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합창활동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99-2011)

Title
합창활동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99-2011)
Other Titles
Analysis the Trend of Master's Thesis on Chorus from 1999 to 2011
Authors
서경화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교육대학원 및 일반대학원을 대상으로 합창활동 관련 석사학위 논문 324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합창활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창활동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학생이나 전공자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여러 가지 합창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TV를 포함한 각종 매체에서도 합창활동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합창활동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도 제법 풍부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그 동안 합창활동이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어 왔는지 그 경향성과 성과를 점검하여, 향후 합창활동 관련 연구를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과거에도 각각 1992년과 1999년에 합창활동 관련 논문들의 경향성을 분석한 연구가 있었으나, 교육대학원생이 연구한 논문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학교 내에서 행해지는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의 경향성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시기적으로 1999년 이후 현재까지 13년간 발표된 합창활동에 대한 모든 석사학위 논문들을 분석하여, 학교 및 우리 사회 전반에서 실시되는 합창활동의 최근 연구 경향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연구자 및 교사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합창의 정의, 기원, 기능 그리고 의의를 살펴보고, 음악 교육에서 연구 동향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한 뒤, 전국 모든 대학원의 합창활동 관련 석사학위논문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국회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합창활동 관련 논문 324편을 수집하고 연도별, 합창연구의 대상별, 전공별, 주제별, 연구방법별 분류를 통해 그간의 연구경향을 분류·분석하였다. 나아가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합창활동 관련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합창활동 관련 학위논문을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별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조사기간 중 첫해인 1999년에는 14편의 합창활동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3년도부터는 2006년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25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2011년도는 10월 기준으로 18편이 제출되어 있어서, 하반기 발표되는 논문까지 포함하면 최근의 논문 수의 증가세는 충분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합창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연구의 수도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창연구의 대상별 연구경향에서는 학교 내에서의 합창활동의 대상이 학교 외 기관에서의 합창활동의 대상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 사회의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가 학교 내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음을 의미하며, 합창활동에 관한 연구의 다양화를 위해 학교 외 기관에서의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자의 전공별 연구경향을 살피면, 교육대학원생의 논문이 비교육대학원의 논문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 중에서도 음악교육전공자가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대학원에서는 합창지도에 관한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였고, 음악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서는 합창활동 관련 실태조사 및 활성화에 관한 논문을 주로 발표하였다. 세부 분석을 통해 전공에 따른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주제별 연구경향에서는 합창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실태조사 및 활성화, 기타 주제, 합창활동이 미치는 영향, 합창제재곡의 분석 및 재구성의 순으로 많은 수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대부분의 연구가 합창지도방안과 실태조사 및 활성화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다보니 중복되는 내용의 논문이 많았다. 연구방법별 연구경향에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시도되었고, 그 다음으로 조사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실험연구, 준실험연구, 관찰연구, 역사연구는 사용 빈도가 낮았다. 연구방법의 다양화 및 검증을 위해 관찰연구나 실험연구등의 확대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합창활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합창에 참여하는 다양한 대상에 대한 균형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합창활동 연구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교육대학원생은 교육적 목적의 연구에 집중하고, 그 외 대학원에서는 각자의 전공분야의 관점을 적용하여 전문성이 높은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검증과 평가결과가 포함된 객관적인 합창지도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연구논문의 제목과 실제 연구 내용을 일치시켜서 연구의 경향성 분석이나 자료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복된 주제를 피하고 창의적이고 특색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study on chorus by analyzing the trend of 324 master's to the researchers who study chorus. Many people including chorus are joining chorus in our society, also the broadcast media including TV deal with chorus significantly. For this reason, we can see lots of research related with chorus. At this point, it is needed to analyze trend and result of study about chorus, to attempt chorus study to proceed to organized and progressive direction. Similar studies to investigate trend of chorus were tried in 1992 and 1999, however they just dealt with studi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it is possible to see the trend of chorus only in school. In this study, all theses about chorus would be included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9. By this, I would like to supply data to teachers and researchers for future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I have identified the meaning, origin, function and value of chorus, and then seen the necessities of trend analysis in music education, lastly I arranged all the master's theses about chorus. Collected 324 master's theses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Korea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Servi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ritten years, objects, majors, subject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trend of study about years, just 14 theses were presented in 1999, more than 25 theses have been being published except 2006 since 2003. In 2011, just 18 theses have been published until now, current increasing trend would be not changed. It means that interest is increased about chorus, also increase the number of study. Regarding objects, the studies on students are much more than them on ordinary people. It means the studies about chorus is focused on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 terms of majo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much more than non-graduate schoo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education was most. Chorus education was the most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act finding survey and vitalization was the most in the non-graduate school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subjects in the theses was chorus education, fact finding survey and vitalization, the effects of chorus, analysis and arrangement of chorus songs in order of percentage. Because most of studies were focused on only chorus education and fact finding and vitalization, many of them tend to be overlapped. As for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next was survey. Experimental research, quasi-experimental research, observation research, historic research were used very little. To diversify research method and prove the result, observation research or experimental research should be tried more. The suggestions for study of chorus are stated as below. Research objects should be diversified. Researchers need to study many chorus conducted out of school. Study should be specialized based on the major. It is required Chorus education to includ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result. The title of study should be matched with subjects. It is necessary to be presented creative and uniqu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