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7 Download: 0

교사용 지도서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Title
교사용 지도서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using the teachers' guide book
Authors
원민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Keywords
교사지도서초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problem of teachers' guidebook and considering its improvements by analyzing the realities of teacher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use of teachers' guidebook. The study issues are as following: First, how do teachers perceive teachers' guidebook? Second, how do teacher make practical use of teachers' guidebook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ird, how satisfied do teachers feel with teachers' guidebook? Fourth, if they hardly use teacher's guidebook and have low satisfaction rate, what is the reason? And how this situation can be improv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400 in-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335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by item.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responding teachers were perceiving teachers ' guidebook as referential material to help them with the understanding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each subject.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 proportion of responding teachers with higher-level educational background regarded teachers ' guidebook as the 'referential material for helping teachers with the understanding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each subject' or 'the principal of sever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low proportion of teachers with lower-level educational background thought of teachers' guidebook as one of several teaching-learning materials. Seco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made practical use of teachers' guidebook most at the time of preparation for the lesson and responded that they made practical use of it more than six times in 10 lessons. The materials actually frequently used other than teachers' guidebook other than teachers ' guidebook included the website related to Internet class(T-nara, Edunet and the like) and monthly educational journals and the like. They evaluated them as better than teachers' guidebook in terms of several aspects: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s practically usable in the lesson(TP materials, picture and photo materials, CD, learning book and the like)'; 'presentation of materials and tasks for supplementary and in-depth learning'; 'presentation of excerpt materials for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and inducing them to have interests'; 'the edition and external system considering visual elements' and the like. Third, teachers showed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rticulars than the introduction in the component system of teachers' guidebook.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eacher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ers' guidebook for each subj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ing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ers' guidebook for language art.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ers' guidebook for social studies. And the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guidance and explanation of the objective of the lesson' but the lowest level of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s used for the lesson.' Fourth, teachers thought that learning materials and the method and steam of instruc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eachers' guidebook. Accordingly, they pointed out such tasks for improving teachers' guidebook such as 'presentation of the learning materials usable in the lesson', 'concretization of the lesson flow and presentation of the plan for diverse teaching -learning processes', 'presentation of supplementary and in-depth materials and task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ing teachers had the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ers' guidebook. This study result showed that teachers' guidebook is not serving its proper function in the curriculum. And they evaluat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other than teachers' guidebook as better than teachers' guidebook in terms of several aspects: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s practically usable in the lesson'; 'presentation of materials and tasks for supplementary and in-depth learning'; 'presentation of excerpt materials for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and inducing them to have interests'; 'the edition and external system considering visual element' and the lik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eachers' guidebook in the future with a focus on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s practically usable in the lesson', 'presentation of materials and tasks for supplementary and in-depth learning' and 'presentation of excerpt materials for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and inducing them to have interests';이 연구는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만족도는 활용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를 확인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셋째, 교사들의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교사들의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과 만족도가 낮다면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과 개선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4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35개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각 문항별 응답빈도와 그에 따른 백분율을 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대체로 교사용 지도서를 각 교과의 교육과정 이해와 운영을 돕기 위한 참고자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경력 별로 보면 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교사용 지도서를 '각 교과의 교육과정 이해와 운영을 돕기 위한 참고자료' 또는 '여러 가지 교수·학습 자료 중의 주된 자료'라고 여기는 비율이 높았다.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교사용 지도서를 '여러 가지 교수-학습 자료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수업 준비 시'에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10회의 수업에 6회 이상' 활용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교사들이 교사용 지도서 외에 실제로 자주 활용하는 자료에는 인터넷 수업관련 사이트 (T-nara, Edunet 등)와 월간 교육지 등이 있는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의 제시 (TP자료, 그림 및 사진자료, CD, 학습지 등)','보충·심화 학습 자료 및 과제의 제시','학습동기 및 흥미 유발을 위한 발문자료 제시','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편집 및 외형적 체제' 등 여러 측면에서 일반자료가 교사용 지도서보다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체계 중 총론보다 각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각 교과별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모든 교과에서 '수업 목표의 안내·설명'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에 활용한 학습자료의 제시'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이 교사용 지도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학습자료와 수업방법·수업흐름이며 이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과제로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의 제시','수업흐름의 구체화 및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 안 제시','보충·심화 자료 및 과제의 제시' 등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교사용 지도서가 교육과정에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 이외에 다른 교수-학습 자료들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의 제시','보충·심화학습 자료 및 과제의 제시','학습동기 및 흥미 유발을 위한 발문자료 제시','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편집 및 외형적 체제' 등 거의 대부분의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보다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앞으로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서는 교사들이 지적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의 제시','수업흐름의 구체화 및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 안 제시','보충·심화 자료 및 과제의 제시'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특히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