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윤명숙-
dc.creator윤명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18-
dc.description.abstract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습에 적용되는 교재의 형태와 교수 학습 방안도 변화를 거듭해 왔다. 현대의 학습자들은 다양한 매체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고 즐기는 세대이다.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학수업에 어떻게 영상매체를 이끌어 들일 것인가라는 문제 인식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문학 교과 중 소설 단원에서 영상매체를 활용하기 위하여 우선 영상매체의 문학 교육적 수용 배경이 되는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육과 문학 교육의 대중매체 수용에 대해 알아보고 영상매체와 소설 교육의 관련성, 영상매체의 소설 교육적 활용 의의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는데, 소설 원작과 영상화 소설을 비교·대조하여 소설의 요소별 학습을 시도하였다. 실제 수업에 새로 마련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적용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정하고 실험집단에 새 교수 학습 방안을 투입하였다. 두 집단의 소설 이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소설의 내면화 단계에서는 학습한 소설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매체변용 활동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제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했던 내용을 중심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매체의 활용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상상한 인물과 영화 속 인물의 비교, 영상매체 자체의 흥미로움, 소설 내용의 영상표현과 인물의 연기, 자신들이 친숙함을 느끼는 매체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흥미는 수업 내용에 대한 흥미로 이어질 수 있음을 학습 결과를 통해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소설을 다른 매체로 변용하는 활동을 통해 의미를 내면화할 수 있었다. 매체를 변용하는 활동을 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보면, 이 과정을 통해 소설 작품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피게 되었고 작가의 의도와 인물들, 플롯 등에 집중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내면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상매체를 활용하는 수업을 통해 다매체 시대에 부응하는 지식과 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 소설과 영상매체를 비교하고 대조하는 활동을 위해서는 영상매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영상매체를 감상할 때 보다 진지한 태도로 자신이 알고 있는 바를 활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지금까지 논의되었던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 지도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원작소설을 영상화한 작품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는 같다. 차이점은 본 연구가 소설의 요소별로 영상화 소설 작품을 하여 교수 학습한 점과 학습지 제작시 영상물을 편집하여 소설과 영상매체를 비교 대조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나아가 소설을 다양한 매체로 변용하는 활동을 통해서 문학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의미의 내면화 단계까지 접근할 수 있었던 점이다. 이러한 부분에서 본 연구가 실제 수업을 할 때 구체적인 소설 요소 지도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선택해서 활용 가능하며 정의적 영역에 속하는 내면화 단계로 이행하는 보기를 제시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It has much developed both in shape of text applied in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itself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generation. Learners of nowadays are not only exposed to various kinds of media circumstances but make the most of them and able enough to enjoy them at the same time. Focusing on this change, the question of "how instructers can bring in the audio-visual media in literature classes" has been the point of departure in this study. Then, the focal point moves to on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and mass media acceptability in literature education that have been brought out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terature education ; at the same time, both relevancy in audio-visual media with novel education and significance of audio-visual media applied in novel education are cover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mparing the original and audio-visualized copy, each aspect of novel learning methods are tried out throughout the study according to the applied audio-visual novel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To earn more specific result in applying these methods in practical classes, a group was divided into two : new learning teaching methods were carried out in testing group. Before and after tests were done in both testing group and controlled group to learn whether difference in comprehending the novel occurs between two groups.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content of novel, media converting activity also assisted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novel with the priority given to the elements of learned no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application of audio-visual media attracted students' interest. Students showed high quality of interest in this method because of 1)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 in imagine and the one in the movie, 2) interest in the audio-visual media itself, 3) audio-visual way of expression and the act of characters, finally 4) familiarity of the media itself. This result also shows that interest on the class can be lead to the interest of the content of the class Secondly, it was possible to internalize the content of novel while transforming the media. After doing this, students become better in understanding not only content, intention of author but the plot, characters as well. This activity also naturally lead students in internalization. Thirdly, it was also helpful to pick up better understanding about multimedia era through the class. Students comprehended that there must be fundamental knowledge of audio-visual media in comparing the original and the audio-visualized text. Also they become to be more serious in watching audio-visual media because they get to understand how to utilize what they have learned before. It may sound similar to the prior studies in that it is focused on transforming the original into audio-visualized ones. However, the biggest difference in this study lies in 1) selected audio-visualized works by its elements, 2) inserting visual copies in the practice sheet to compare both the original and audio-visual media. This transforming activity also lead students to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which would be ultimate purpose of literature. In this point,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parts or the whole of concrete instruction of novel in practical spots ; it is also greatly successful model in leading the learners to the stage of internalization which is the part of emotional province of human mi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방법 = 9 Ⅱ. 이론적 배경 = 13 A. 영상매체의 문학 교육적 수용 배경 = 13 1.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육 = 13 2. 문학 교육의 대중매체 수용 = 15 B. 영상매체와 소설 교육 = 20 1. 소설과 영상매체의 관련성 = 20 2. 소설교육에서 영상매체 활용의 의의 = 25 Ⅲ. 영상매체의 소설 교육적 활용 방안 = 27 A.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수 학습 모형 = 28 B.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수 학습 방안 = 33 1. 작가와 연출자의 의도 비교·대조하기 = 35 2. 인물의 성격과 심리묘사의 비교·대조하기 = 37 3. 장면 묘사와 화면 처리의 비교·대조하기 = 38 4. 플롯 비교·대조하기 = 39 5. 화자와 카메라의 비교·대조하기 = 41 Ⅳ.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수 학습의 실제 = 45 A. ‘감자’ - 작가와 연출자의 의도 비교·대조하기 = 45 B. ‘봄봄’ - 인물의 성격과 심리묘사 비교·대조하기 = 57 C. 배경 - 메밀꽃 필 무렵 = 68 D. 플롯 - 서편제 = 77 E.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화자와 카메라 비교·대조하기 = 86 F. 연구 결과 및 분석 = 96 Ⅴ. 결론 및 제언 = 105 참고문헌 = 109 부록 = 114 부록 1 사전 지식 진단을 위한 기초 학력 평가 = 114 부록 2 영상매체에 대한 사전 설문 조사서(학생용) = 116 부록 3 소설 이해 학습 평가 = 118 부록 4 소설 학습에 대한 학생 반응 설문 조사(학생용)-사후 검사 = 120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056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수 학습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gram of teaching novels utilizing the audio-visual media-
dc.creator.othernameYun, Myung Suk-
dc.format.pageⅷ,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