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고쳐쓰기를 통한 국어지식 교수 방안

Title
고쳐쓰기를 통한 국어지식 교수 방안
Other Titles
Teaching Grammar by Revising Activity - Focused o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
Authors
이자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지식 영역의 목표는 ‘국어의 구조와 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익히고, 우리말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과 국어를 사랑하고 가꾸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국어지식 교육은 학문중심의 어려운 명제적 지식을 나열식으로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국어지식 교육의 본래 목표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7차 교육과정의 목표를 지향하고 7차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을 최대한 수렴하는 방책으로 ‘고쳐쓰기를 통한 국어지식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쳐쓰기를 통한 국어지식 교육은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발생한 언어자료를 사용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언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고쳐쓰기를 통해 국어지식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활용해 봄으로써 언어 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복합적인 작문 상황에서 국어지식을 활용하게 해봄으로써 문제 해결력을 키우고, 국어지식을 실생활에 전이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통한 고쳐쓰기를 제안함으로써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제고시키고,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 의식을 갖고, Ⅱ장에서는 이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쓰기 능력 발달 단계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는데 쓰기 능력 발달 단계를 연상적 쓰기, 수행적 쓰기, 의사소통적 쓰기의 단계로 세분화한 Bereiter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 관점에서 발달 단계별 고쳐쓰기의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개한 중학교 학생들의 쓰기 수준과 고쳐쓰기 수준에 대한 이론을 검토해 보았다. 다음으로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검토하고 이러한 협동학습을 국어지식 교육에 활용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Jigsaw 모형을 활용한 협동학습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고쳐쓰기 내용을 학습시킬 교수법으로서 협동학습 모형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우선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협동학습을 국어지식 교육에 활용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학습자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Jigsaw 모형을 활용한 고쳐쓰기를 통한 국어지식 교수 방안에 대해 구상해 보겠다. 먼저 협동학습과 고쳐쓰기를 활용한 모형을 구안하게 된 원리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고쳐쓰기를 통해서 가르칠 국어지식 내용에 대한 고찰로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생활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고쳐쓰기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수준별 국어지식의 내용을 선정해 보았다. 다음으로 학습내용을 학생의 고쳐쓰기 수준에 따라 배분하는 모형의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고 이를 단계별로 설명하고자 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국어지식을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Ⅵ장에서는 Ⅲ장에서 구안한 고쳐쓰기 모형의 단계 중 탐구하기 단계를 심화하여 구체화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앞 장에서 선정한 생활국어 관련단원을 토대로, 수준별 전문가 집단에게 필요한 교수 내용과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구상해 보았다. 구안해 본 모형이나 지도안을 실제적으로 적용해 보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지만, 고쳐쓰기를 국어지식의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생각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를 두며 구체적인 적용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기려고 한다. 앞으로도 꾸준히 새롭고 흥미로운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 국어지식 교육이 체계화되고 활성화되길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to learn the practical ability and attitude to language as well as knowledge of language. But the present education just stresses carrying the knowledge to student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revising activity' as a new teaching skill for grammar education. ‘Revising activity' heads for the purpose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it is the way by which students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to find out meanings from experiences. Through this activity students are able to use the learned knowledge in real situations. Also, students can understand the whole phenomena of language when they use a lot of grammar knowledge. And they can poster their ability to transfer knowledge from classroom to their lives when they find a solution. Besides, this study suggests ‘cooperative learning' as the way that help students have interests in learning through active cooperative activities. And using this way improves positive interaction in a classroom. In Chapter Ⅱ, revising activity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rough the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That is, the concepts and figures of these methods are studied, and their feasibilities and effects in the knowledg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re also considered. In Chapter Ⅲ,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 suggest Jigsaw model which is possible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First of all, the principles of this model are introduced. And Grammar knowledge in Korean textbook devided into three levels as the contents of instruction. Then each step of this model is explained. And creative strategies for grammar education are mapped out. In Chapter Ⅳ, expert study step of Jigsaw model is actualized. Teaching stages are more specific by selecting units of textbook and making teaching plan. It is regretful that the proposed teaching model was not applied to actual education field.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ised the new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knowledge to improve teaching methods in middle schools. Further studies on Korean language knowledge are expected specific and real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