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Title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Other Titles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uthors
양혜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각각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면서도 질 높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은 어떠한가? 2.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의 교사 81명과 학부모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법정(2005), 박민성(2005), 최수연(2010)의 질문지와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관한 공문,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 등을 토대로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 1인과 협의·검토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평균 1∼2개에서 최대 6개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었다. 활동의 종류로는 체육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미술, 과학, 음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종일반 유아의 대부분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반일반 유아도 과반수가 참여하고 있었다. 집단 구성은 주로 대집단이었으며 특히 체육의 경우 대집단 활동이 많았고, 상대적으로 과학, 미술, 음악은 소집단의 구성도 많았다. 활동 횟수는 주 1회가 가장 많았고, 활동 시간은 보통 40분∼50분이었으며, 활동비용은 무상이거나 1∼2만 원대가 가장 많았다. 종일제 특성화 강사는 주로 예·체능을 전공하였고 대졸 출신이 많았다. 유아의 과반수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 외에도 1인당 1.6개의 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특별활동의 실시 비율도 높아졌다.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교육과학기술부가 개발한 특성화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으나 일부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담임교사는 주로 보조 교사로 참여하며 특성화 활동 강사와 수시로 협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71.6%의 교사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찬성하였으며, 다양한 경험의 제공을 가장 큰 이유로 손꼽은 반면 반대의 이유로는 교사의 업무 부담의 과중이 가장 많았다. 한편 교사는 필요한 종일제 특성화 활동으로 체육, 음악, 과학, 미술, 외국어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사는 특성화 강사의 전문성과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도, 활동 내용의 적절성 등이 대체로 높다고 평가하며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으로 인한 유아의 스트레스가 적으며 만족도는 높고,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은 적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적정한 특성화 활동의 개수는 2∼3개, 주당 횟수는 주 1∼2회이며, 1회 활동 시간으로 40분∼50분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한편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와 담임교사의 특성화 활동 참여에 대해서는 교사 간 의견이 분분하였으며, 특성화 강사의 채용과 과중한 업무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93.4%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찬성하였으며, 교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경험의 제공을 가장 큰 이유로 손꼽았다. 학부모는 대체로 종일제 특성화 활동 실시 여부를 고려해 유치원을 선정하지는 않으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활동은 체육, 미술, 음악, 과학, 외국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강사의 전문성, 활동 내용의 적절성,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도 등을 높게 인식함으로써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 학부모가 인식하는 특성화 활동으로 인한 유아의 스트레스는 적고 만족도는 높았으며, 학부모의 특성화 활동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생각하는 적정한 특성화 활동의 개수는 2∼3개, 주당 횟수는 주 1∼2회이며, 1회 활동 시간으로 30분∼40분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한편 학부모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내용 및 강사에 대한 안내 부족,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강사의 유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을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how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ose activiti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quality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for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abov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as below;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2. What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s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3. What is the perception of parents towards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81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151 parents.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in consultation with an expe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aking references such a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Kim Beop Jeong(2005), Park Min Seong(2005), Choi Su Yeon(2010), official notice on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nd opinions from the teachers and parents etc.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public kindergartens run 1-2, sometimes as many as 6 different types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Looking at the type of activity, physical education was most common with art, science and music following after respectively. Most children in full-day classes and more than half of children in half-day classes were participating in extra curriculum activities. The size of these activities were mainly in large groups,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ing the largest where as science, art, music classes relatively in smaller groups. The frequency of these activities was mostly once a week and usually lasted 40-50 minutes. Fees to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were either free-of-charge or costed between the range of 10,000 won to 20,000 won per child. Instructors of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were mostly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Besides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kindergartens, over half of the children were taking part in other activities privately, about 1.6 activities per child. In addition, most public kindergartens were utilizing extra curriculum program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ut some were running their own. Kindergarten teachers usual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s assistant teachers while negotiating and discussing actively with the instructors hired from outside. Second, in regards to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towards extra curriculum activities, 71.6% of the teachers endorsed the activities with the top reason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 to children’. On the hand, teachers who were against the activities disapproved mainly due to overload of work. When asked about which activities are required in extra curriculum programs, teachers replied in the order of physical education, music, science, art, foreign language etc. Teachers highly regarded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s and their understand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n the overall, expressed more than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More importantly, they thought children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without much stress and perceived parents did not feel big financial burden to support these activities. They replied 2-3 activities, 1-2 times a week, each activity duration of 40-50 minutes as adequate. Interestingly , opinions on whether to link the regular curriculum to these extra curriculum and whether class teachers should participate or not were divergent. In regards to difficulties they face, recruiting the right eligible instructors from outside and overload of work etc were addressed. Third, in regards to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towards extra curriculum activities, 93.4% of the parents endorsed the activities with the top reason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 to children’ in par with the teachers’ view. It was found that most parents choose kindergartens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extra curriculum or not and listed physical education, art, music, science, foreign language etc as necessary activities. Most parent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s,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nd the understanding level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tc. More importantly, they thought children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without much stress and that financial burden of supporting these activities was low below average. They replied 2-3 activities, 1-2 times a week, each activity duration of 30-40 minutes as adequate. In addition, parents addressed the content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lack of information on the instructors, lack of variety in program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children by the instructors etc as problems to be sol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