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희선-
dc.contributor.author김혜원-
dc.creator김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1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find out search for the desirable educational curriculu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faculty's opinion on music curriculum of Korean music majors in the college of music. Twenty Korean music majors’music curricula from four-year-course colleges of music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an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eachers and instructors educating at college of music. As a result of analysis on traditional music curricula, major subjects are divided into applied music and theory in general. Applied music and training courses include applied music lesson, ensemble with same major students, seminar, instrumental music coaching, korean rhythm coaching, percussion practice, vocal coaching, dance lesson, piano lesson, and computer music. Also, theory courses include korean music theory, western music theory, musicology, music education, oriental music theory, and world music branch. The common subjects which cover all sorts of korean music curricula are inclusive of applied music lesson, ensemble and seminar, korean rhythm coaching in terms of practical subject and introduction of traditional music and history of traditional music in terms of theoretical subject. The questionnaires of survey consist of four different parts which include traditional music curricula, applied music lesson, theoretical subject, and advice o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the majority of educators thinks that the golden ratio for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 should be 30:70, which, after all, makes the present curriculum of traditional music focusing on practical subject pretty much satisfactory. Also, they all agreed that the students learned the most of the study and experience from man to man major practical training, and that is why the college should open more major courses for students' career. Second, educators think it's necessary to open variety of applied music lesson such as instrumental coaching, dance lesson, piano lesson, and computer music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on major subject. At present, most of the college has only an hour of major practice a week and the educators answered two hours a week is the ideal allotment for major practice subject. What they put the most emphasis during applied music courses is individual skill training, whereas they say it is difficult to make time for it. Third, educators think that there should be a certain study order for subjects with connectivity such as introduction of traditional music, Korean musical history, and Korean music analysis and the reason why the western music theory subject is inclusive is because it would help students to widen their musical knowledge by studying universal musical theory. Musicology course would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true value of traditional music. It is also necessary to open various musical subject like oriental music, world music, performing arts, science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What the educators put the most of teaching priority on is to develope basic musical skill. They conveyed that they experience difficulty because of the lack of class participation and the variety of learning ability among students. Fourth, the present goal of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lies in fostering fu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fessionals and the future goal of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should be the extension of their field of activity. For this, they all answered more systematic curriculum is required. A researcher, who revis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Gukak) and its education by researching through the faculty’s opinion, came up with a conclusion that to improve the music curriculum of Korean music majors in the college of music, it needs more variable subjects integrated with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lessons. Also, it needs to be reformed in a systematical way that the future of Gukak and its graduates can offer specialized and specified educations. Further on, I foresaw the Gukak’s attribute to the specialization in the modern society by its education productiveness through making more specialized courses for artists, teachers and theorists in each university. Based on this result,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o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orresponding teaching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at of the more systematic curriculum including applied music lesson and subjects. For further studies, widen and dippened field study on music curriculum are required.;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강사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바람직한 국악과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음악대학 국악과 20개교의 교육과정을 전공교과목 위주로 분석하고, 현재 국악과에서 교수활동을 하고 있는 교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국악과 교육과정 분석 결과 국악과 전공교과목은 크게 실기 및 실습과목과 이론과목으로 나누어진다. 실기 및 실습과목은 전공실기, 같은 전공자간 합주 및 세미나, 부전공실기와 같은 기악실기, 장단실기, 타악실기, 성악실기, 무용실기, 피아노실기, 컴퓨터 음악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국악이론, 서양음악이론, 음악학, 음악교육학, 동양음악 및 세계음악분야 등의 이론과목이 있다. 모든 국악과 교육과정에 공통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과목은 실기과목 중 전공실기, 합주 및 세미나, 장단실기, 이론 과목 중 국악개론, 국악사 과목이었다. 교강사 인식 분석을 위한 설문은 국악과 교육과정 구성, 실기 교과목, 이론 교과목, 국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조언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실시되었고, 설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강사들은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이상적인 비율은 교양과목 30 : 전공과목 70 으로 보았으며, 실기과목 위주의 편성인 현재 국악과 교육과정에 대체로 만족했다. 그리고 전체 교과 중 가장 많은 학습과 경험이 일어나는 것은 1:1 전공실기 수업이며, 진로를 대비한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교강사들은 학습자의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악기실기, 성악실기, 무용실기, 피아노실기, 컴퓨터 음악 등 다양한 실기 및 실습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며, 현재 대부분 학교에서 1주일에 1시간 실시되는 전공실기 시간이 지금보다 더 늘어나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상적인 주당 전공실기 시간으로 2시간을 선택했다. 그리고 실기과목 교수활동 중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실기 부분의 개인적인 기술연마이며, 어려운 점은 시간의 부족이라고 답했다. 셋째, 교강사들은 국악개론, 한국음악사, 한국음악분석을 배우는 연계성 있는 교과목들 간 학습 순서가 필요하며, 서양음악이론과 관련된 교과목이 한 과목 이상 국악과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이유는 보편적인 음악이론의 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넓은 음악적 소양을 갖게 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했다. 음악학 관련 교과목이 개설된 이유는 음악학 안에서 전통음악의 존재가치를 설명하기 위해서라고 보았고, 음악교육 관련 교과목이나 동양음악 및 세계음악, 공연예술관련, 예술학, 문화컨텐츠 등의 다양한 분야의 과목개설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론 교과목의 교수활동 중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음악적 기본기를 쌓는 것이며, 어려운 점은 학생의 낮은 수업참여도와 학생들의 학습능력 수준의 차이라고 답했다. 넷째, 교강사들은 국악과 교육과정의 현재 목표는 국악전문가의 양성이며, 미래의 국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국악전공자의 활동영역 확대로 인식했다. 이를 위한 국악과 교육과정의 개선점으로는 분야별로 향상된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을 꼽았다. 교강사들에게 실시한 국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서 본 연구자는 국악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분야의 실기와 이론을 통합한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며, 미래의 국악과 교육과정이 졸업 후의 다양한 진로에 따라 세분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개편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 대학별로 연주가, 교육자, 이론가 등을 위한 특화된 교육과정을 만들고 제공함으로써 전문화되어가는 현대사회에 적합한 국악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았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국악과 교육과정의 방향 모색에 대하여 국악과 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목에 적합한 교재와 교수자료의 개발, 전공실기의 적합한 교수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실기와 다양한 분야가 결합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앞으로 이루어질 국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좀 더 확장되고 구체적인 연구가 되길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D.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A. 국악교육의 의의 및 방향 7 B. 전국 대학교 국악과 현황 9 C. 대학교 국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10 Ⅲ. 국악과 교육과정 분석 14 A. 계열별 국악과 교육과정 분석 14 B. 국악과 전공교과목 분석 20 Ⅳ. 교강사 인식 분석 26 A. 국악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인식 26 B. 실기 및 실습과목에 대한 인식 30 C. 이론 과목에 대한 인식 33 D. 국악과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개선점에 대한 인식 40 Ⅴ. 결론 및 제언 43 A. 결론 43 B. 제언 46 참고문헌 47 부록-설문지 50 부록-대학별 국악과 교육과정 56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35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강사 인식조사를 통한 음악대학 국악과 교육과정 개선방안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arch for the Improving Measures of Music Curriculum of Korean Music Majors in the College of Music through the Faculty’s Opinion-
dc.creator.othernameKim, Hae Won-
dc.format.pagei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