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Title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Authors
임난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student in middle school in the wake of the 7th education process in order to see how the revision of education process have affect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nd suggest directions to improve instruction-learning method and textbook by investigating problems occurred at the scene of instruction. In the second chapter, I review the history of education process until the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student in middle school of each period. After investigating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I compare it with the 6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In the third chapter, I investigate the basic direction of revising the 7th Korean language textbook suggested in the instruction manual for the teacher, and analyze how effective this textbook is through relation between education process and textbook, contents system, area distribution, integration of areas and selection of theme focusing on [ Korean language ] and [Living Korean language], which is the main Korean language text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after the 7th education process. In the fourth chapter, I conduct survey to see how teachers achieve the goal of the new education process through textbooks. And, I provide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for the efficient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wo separate categories-contents construction and area construction. Researching finding shows that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student in middle school in the wake of the 7th education process is positive in that it contains essays of diverse themes emphasizing the student's daily life and experience to realiz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y to use the language creatively'. In reality, however, teachers see this simply as the increase of learning material due to the lack of proper instruction & learning method. Teachers also have difficulty in teaching each area with the same emphasis because there are too any contents in 「Korean language」which is composed of reading and literature. In addition, supplementary in-depth class for different levels cannot produce anticipated outcome because circumstance at the school is not established properly yet. Therefore, we should develop diverse textbooks reflecting students' diverse level,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and improve teacher's ability to make the best of education materia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o this en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should reduce class size and teacher's administrational burden, activat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establish evaluation method for supplementary in-depth class.;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진단하여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서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I장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개정되기까지 이전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과 각 시기에 편찬된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본 다음, 제6, 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III장에서는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제7차 국어 교과서 편찬의 기본 방향을 살펴보고,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인 「국어」와 「생활 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 단원 구성의 체제, 영역 분포 및 영역간 통합 양상, 제재의 선정을 통하여 교육 목표를 실현하는데 효율적인 교과서인가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과서를 통해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실현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분석 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국어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단원 구성과 영역 구성으로 나누어 제시해 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과정을 통하여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는 '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 신장'이라는 국어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 생활과 경험을 중시한 다양한 제재 글의 수록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만 하나 이에 대한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미비로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량의 증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리고 읽기와 문학 영역으로 구성된 국어에 배정된 단원수나 시수가 많아 실제 각 영역의 내용을 균형있게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어과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교과서에서는 보충·심화 활동으로 반영되었는데 다인수 학급,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미비, 수업 시수 부족 등 현장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기대하는 성과를 얻어내기까지는 현장의 의견을 수렴한 여러 가지 보완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 여건을 극복하고 국어과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국어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수준과 특성, 흥미 등을 반영한 다양한 교과서 개발의 필요성, 교사의 교재 활용 능력이 중시되는 만큼 이에 따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활성화, 시수 부족과 학습량 증가를 보완하기 위해 영역간 통합을 시도할 수 있는 구성 방안이나 지도 내용 마련, 심화보충 내용에 대한 평가 방안 마련, 학급당 학생수 감축, 국어과 교사의 업무 경감 등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