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윤구-
dc.creator강윤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0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14-
dc.description.abstractSchool administrators are important determinants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school education. Furthermore, they are emphasized as a crucial element for inclusion within special education. In the past, the importance of school administrators has been proven through much research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lso a variable which is greatly effected by school administrato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particular forms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Moreover, most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special teachers target research subjects limited to certain areas and this has made it difficult to apply previous research interpretations to national condi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evel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for teacher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and then attempt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quired 500 teachers in special classroom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ound the country about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for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Also, the one way ANOVA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in variables according to different factors in teachers' environments. The Pearson's simple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correlation analysis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level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1. Teachers' response showed meaningful variance in the level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ccording to the age, school level and degree qualification of the teacher, i.e. whether the teacher's major is special education. Hence, respondents indicate that more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was given to teachers who are older, to elementary schools rather than middle schools and to teachers who did not major in special education. 2. The variance of teachers' levels of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age and school level of the special class teach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s who are older and teach in elementary schools, rather than middle schools, expressed greater job satisfaction. 3.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upport provi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by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t those teachers gaine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ose teachers. It can, therefore, be crucial that school administrators maintain respect for special class teachers as professionals, that they make efforts to show genuine concern, and that they provide the practical support for the special class. Moreover, young teachers, whose major is special education, require greater consideration from school administrators and enhance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middle school special classrooms.;학교 관리자가 학교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다. 뿐만 아니라 학교 관리자의 리더쉽은 특수교육에 있어서도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한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Lipsky & Gartner, 1997). 지금까지 많은 연구를 통해 학교 관리자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으며 그러한 연구를 통해 학교의 관리자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밝혀진 교사의 특성 중 하나는 직무만족도이다.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사기, 학교에 대한 헌신도, 건강, 스트레스, 직무 수행, 이직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러한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학교 교육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과반수를 교육하고 있으며 통합교육의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학교 관리자가 특수학급 교사에게 제공하는 지원의 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성공적인 특수학급의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학교 관리자가 교사에게 실제로 제공하고 있는 지원정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교 관리자나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연구 대상의 범위를 일정 지역으로 한정시켜 연구의 결과를 전국으로 확대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초, 중등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지원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후, 이 두 변인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논의를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초, 중등 특수학급 교사 500명으로 지역과 학교과정을 고려한 계층표집을 하였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 관리자의 지원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차이 검증을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학급 교사의 연령, 학교과정, 특수교육 전공여부에 따라 학교 관리자로부터 받는 지원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중학교보다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그리고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가 학교 관리자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2. 특수학급 교사의 연령과 학교과정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높은 특수학급 교사, 그리고 중학교보다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더 높았다. 3. 특수학급 교사가 학교 관리자로부터 받는 지원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관계는 높은 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 관리자의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지원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의 관리자들이 특수학급 교사를 전문가로써 존중하고, 관심을 가지며,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에 대한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수교육을 전공한 젊은 교사들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배려가 특별히 요구되며, 중학교 특수학급에 대한 보다 많은 학교 관리자의 관심이 있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x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학교 관리자의 중요성 = 6 1. 학교 관리자가 학교 교육 및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6 2. 특수교육에 있어서 학교 관리자가 가지는 중요성 = 9 3. 학교 관리자의 지원에 대한 선행연구 = 11 B. 교사의 직무만족도 = 13 1. 직무만족도의 중요성 = 13 2.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5 3. 교사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 17 C. 학교 관리자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20 III. 연구 방법 = 24 A. 연구 대상 = 24 B. 연구 도구 = 28 C.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 32 D. 자료 처리 방법 = 34 IV. 연구 결과 = 35 A.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지원정도 = 35 B.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 = 42 C.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지원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관계 = 47 V. 논의 및 제언 = 48 A. 논의 = 49 B. 제한점 및 제언 = 54 참고 문헌 = 56 부록 = 64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66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지원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국의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x,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