나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보인 성적이 낮은 집단 학생들에게 학습능력 및 학습 동기를 높여줄 수 있는 정책이나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수행평가 과제와 사교육 여부·사교육 시간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에게 수행평가 양에 대한 부담만 줄여준다면, 수행평가로 인해 사교육비가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행평가 과제 수행 자료가 인터넷에만 한정되는 것을 경계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야 함은 물론 인터넷을 통해 검색한 자료를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여섯째, 이 연구에서 학생들이 지적한 수행평가의 문제점들은 수행평가 정책 초기에 적절한 교사 교육이 이루어지기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행평가가 학생들에게 본래의 교육적 취지를 살리려면, 먼저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 연수가 내실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이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이 학생의 학년과 성적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이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학생 개인별 특성으로 설정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이 연구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성적 분포는 학생들의 응답에 의존했기 때문에 실제의 성적 분포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실제 성적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표집 대상을 서울 지역의 일부 중학생으로 한정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전국의 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국 대상의 연구와 고등학생들에 대한 비교 연구도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ask performance. Then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re analyzed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he students' sex, grade, score,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time and working parents are chosen as the students’ factors. The questionnaire makes up two categories; the perce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ask performance. The former consists of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effects on learning and school life, oper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process of scoring and result. The latter consists of the quantity of performance task, the resource for the performance task, the favorit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and the difficul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survey, 521 middle school students in six schools were sampled in Seoul.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of the subjects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 12.0. And Student's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implemented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he studen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cess of scoring and result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students present the negative view of the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oper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especially effects on learning and school life. Second, students' perception to performance assessment shows mea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ents' grade and their scores. The first grade students have a high opinion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whil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didn't look at it in a positive manner. And the students who rank low in school have the most negative to performance assessment while students who rank middle are the most positive. Third, most of the students think that performance tasks assigned to them are usually heavy and it's appropriate for them to carry out two performance tasks in one subject each semester. Fourth, the internet, which amounts 79.3% turns out to be the major resource that students are using to solve the performance task. The 60.3 % of the students answers that they do it on their own especially students of high ranks. If not possible, they usually have help from friends. The result shows that the 63.9% of students have never taken a private tutoring for their performance task. Fifth, the favorit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s 'making works' and then 'experiment' and 'role play'. The reasons they prefer the methods are that they collaborate with their friends and the process of the method is interesting. And the students prefer collaborative task to individual task. Lastly, students respond that the obstacl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insufficient time', 'short resource', 'lack of collaboration', and 'difficult content' and 'cost'. So they wish that the frequency of task would be decreased and teachers would provide them with sufficient resources.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in this study: First,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administrational procedur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but also learning effects. Second, the school administrators hav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a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develop and carry 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o the burden of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hould care about the students that get a poor grade in school especially. They take a dim view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so it is necessary that the variety of ways to motivate them be developed. Fourth, the survey appears that the resource used by students for performance task is too limited to internet. Using internet excessively could make the students passive and just receptive, so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use it critically and creatively. Lastly, this survey is limited to specific area, so the following survey should be done in other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