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4 Download: 0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itle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peech learning that utilizes educational plays and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speech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expression and self-efficacy
Authors
오형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을 적용한 후,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어떤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가 도래하면서 단순 지식을 전달하는 능력보다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창조적으로 표현하는 자기표현력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요즘 아동들은 대중 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를 통해 대리만족함으로써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인간관계는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므로 솔직하고 적극적인 자기표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점에서 학교 교육을 통해 자기표현력을 길러 주어야 하지만 현재 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개정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에 있지만 학교에서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언어 상황이 고려된 수업이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교육기관에서 학습의 주된 목표는 학업성취에 있을 것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한다. 아동들이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서는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과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려는 능력과 학습을 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자기효능감이다. 교육연극은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나아가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연극을 통해 언어와 사고를 스스로 성장시키고, 표현행위뿐만 아니라 가정된 현실, 즉 언어상황을 제공해준다. 아동들은 교육연극을 통해 자기표현 욕구를 표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극 속에 빠져들면서 연극이 제공하는 놀이를 통해 학습에 대한 폭발적인 동기유발과 등장인물을 통한 이해력, 문제해결력, 자신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1-1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언어적표현력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1-2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준언어적표현력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1-3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비언어적표현력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2.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과제난이도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3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의 아동들(남 27, 여29)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자기표현력의 언어적표현력, 준언어적표현력, 비언어적표현력을 평가하기 위해 1학년 국어과 말하기 교육과정 내용 및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연구 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자기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김아영, 박인영(2001)의 자기효능감 척도를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번안하여 평가하였다.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2011년 9월 6일부터 11월 5일까지, 약 8주 동안 총 20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개정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1학년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말하기 학습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같이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표현력의 언어적표현력, 준언어적표현력, 비언어적표현력의 검사 결과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p<.05)를 검증하였다.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의 검사 결과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p<.05) 검증하였다.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은 언어적표현력의 내용과 어휘, 준언어적표현력의 말소리, 비언어적표현력의 몸짓과 표정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은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은 자기표현력의 언어적표현력, 준언어적표현력, 비언어적표현력에 있어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냈다. 또한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은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위의 연구 결과는 서울시 한 학교, 1학년의 두 학급의 아동들만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에 교육연극의 여러 방법 중 Creative drama 와 역할 놀이 중심으로 활용하였으므로 앞으로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의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연극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대부분 유아와 저학년에 맞추어져 있는 자기표현력에 대한 연구가 고학년에도 효과가 있는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conduct speech learning that utilizes educational plays and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speech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expression and self-efficacy. As a knowledge-based society has emerged in the 21st century, the ability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opinions in a creative manner is receiving more importance than the ability to deliver simple knowledge. However, the development of mainstream media has enabled children in today's generation to get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watching TV and playing on the computer, thereby depr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As interpersonal relation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e,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in an active and honest manner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To this end, school education must offer the conditions in which children can build these skills, bu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whether children are given the right form of educa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The 7th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s to 'enhance children's creative use of the Korean language'. Yet, class lessons that provide the necessary conditions to enhance the creative language usage are not being met with the curriculum's objective. The main goa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ould most likely be academic achievements. Teachers strive to achieve a high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of their students. For children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they need to be motivated about learning and have the confidence to solve challenges on their own. The most essential factor in academic achievement is self-efficacy. Educational plays can be a stepping stone in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elf efficacy not only in the school environment but also in all forms of social environments. Educational plays allow children to mature in language, thinking, self-expression and a virtual reality which in fact is a linguistic environment. Children can not only express their desires through educational plays but also get themselves steeped into the play and through different play activities that the play provides children thereby find tremendous motivation about learning. Moreover, they realize their confidence, problem solving skills, an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appeared in the play. This researchers set up the following questions in order to determine if speech learning that utilizes educational plays has positive effects on self-expression and self-efficacy. 1. What difference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show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self-expression? 1-1. What difference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show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verbal expressions? 1-2. What difference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show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paralinguistic or semi-verbal expressions? 1-3. What difference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show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non-verbal expressions? 2. What effect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have on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2-1. What effect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have on elementary students' self-confidence? 2-2. What effect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have on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2-3. What effects does play-based speech learning have on elementary students'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gr.1 classes (27 boys, 29 girl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ngbuk-Gu. In order to evaluate the students' self-expression at verbal, semi-verbal and non-verbal levels through both preliminary and post tests, a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ased on gr.1 speaking curriculum and theoretical studies. In order to evaluate self-efficacy through pre and post tests, self-efficacy criterion of Kim AhYoung and Park InYoung were evaluated after adjusting it according to an elementary level.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test on self-expression and self-efficacy, 20 sessions of play-based speech learning were conducted on the treatment group over 8 weeks from September 6th, 2011 to November 5th, 2011. In the control group, normal speaking classes were taught using the gr.1 teacher's edition of the 7th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Post tests on self-efficacy were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pre-tests. The test results of self-expression at verbal, semi-verbal and non verbal level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SPSS/WIN 18.0 to prove the effects on self-expression (p<.05). As for self-efficacy, students' preference on task difficulty,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were proven (p<.05) by paired t-test using SPSS/WIN 18.0. By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terms of self-expression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speech learning based on educational play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ontent and vocabulary of self-expression, the speaking tone of semi-verbal expression, and the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of nonverbal expression. Second, speech learning based on educational play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fficacy for preference on task difficulty,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Judging from the research findings, speech learning based on educational plays showed positive effects on self-expression at verbal, semi-verbal, and non-verbal levels. In addition, speech learning based on educational plays showe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for preference on task difficulty,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However,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on two gr.1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positive effects of play-based speech learning on self-expression and self-efficacy cannot be generalized to a wider extent. Because the current research was conducted on grade 1 students, educational plays focused on creative drama and role playing.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whether self-expression research that focuses on young children has similar effects on older students in order to incorporate educational plays into the curriculum in many different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