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 교육

Title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 교육
Authors
권선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구술성설화교육설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설화의 모습과 설화 교육의 모습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다 바람직한 설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설화가 가지는 구술적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1장 '서론'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현 설화, 문학 교육, 설화 교육의 연구 흐름 및 연구 경향의 지형도 속에서 본 연구가 위치하게 될 지점을 명확히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2장 '설화와 교육'에서는 설화와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였다. 우선 설화의 개념과 설화의 핵심적인 특질을 보여주는 구술성 및 이야기판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문학 교육의 틀 안에서 설화 교육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설화 교육의 대상과 방법 및 방향에 있어서의 범위를 구체화하였으며, 설화 교육 연구의 바탕이 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정리함으로써 논의를 위한 이론적 기틀을 세웠다. 3장 '설화 교육의 현실'에서는 현재의 모습을 바로 알 때, 그 문제점이 명확해지고, 문제점이 명확하게 파악되어야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대안이 제시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현 설화 교육의 모습을 분석하여 현 설화 교육의 문제점을 명확히 하였다. 설화교육의 현실 분석은 교과서 분석과 교육 현장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서는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 문학 교과서의 설화 제재 수록 양상과 학습 목표, 학습 활동을 살피고, 이를 7차 교육과정과 설화의 본질에 비추어 그 적정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다음 설화 교육의 현장 분석은 설문법과 면담법을 병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 설화 제재의 수업을 가장 많이 받은 현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이 중심이 되었으며, 학교 안에서의 설화 교육 현황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참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설화 교육의 문제지점들을 여섯 가지 정도로 구체화 할 수 있었다. 4장 '설화교육의 문제점과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 교육'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문제 지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교육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핵심이 되는 구술성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이는 전통 이야기판과 현대 이야기판의 모습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전통 이야기판에서 설화가 갖는 구술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구비문학 대계에 나와있는 아기장수 설화와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기록물로써의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를 비교 고찰하였고, 그 결과 생활 속의 문학, 가치관의 반영에 따라 재창조되는 문학, 논쟁의 장으로써의 문학, 이야기판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의한 문학이라는 점이 설화의 구술적 특징으로 정리되었다. 이와 더불어 현대 이야기판과 그곳에서 지속, 변화하는 구술성의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교수 방안을 위한 키워드인 구술성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기반하여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 교육의 개념을 문학, 언어 사용능력, 문화 교육의 목표 설정에 바탕하여 구체화하고, 그 교육적 가치와 현 설화 교육의 문제점 해결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5장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 교육의 방안'에서는 위의 논의들을 기반으로 구술성을 바탕으로 한 설화 교육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활동들을 고안, 구성하여, 구체적인 교수 - 학습 지도안 및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involving the contemporary tales and the relevant education to those tales, but also to suggest practical and desirable betterment scheme for the tale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ose tales. Chapter 1, Introduction,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study, as mentioned above, and clarifies the standpoint of the current trend of the research on the contemporary tales, literature education, and tale education. This chapter also mentions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Chapter 2, Tale and Education, constructs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tales and the relevant education. This chapter elaborates on the narrative nature and the atmosphere in which the tales are being told, which show the concept and the core features of those tales through the past researches. The chapter also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tale education within the frame of the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and embodies a practical scope of the subject, methodology and directions of the tale education. It also defines what the foundation should be in conducting research on the tale education. Chapter 3, The Reality of the Tale Education, analyzes the aspects of the present tale education and clearly defines the problems involving the tal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Analysis on the reality of the tale education is twofold: Textbook analysis and field analysis. In the textbook analysis, you will find in-depth analysis on the compositions of the textbooks that include the tales, study objectives, and the relevant activities connected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ubsequently, the analysis measur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tales contained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essence of those tales. On the analysis of education field you can find many interesting things abou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oriented by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is analysis the problems of tal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six classes concretely. Chapter 4 The problems of tale education and tale education based on the orality propose Tale education based on the orality for the purpose of solving problems mentioned above. I considered the orality before showing new process of education. The orality can be divided traditional talking place with modern one. The characteristics of oral statement regarding the atmosphere in which the tales are being told are literature among real life, re-created literature, literature as being argued and interacted literature. I can find aspect of the orality, which is a key point for new teaching process through considerations of modern talking place as well as traditional one. I can concrete the concept of Tale education based on the orality and take the gauge of educational value. Chapter 5 Plan of tale education based on the orality sets purposes of learning, considers variable activities and proposes concrete teaching & learning guides and evaluation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