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실행 및 다중지능발달 측면에서의 효과분석

Title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실행 및 다중지능발달 측면에서의 효과분석
Authors
박정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제7차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전 교과를 주제중심으로 재구성한 U초등학교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절차 및 원리와 그에 따른 구체적인 실행들을 기술하고 U초등학교의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이 아동들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학습자 개인의 전인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초등학교 교실 수업 현장에서의 바람직한 통합적 수업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U초등학교 1학년 전 교과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은 어떻게 계획되고 실행되는가? 2. 전 교과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의해 수업을 받은 U초등학교 아동과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의해 수업을 받은 F초등학교 아동간은 다중지능 발달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을 전 교과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사립 U초등학교 1학년 1개 반 30명과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사립 F초등학교 1개 반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U초등학교에서는 1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입학적응기간이 끝나는 4월부터 1학기가 끝나는 7월 15일까지 15주 동안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기초한 교육경험을 제공하고 F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을 적용한 수업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가 시작되기 전과 1학기가 끝나는 시점에서 아동들의 다중지능 발달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 조사와 다중지능발달 체크리스트를 담임교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아동의 다중지능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는 Shearer(1995)의 다중 지능 발달 평가 척도검사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ment Scale =MIDAS)와 다중지능 발달의 체계적 관찰을 위한 체크리스트( Amstrong, 1994), 아동의 학습결과물에 의한 다중지능 영역 비교를 위한 루브릭(평가기준표)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대상인 두 집단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과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 각각 두 집단간에 t검증을 분석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UㆍF 두 초등학교 아동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담임교사의 아동 관찰 체크리스트의 사전ㆍ사후결과는 표준화점수로 환원하여 t검증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학습결과물에 대한 다중지능 루브릭을 점수화하여 두 학교의 평균치로 t검증을 실행하였다. MIDAS에 의한 아동의 사전ㆍ사후 검사를 다중지능 발달 프로파일로 작성하여 두 학교 아동들의 다중지능발달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초등학교의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계획과 실행에 대한 연구문제 1의 결과 요약은 U초등학교의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은 제6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어 제7차 교육과정을 기초로 전 교과를 주제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주제 선정후 개념과 아이디어 전개 망을 구성하였고 이를 기초로 주간 교육활동 계획 및 일일 교육활동계획을 작성하여 실행하였다. U초등학교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은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비해 아동들의 의미 있는 경험을 교육목표로 주제와 관련된 폭넓은 학습내용을 선정하였다. 기본 개념 도입을 위한 전체학습, 아동들의 개인차와 학습속도를 고려한 개별학습ㆍ소그룹학습과 공통된 학습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협력학습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되었다. 교수-학습활동은 아동들의 개인 능력을 인정하여 기본학습과 선택학습으로 구성되었고 교수-학습전략도 단답형의 단순한 문제풀이가 아닌 말하기ㆍ듣기, 짓기, 만들기, 측정하기, 게임하기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 학습영역에 알맞은 구체 물, 자연환경, 그림, 도서 등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한다. 주제학습에 알맞은 교실 교육환경이 제공되었고 아동들의 성취수준을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서 평가하고 있다. 아동들의 학습시간에 이루어진 글짓기, 연구조사, 유인물, 만들기, 꾸미기 등의 작품 등이 자기 평가, 동료 평가, 포트폴리오에 의해 평가되었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U초등학교의 아동과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의해 수업을 받은 F초등학교 아동들간에 다중지능 발달의 차이를 다중지능 발달평가 척도검사(MIDAS)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 신체-운동적 지능과 자연탐구 지능을 제외한 음악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언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영역이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사의 아동관찰 체크리스트에 의해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모든 다중지능 영역에서 p<.05수준에서 유의한 발달의 차이를 보였다.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의해 수업을 받은 U초등학교 아동들이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의해 수업을 받은 아동보다 다중지능 영역에서 더 많은 발달을 보였다. 루브릭에 의해 아동들의 학습결과물을 표준점수로 환원하여 t검증한 결과,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수업을 받은 아동들과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에 의해 수업을 받은 아동들간에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의 영역에서는 p<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간적 지능에서는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제7차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을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한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개인 다중지능 발달프로파일에 의한 두 집단 간의 다중지능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U초등학교 아동들이 F초등학교 아동들에 비해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사전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이 사후검사에서 많은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의 흥미나 실생활의 문제나 이슈를 주제로 선정하여 경험을 통합하고 아동중심의 학습활동을 실행하는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은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아동들의 다중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교과들간의 경계를 탈피하여 전 교과를 대상으로 각 교과의 내용을 상호 연계하는 주제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여 수업현장과 아동의 실제 생활과 연결시키고 급변하는 미래세계에 잘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cument the development of a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guidelin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desirable integration strateg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first-grade curriculum based on a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implemented?;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the group taught with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group taught with the regular 7th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 first-grade students in a private elementary school class ("U") with a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and 36 first-grade students in a private elementary school class ("F") with the 7th curriculum. The first grade students at A elementary school were taught with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15 weeks, starting from April once the students had adapted to school, until the 15th of July (the last day of the first term). For data analysis, a t-test for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ith SPSS program was performed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students. As for the results of the pre-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of U and F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y were considered to be similar groups.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class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s were converted into standardized scores and a t-test was performed. In addition, the rubric for testing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ir learning outcomes was scored and a t-test was performed with average values of both schools. The finding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7th curriculum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data, classroom organization, and evaluation methods. U elementary school reconstructed its curriculum to implement the theme-based approaches. After selecting themes, concepts and ideas are planned accordingly. Based on these, weekly educational activities and daily teaching-learning plans are devised.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regular 7th curriculum, includes broader contents in order to provide children with meaningful experiences. The curriculum utilizes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general lessons, individual lessons and cooperative activities.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made up of fundamental lessons and optional lessons.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clud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speaking, listening, writing, constructing, measuring, playing games, etc. In order to maximize learning, the curriculum makes us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crete objects, natural environments, pictures, books, etc. The classroom environment is designed for the theme-based learning. The students learning is measured by process evaluation. The evaluation methods are self-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portfolios of students work which includes writing, research reports, worksheets, art projects, etc. Second,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ents are measured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MIDA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sical Intelligence, Logical- Mathemat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domains; exceptions are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at a 95% confidence level). As for the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s, students of both schoo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ultiple intelligences domains at a 95% confidence level. In addition, in analyz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by the evaluation rubric, those students taught with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ical Intelligence, Logical- Mathematic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Naturalist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at a 95% confidence level. The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provides child-centered learning activities that focus on childrens interests and real-life problems or issues. This study shows that such a curriculu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it suggests that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an benefit from a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 that moves away from the segregation of each subject matter towards interconnectedness of subject cont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