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전이서비스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조사 연구

Title
전이서비스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조사 연구
Authors
이기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perception of outcome of adult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 is highlighted. It is a goal of education that students can be independent, play a role of citizen in their community, and fulfill with their lifestyle. Especially in high school situ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 planning and implementing of transition service because for a lo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igh school is the last period of schooling before they transfer to community. In Korea, although perception of transition has been increased, there are no systematic transition services. So, studies of curriculum and services related transition that fit to situation of high school in Korea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transition service components presented by former researcher and to ident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iculties and correlation in the perception of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ractice or not.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5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high school in a Capital and 6 big cities. A questionnaire made by 53 items in 5 components designed by Halpern(1987), and were to identify specific areas to affect transition servic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earson' 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result of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between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level of perception of practice on components of transitional services, there was correlationship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rdination, and documentation. 2. According to 4 meas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ractice on components of transitional servi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ral components of perception of importance by measure but measure of teachers reeducation experiences related tran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school measure(vocational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rdination and documentation, and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show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in coordination and documentation. According to regional difference(capital city and big cities) meas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documentation, and teachers in big cities show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in those components. 3. In high school situation, teachers focused on independent living knowledge and skills, vocation knowledge and skills, and social/interpersonal knowledge and skills, yet they have difficulties that are about community-based instruction, family involvement, and interagency in community. And teachers are lack of concept of transition service and ITP(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In addition, there are a few agencies and assembles to get information and consultations for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of transition services.;장애학생의 성인기 삶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전이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통합된 환경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그들 삶에 대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은 학생이 학교에 있을 때 계획되고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는 대부분 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로의 전이 시기이기 때문에 더욱 많은 지원과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전이서비스에 대한 관심은 더욱 집중된다 하겠다. 우리나라 현장에서도 전이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전이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전이서비스에 대한 이해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경우 그 역사가 짧고, 양적으로도 부족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전이과정을 위한 교육과정과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며,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체계적인 전이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전이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정도간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중요도 인식도와 실행도 인식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둘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정도가 학교유형, 교사연수유무, 지역, 대상학생의 장애정도의 4가지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제시된 전이서비스의 요인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활동 및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전체 고등부 특수학급 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전이서비스 요인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과 각 요인에서의 교사 활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공적인 전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고 있는 Halpern이 제작한 설문지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설문에서 성공적인 전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5개 요인, 즉 교육과정 및 교수, 구성원 협동, 전이 구비 조건, 문서화, 행정적 지원 요인을 기본으로 한 개방형 질문을 덧붙여 전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척도에 의한 결과는 각 요인과 문항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정도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단순빈도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변인에 따른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는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요인별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5개의 요인 중 '교육과정 및 교수', '구성원 협동'과 '문서화' 요인에서 상관관계는 있으나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 평균과 실행도 평균간 차이를 보이나, 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와 실행도 인식 정도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전이 구비 조건과 행정적 지원 요인에서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이 두 요인에서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에 비하여 실행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전이서비스 요인들의 학교 유형, 교사연수, 지역, 학생 장애정도의 변인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결과에서 교사 실행도 인식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요도 인식에서는 학교유형과 지역 변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학교 유형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구성원 협동' 및 '문서화' 요인이었으며, 두 요인 모두 실업계학교가 인문계학교보다 더 높은 중요도 인식 정도를 나타냈다. 지역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교육과정 및 교수' 요인과 '문서화' 요인이었으며, 두 요인 모두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학교 교사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교사보다 더 높은 중요도 인식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이 실제 제공하는 전이서비스 활동들을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독립생활 및 직업, 사회성/대인관계 기술 교수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지역사회 및 관련 기관과 연계가 부족하고, 부모참여를 위한 교사 활동은 교사에서 부모로의 일방적인 방향으로 실시되고 있었으며, ITP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사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이서비스와 관련하여, 교사들간의 능동적인 모임을 통하여 정보 교환 및 프로그램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정보 및 자문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이 실제로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록 '교육과정 및 교수', '구성원 협동'과 '문서화' 요인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인다 할지라도, 각 요인에서의 중요도 및 실행도 평균간의 차이로부터 전반적으로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가 못 따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이 구비 조건'과 '행정적 지원' 요인에서는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가 매우 뒤쳐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문계 학교보다 실업계 학교가, 그리고 서울시 교사보다 광역시 교사들이 전이서비스 중요도 인식에서 높은 인식 정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및 교수를 실행하는데 학생에게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가 부족하고, 전이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능동적인 부모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교사들이 계획, 실행하는 전이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자문을 제공할 수 있는 인력 및 기관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전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 구성원 협동, 문서화 요인에서는 교사들이 중요도를 인식하는 만큼 그 내용들을 실행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고, 전이 구비 조건 요인과 행정적 지원 요인에서는 교사가 전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며, 교사들이 학생들의 성공적인 전이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부모 및 행정적 지원, 타 기관과의 구조적 연계가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