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영-
dc.creator최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6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사설 교육기관의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사례를 통해 창의성 교육의 목표와 내용의 일관성, 내용과 교수활동과 평가간의 연계성을 심층면담, 교재분석, 참여관찰의 다각적인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내어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A연구소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창의성 개념에 관한 이론적 관점에 비추어 볼 때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 둘째, A연구소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활동은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학습활동은 프로그램의 목표를 반영하고 있는가? 셋째, A연구소의 창의성 교육의 교수활동 과정에서 교사는 주로 어떠한 유형의 발문을 사용하며, 교육경력에 따라 교사의 발문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또한 교사의 발문은 학습활동에서 목표로 하는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반영하고 있는가? 넷째, A연구소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평가방법은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활동 과정과 연계성이 있는가?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연구소의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본 결과 프로그램의 기본 목표는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의 함양(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A연구소의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유치원교육과정의 내용범주에 따라 분석한 결과 언어, 탐구(수학적, 과학적), 사회, 건강, 표현의 5개 영역의 내용 중 탐구영역의 비중이 전체 내용영역의 48.5%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간의 통합은 2~3개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전체 활동의 내용에서 유창성, 독창성을 요구하는 활동이 각각 28.4%, 융통성이 요구되는 활동이 27.5%로 나타났으며, 정교성을 요구하는 활동의 비율이 15.6%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연구소의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업관찰을 통해 교사A, 교사B의 수업을 분석한 결과 교사A의 경우 확장형 발문(34.8%)보다 제한형 발문이 65.2%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B의 경우는 확장형 발문의 비율이 72.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A의 경우는 수렴적 발문이 34.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교사B의 경우는 확산적 발문이 가장 높은 56.0%로 나타났다. 넷째, A연구소의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의 평가방법을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본 결과 창의성 수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사, 아동의 상호평가, 수업의 결과물을 통한 수행 평가, 수업에 관한 기록을 통한 개인별 기록과 표준화된 검사 등 양적, 질적인 방법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을 평가·관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A연구소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 사고능력이라는 제한된 창의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이 전개되고 있어서 창의성의 개념에 따르는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창의성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은 창의성은 어떤 하나의 측면에서 만이 아니라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또한 인지적 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구성요인으로 하고,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창의적인 결과를 산출하도록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되고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활동의 내용면에서도 탐구영역(수학적, 과학적탐구)에 집중되어 있어서 유아의 생활과 밀접한 환경과 다양한 경험을 다루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통한 교수활동에서는 교사의 변인(경력)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는 발문형태와 유형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창의성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습활동의 내용을 유아의 경험과 밀접한 활동과 소재로 다양화하고, 교수활동에서도 유아의 창의적 발상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발문 방식들이 연구·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를 체계화하고 연수기회를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nsistency between the goal and contents, and connection among contents, instructions,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I used multilateral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 content analysis, and class observation. Therefore, I would suggest an idea on improvement and cultivation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For this purpose of study,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were formulated: First, what are the goals of the program regarding aspects on the concepts of creativity? Second, what we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mposed of? Are contents of learning activities based upon the goals of the program? Third, what type of questioning was used in the procedure of instructions of the program? Do the types of questioning differ depending on teacher’s vocational career? Are the types of questioning related to the goals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Forth, what are the methods of evaluation fo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gram? Are the evaluation methods related to the goals, contents, and procedure of instru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 I discovered that the basic goal of the program was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skills by enhancing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ategorized by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alt with investigation area 48.5% among the verbal, investigation (mathematical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social, health, and expressing areas. Also, most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tegrated different contents into a single task, and the various and flexible integration between two or three different contents was made. Third, I observed that the types of questioning in clas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eacher’s vocational career. Teacher A used closed questions (65.2%) more than open-ended ones (34.8%), while Teacher B used open-ended questions (72.0%) more than closed ones. Also, teacher A used more convergent questions (34.2%), while teacher B used divergent ones (56.0%). Forth, through in-depth interview I discovered that the program have evaluated and controlled children’s creativity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such as teacher assessment, mutual evaluation of pupils in class, performance assessment from the results of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ized documents, and standardized tests for the achievement. In conclus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n an ‘A’ private institution was focusing on the creative thinking. Also, the program restricted the opportunities of developing creativity in variety of fields, and lacked the chance of promoting and discovering the children’s potentials in other fields, becaus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based mainly o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In addition,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in types of questioning depending on teachers’ vocational career. Therefor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consider various aspects, so that creative results could be promoted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rocedure of problem solving. Moreover, teachers’ re-education needs to be extended and systematized in order to minimize differences resulting from teachers’ care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창의성 = 7 1. 창의성의 개념 = 7 2. 창의성의 구성요소 = 14 3. 창의성의 교육 가능성 = 16 B. 유아 창의성 교육 = 17 1. 유아기 발달에서 창의성의 중요성 = 18 2. 창의성 교육의 목표 = 20 3. 유아 창의성 교육의 교수원리 = 21 4.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환경 = 24 C. 창의성 교육과 교사의 역할 = 26 1.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 26 2. 교사의 발문유형과 유아의 창의성 = 27 D. 선행연구 고찰 = 31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분석준거 = 38 1.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분석 = 39 2.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 39 3.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교수활동 분석 = 42 4.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방법 분석 = 44 C. 분석방법 및 절차 = 44 1. 심층면담 = 44 2. 교재분석 = 45 3. 수업관찰 = 45 Ⅳ. 결과 및 해석 = 48 A. 성격 및 목표 = 48 B. 내용 = 51 1. 학습활동의 내용 = 54 2. 창의성의 구성요소에 따른 학습활동의 유형 분석 = 58 C. 교수활동 = 60 1. 교사의 발문유형 = 66 2. 창의성의 구성요소에 따른 교사의 발문 분석 = 68 D. 평가방법 = 72 Ⅴ. 결론 = 76 A. 요약 및 결론 = 76 B. 제언 = 79 참고문헌 = 82 부록 = 87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47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설기관의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n a Private Institution-
dc.creator.othernameCHOI, Eun-Young-
dc.format.pageⅷ,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