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생성적 교수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2학년 판소리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Title
생성적 교수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2학년 판소리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Other Titles
The Teaching Plan of Pansori based on Generative Learning Theory for Secon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Authors
황지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지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적 교수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2학년 판소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판소리는 음악적, 문학적, 공연 예술적 성격을 두루 갖춘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이다. 또한 판소리는 무가나 민요 등의 장단, 정서, 어법을 포괄적으로 담아내기 때문에 종합예술로서 그 교육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학교에서 진행되어 온 판소리 교육은 판소리를 감상영역으로만 다루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판소리의 가치와 특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생성적 교수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판소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생성적 교수이론(Generative Learning Theory)은 구성주의 철학에 기초한 이론으로 음악에 개념적으로 접근하고, 학습자가 학습의 주도자가 되어 다양한 음악활동을 경험하게 한다. 이를 위한 교수전략은 음악 개념을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표현하기, 묘사하기, 창작하기 등의 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생성적 교수이론을 적용한 판소리 교육은 판소리를 감상영역으로만 다루어왔던 기존의 음악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판소리를 노래하고, 연주하며, 신체로 표현하는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판소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판소리와 관련된 내용영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2학년의 8종 교과서에서 판소리 학습과 관련된 지도내용을 분석하고,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은 총 2차시로 개발하였는데, 1차시에서는 복식호흡과 통성발성을 사용하여 판소리를 노래하고, ‘제비노정기’ 사설을 이해하며, 중중모리 장단을 연주하도록 하였다. 전개되는 모든 활동에서 생성적 교수이론의 묘사하기, 표현하기, 서술하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표현하게 하였다. 2차시에서는 우조성음으로 ‘제비노정기’를 노래하고, 사설의 내용과 음악적 분위기에 맞게 발림을 하며, 적절한 곳에 추임새를 넣어보게 하였다. 이 차시에서는 생성적 교수이론의 다양한 지식제시 양식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마무리에서는 구성주의에서 강조한 협력학습을 활용하여 모둠 구성원들이 공연예술문화를 체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폭 넓게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교수⋅학습 지도안이 판소리의 가치와 특징을 폭 넓게 담아내고 있으며,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활동을 다루는 만큼 교사가 융통성을 발휘하여 시간 안배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과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하게 내용을 재구성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를 현장에서 적용할 때에 교사가 유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길 권장하며, 생성적 교수이론을 적용한 판소리 교수⋅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국악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생활 속에서 즐기는 태도를 갖게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strategies of the Pansori which is the cultural inheritance of our country for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based on generative learning theory. The Pansori, which is the performing arts to tell a story by singing a song is our unique cultural inheritance. It universally has the musical, literary, and performing artistic feature. Also It is very valuable for education as a composite art because it comprehensively includes the 'Muga', rhythm of the 'Minyo', emotion, and Korean usage. However, the Pansori education, which has done in the classroom has a problem that students couldn't understand the Pansori's value and features because It is treated only in the field of listening without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features of the Pansori. In relation to this I tried to make the Pansori teaching strategies which applied the generative learning theory for the learner pass through a varied experience. The generative learning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nstructivism access the music conceptually and make learners the musical experience through their various activities. For this, The generative learning theory not only presented the musical concept into minutely and systematically for make learners understand more easily and clearly, but also involved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rough various hands-on activities involving expression, description and creation. Therefore the Pansori education to adopt the generative learning theory has the students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to sing, perform, and express the Pansori through their body. It is different way treated the Pansori only in the field of listening. I selected a learning content about the Pansori in revised music curriculum amended in 2007 for to develop the teaching strategies. Prior to choice "jebi-Nojungki" in the "Heungbo-ga" as a thematic song, I analyzed the factor of the Pansori's teaching contents in the eight other textbooks being taught in middle school. The teaching strategies consists of two part. The first part of this teaching plan involved singing the Pansori using abdominal breathing and vocalization by a whole body, getting understand and express the story of the Jebi-Nojungki, in addition performing the rhythm of Jungjungmori. All activities adopted expressing and describing in generative learning theory, make progressed by student experience and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 In the second part involved singing the 'Jebi-Nojungki' by express 'Ujosungeum', doing 'Ballim' fitted into the story and the musical atmosphere, and attempting to put the 'Chuimsae' in the appropriate spot. This part applied mode of knowledge presentation in gererative learning theory. Especially in the end of the class, appling the Consructivism, Student organaize a group for experience a singer, drummer, and audience, student come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the Pansori as the performing arts, and internalize the value of Pansori.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in an actual education setting, I inspected my preliminary plan with current teachers.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I learned that this teaching strategis which is applied generative learning theory. include widely the Pansori's value and features. And It is possible to be applied in school. On the other hand it also showed that the teacher need flexibility to allot appropriate amounts of time for various activities and progress the teaching strategies reorganizing contents to be suitable for the student's each level. In relation to this, I hope that when the teachers apply this teaching plan to the real education, they utilized properly in real teaching setting. Also I expect that students cherish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the Pansori through this teaching plan and they get an attitude loving and enjoying our culture of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