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주은-
dc.creator성주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93-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expertise for quality educ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interest in how teachers can develop expertise for themselves. It is true that teachers have been taking upon themselves to develop expertise in the middle of preparing and planning classes alone. In this context, the study suggests reflective conversation as an alternative means for teachers to develop expertise in school for themselves. In the study, the researcher and a fellow teacher of researcher's exchange reflective conversations on their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where the researcher is working.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attempts to draw out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The study addresses issues as follows: first, what are reflective conversations between the two teachers about and second, what suggests the reflective convers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For these issues, the study uses the cyclic circulation of field study suggested by Kemmis and McTaggart as a basis of research design. According to this model, the study analyzes existing problems of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suggests reflective conversations between teachers as an alternative means to solve the problems, and prepares prepositions and principles to carry it out. Thereupon, the researcher and fellow teacher exchange reflective conversations twice a week, 14 times in total from May 3, 2005 to June 17, 2005 and the researcher observes and analyzes the recording.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collects opinions of supervising professors and fellow researchers on the exchange of reflective conversations to reflect them to making a suitable form of reflective conversation for the education field. It is found in the study that the topics of the reflective conversations are mostly difficulties in handling things occurring unexpectedly in classes, consulting of problematic situations, introduction of successful teaching cases, goals and teaching progress. These kinds of reflective conversations develop in the following form: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emotionally share experiences with each other based on their view of teacher which was built from their experiences and ask questions on educational daily life which they usually took for granted and then, seek alternative mean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ocess, they reorganize practical knowing as a teaching expert through new understanding and translation of themselves and their teaching. The study analyzes it as the positive effect of reflective conversation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and a potential measure for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On one hand, the reflective conversation makes participants have a future-oriented attitude to ponder over educational values constantly, on the other hand, it has subjective and ambiguous aspects in revealing opinions. In addition, in seeking alternative means for its implementation, it has a limitation to remain in an individual level without positively drawing out a cooperative proces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sound reflective culture,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trust between teachers and collective reflection of multiple members. as conditions for reflective conservations to be a practicable alternative mea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In conclus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aws out suggestions for teacher-led development of expertise based on possible consequences of implementation of teachers' reflective conversations. However, as the study is a case study of reflective conversation, its generalization requires more verification with more cases. In addition, variables of teache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physical and practical ways to materialize the conditions of reflective conversation as suggested in the study.;최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관한 관심이 부쩍 증가하고 있는 반면, 어떻게 교사가 스스로 전문성을 개발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관심은 소홀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은 각자의 수업에 대하여 홀로 준비하고 계획하며 전문성 개발을 오롯이 교사 개인의 몫으로 떠맡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 스스로 전문성을 개발 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서 ‘반성적 대화(reflective conversation)'를 제안하고, 실제로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 연구자와 연구자의 동료 교사가 자신들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대화’를 실시한 후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이것이 교사 전문성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 간 ‘반성적 대화’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반성적 대화’의 실제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Kemmis와 McTaggart이 제안한 ‘현장 연구의 순환적 싸이클’을 연구 설계의 근거로 삼았다. 이 모형에 의하여 먼저 기존의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진단을 내리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교사 간 ‘반성적 대화’를 제안하고 실천에 옮기기 위한 원리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2005년 5월 3일부터 2005년 6월 17일까지 매주 2회씩 총 14회의 반성적 대화를 나누어 보고, 녹음된 내용을 연구자가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동시에 반성적 대화의 진행 과정에서 연구자의 지도교수와 대학원 동료 연구자들의 의견을 묻고, 이를 통해 얻은 피드백을 반영해서 현장에 보다 더 적합한 ‘반성적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나타나는 반성적 대화의 주된 내용은 수업 중 예측하지 못한 부분으로 인한 어려움과 문제 상황에 대한 의뢰, 성공적 수업 사례에 대한 소개, 목표와 수업 진도에 대한 확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의 반성적 대화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전개되었다. 대화 참여자들은 서로의 교육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교사관 ’을 밑바탕에 두고, 선택된 경험에 대한 감정적 공유와 함께, 평소에는 당연하게 생각하고 받아들였던 교육적 일상에 대하여 질문을 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 개선안 및 대안을 모색해 나갔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자신과 자신의 교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을 통한 교사 전문성으로서의 실천적 앎을 재구성해나가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반성적 대화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및 전문성 개발 방안으로서 가지는 가능성이라고 분석되었다. 한편 반성적 대화는 참여자들로 하여금 미래지향적 태도를 가지고 끊임없이 교육적 가치를 심사숙고 하게 만드는 특징이 있는 반면, 그 의견을 드러냄에 있어서는 주관적이고 모호한 면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 실천을 위한 대안 모색에 있어서 적극적인 협력적 과정이 일어나기보다는 개인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반성적 대화가 학교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 방안의 대안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건강한 반성 문화가 뒷받침되고 교사들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자발적 참여와 함께 다양한 구성원의 집단 반성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교사 간에 이루어지는 반성적 협력에 관한 국내 연구가 미비한 현실 속에서 초등학교 현장의 두 교사가 자신의 가르치는 일에 대하여 함께 협력하여 반성을 나누는 ‘반성적 대화’에 관하여 그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현장 연구(action research)이자 사례 연구(case study)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보다 다양한 반성적 대화 사례들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고 교사 변인 및 학교 현장 특유의 독특성을 고려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연구 방법 = 6 D. 연구의 의의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교사 전문성 개발에 관한 비판적 고찰 = 10 B. 전문성 개발 방안으로서의 교사의 반성 = 15 1. Scho''n 의 반성의 개념 = 15 2. Scho''n 이후 반성에 관한 연구 = 20 3. 교사 전문성 개발 방안으로서 반성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 27 C. 반성적 대화 = 30 1. 반성적 대화의 특징 = 30 2. 반성적 대화의 원리 = 34 3. 반성적 대화의 전제 = 37 Ⅲ. 연구 방법 = 42 A. 연구 참여자 = 42 1. 반성적 대화 참여자 소개 = 42 2. K교사와 S교사와의 관계 = 43 B. 연구 설계 = 44 C. 연구 절차 = 48 D. 자료 수집 방법 = 52 1. 도구 = 52 2. 녹음 내용 전사의 틀 = 52 E. 자료 분석 방법 = 52 1. 반성적 대화의 내용 분석 방법 = 53 2. 반성적 대화의 형태 분석 방법 = 54 3. 반성적 대화의 특징 분석 방법 = 57 Ⅳ. 연구 결과 = 60 A. 두 교사 간 반성적 대화의 실제 = 60 1. 반성적 대화의 내용 = 61 2. 반성적 대화의 형태 = 68 3. 반성적 대화의 특징 = 78 B. 교사 전문성 개발 방안으로서의 반성적 대화 = 84 1. 반성적 대화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 = 85 2. 반성적 대화가 교사 전문성 개발 방안이 되기 위한 조건 = 89 Ⅴ. 결론 및 제언 = 94 A. 결론 및 논의 = 94 1. 두 교사 간 ‘반성적 대화’의 실제는 어떠한가? = 95 2. ‘반성적 대화’의 실제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97 B. 한계점 및 제언 = 98 참고문헌 = 102 <부록> 반성적 대화 전사의 예 = 105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78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반성적 대화에 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f the Reflective Conversation-
dc.creator.othernameSung, Joo-Eun-
dc.format.pagex,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