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73-
dc.description.abstract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2000년대를 대비한 교육 개혁을 시작하였다. 다가올 미래 사회는 이전 사회와는 다른 사회 구조를 보일 것이라는 예측하에, 개인적으로는 새로운 미래 사회에 적응을 하고, 국가적으로는 미래 사회에서도 세계 우위를 계속 지키기 위한 노력이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교육 개혁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우리 나라도 몇 차례의 교육 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최근의 7차 교육 과정은 그러한 사회의 변화를 잘 반영한 교육 개정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의 육성' 이라는 기본 방향을 가지고 시행된 제7차 교육 과정은 정보화 시대를 대비하여 단순한 기능인이 아닌, 자기 주도적으로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인간 형성을 기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차 교육 과정에서는 그동안의 교육 과정에서 볼 수 없었던 몇 가지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교육 과정 변천사를 살펴보고, 교육 과정이 개정되어야 했던 시대적이 배경과 개정된 7차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기존의 교육 과정과 다른점을 비교해보고, 7차 교육 과정이 우리 교육 현장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진국의 과학 교육 과정 중에서 미국의 '국가 과학교육 기준(NSE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의 내용을 분석하여 우리 나라 7차 교육 과정과의 비교해 보았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복 이후 7차례의 교육 과정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중학교 과학 교육의 목표는 과학 원리와 법칙의 이해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점차 바뀌었다. 둘째, 각 시기 교육 과정의 변화는 우리 사회의 변화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당시 유행하던 외국의 과학 교육 사조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셋째,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초·중·고 학교급간의 분리가 없어지고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이 설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학습량이 줄어들었다. 저학년에서는 주로 현상 중심의 내용을, 고학년으로 갈수록 개념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의 인지 발달 단계에 맞는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학생의 학습 능력에 따른 수준별 학습이 시행된다. 넷째, 미국의 NSES는 교육 과정 설계를 위한 안내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세한 교육 목표나 교육 내용에 대한 기술 대신 각 학년에서 도달해야 할 과학 내용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다. 각 학교와 주는 제시된 내용 기준들을 자신들의 현실에 맞는 교육 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 과정의 변화에 따른 연구와 함께 교육 과정 운영과 성취와 평가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7차 과학 교육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심화·보충형 수업에 대한 보다 많은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새로운 교육 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자율성이 부과되어야 하며, 교사의 학습 외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미국의 경우 유연성 있는 제도와 재정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우리도 교육 운영의 융통성과 지원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cience teachers make curriculum sreative, flexible, self-controlled by observing science education objectives analysis of education content,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um. In Summary, 1st, the objectives of middle school science has changed from scientific principle. In 7th educational curriculum(EC) is to apply basic scientific concept to real situation through a quest of nature in an intellectual field. 2nd, the 7th EC is resiponsible for strngthening the research process. 7th educational curriculum(EC) are a 10-year science course of public-common-basic educational cutticulum, and in lower grades, the content is usually phenomena and is shorter by one lesson but the number of lessons if larger. In higher grades, the content is gradually becomes more conecept based, The content is larger while the number of lessons is small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attach to the searching process. The noticeable remarks of the 7th EC in comparison with the 6th EC are summarized as follows. 1st, that is reduction in the amount of learning the connection between and elementary school. In middle school, there are 3 science classes in a week, decreased on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ublic-common-basic curriculum. 2nd, the statement of objective is changed from theaching-pointed to student-pointed. 3rd, in th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it is attempted to overcome the time and spatial restriction in accordance with free education and new information era. And 4th, the scope of evaluation is added new introducing the deepen and supplementary courses, however no remarks of training evaluation are found. Finally, the reform efforts of science education in USA became by Federal State. Today, NSES(National Science Educaion Standards) and other projects for science in USA look for 'Science For All America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4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교육 과정의 개념 = 6 B. 중학교 과학 교육의 성격 = 12 C. 선행 연구 = 15 III. 연구 방법 = 17 A. 우리 나라의 과학 교육 과정 분석 = 17 1. 우리 나라 과학 교육 과정 변천 연구 = 17 2. 교육 과정 개정의 필요성 분석 = 17 3. 제7차 과학 교육 과정의 분석 = 17 B. 미국의 과학 교육 과정 분석 = 18 1. 미국 교육 과정의 변천 연구 = 18 2. 교육 과정 개정의 필요성 분석 = 18 3. NSES의 분석 = 18 C. 7차 교육 과정과 NSES의 비교 = 1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19 A. 한국의 과학 교육 과정 = 19 1. 과학과 교육 과정의 변천 = 19 2. 중학교 과학 교육 과정 개정의 필요성 = 24 3. 제7차 과학 교육 과정 = 26 B. 미국의 과학 교육 과정 = 41 1. 미국의 과학 교육 과정 변천 = 41 2. 미국 과학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 44 3. 국가 과학 교육 기준(NSES) = 45 C. 한국의 7차 과학 교육 과정과 NSES의 비교 = 54 V.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2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7차 교육 과정과 국가 과학 교육기준(NSES)을 중심으로 살펴 본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