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숙-
dc.creator이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5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at influence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for the applicants for admission to colleges in 2002, has upon secondary schools. For this study, bibliograph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field research section i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problems with the present entrance system, the contents of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and the effect of the new system on high school educa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with the present college entrance syst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xcessive private education expenses, 2. distor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purpose, 3. difficulty in education of personality, 4. difficulty in character building, 5. ranking of high schools and colleges Second, The new system has diversified screening factors such as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special talent and aptitude assessment, school records, and different requirements of each university. As for the new system, it is preferred to give additional points to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ajor.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be raised considering the gap of academic abilities between high schools. There are many objections to us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volunteer activity as a data for screening. Especially, Students showed their preference for increased percentage of special talent and aptitude assessment. More students showed their preference for at-any-time admission. Third, the change in high schools by the effects of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is very negative. The lack of information causes confusion. The big burde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till exists. Improv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is unsatisfactory. There are also many negative views on inflating school records and award careers, leaving school of excellent students, an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due to out-of-school studies. However, the following are considered as positive effects of the new system: expansion of special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increase of chances to enter college at any time and to enter college by only recommendation, and efforts to carry out performance evaluation.;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학생들이 대입준비에 지나치게 매달리면서 학교교육이 창의력을 배양하는 데에 소홀하며, 학교 밖에서의 교육 또한 창의력 배양에 실패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와 함께 교육개혁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매우 높고, 대학입시로 인해 많은 국민이 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교육개혁의 중요한 부분인 대학입시제도에 관한 새로운 방안을 발표하였다. 2002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될 이 새로운 대학입시제도에 관하여 많은 국민들이 기대와 우려를 갖고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새로 발표된 대학입시제도에 관하여 문헌연구와 함께, 교육관련 집단인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고등교육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대학 입학시험제도의 이념과 원칙, 대학진학 수요와 관련한 한국사회의 교육열, 한국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변천과정, 주요국의 대학 신입생 선발제도 실태, 2002년 시행 예정 대학입학 전형제도의 내용 및 특징 등에 관해 알아보았다. 한편, 조사연구에서는 이제까지의 입시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인식, 2002년 새 입시제도의 내용에 관한 인식, 2002년 새 입시제도가 고등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등 세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하여 교사 및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작성하였다. 대상 집단은 서울시내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 186명, 학부모 186명, 학생 233명 등 총 605명이며, 학부모와 학생은 새 입시제도의 적용을 받는 1,2학년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답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 방법과 연속 변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 편차 등의 서술 통계치와 평균을 비교하여 순위 분석을 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집단, 계열별 응답 비율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χ²(Chi-square)검정을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SPSS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의 대학입시제도의 문제점에 관해서는 사교육비 부담, 고등학교 교육목표의 왜곡, 인성교육실시의 어려움, 창의력과 같은 고등정신 능력배양의 곤란, 대학별 특성화의 어려움, 고교와 대학의 서열화 등에 관해 심각한 문제라는 공통된 견해를 보였다. 이 중 모든 집단에서 사교육비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년 새 대입 전형제도의 내용에 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생활기록부의 활용에 있어서 교과성적의 경우 전과목보다는 전공과 관련된 과목 및 전공과 관련된 활동에 가중치나 가산점을 주는 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학교생활기록부 반영시 학교간 격차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전국 표준학력시험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에 관해서는 공정성 문제와 부담 가중을 이유로 부정적 견해를 나타내었다. 봉사활동은 전형자료로 적용하는 데에 있어서 반대의견을 보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활용은 전공과 관련된 영역에 가중치를 두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현재의 난이도는 적절치 않으므로 좀더 어려워져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난이도가 낮을 경우 대학생 재수 현상증가, 변별기능의 저하 등으로, 대학별 고사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수리탐구(II)영역의 선택과목제는 부담경감이라는 긍정적 효과가 있으나,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저해하기 때문에 부정적 측면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시험의 9개 등급제에 대해서는 반대가 찬성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제2외국어를 수능시험에 포함시키는 문제는 부담가중을 이유로 반대하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특기적성비율의 확대는 특히 학생들이 선호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력경시풍조를 가져올 가능성에 대해서 우려한다는 응답도 많았다. 수시 입학전형의 확대는 찬성이 우세했으며 그밖에 선배들의 대학생활 실적에 따라 고교에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반대가 우세하였다. 사회적으로 불리한 소수계층의 특별전형에는 찬성하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새 대입전형제도의 영향으로 고등학교 현장에서는 충분한 연수와 홍보의 부족으로 극심한 혼란을 느끼고 있으며 자율학습, 보충수업이 폐지되었으나 여전히 입시에 대한 부담감은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고, 인성교육기회의 확대, 교사들의 입시지도 부담 경감, 신념 있는 교육관 실천기회 확대 등에도 모두 부정적 견해를 나타내었다. 학생부 반영비율을 높여도 학생들의 수업태도 개선에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구 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여전히 줄어들지 않았다. 실험·실습운영도 별로 충실해진 것이 없으며, 수행평가에 대해서도 반대의견이 높고 수업 개선효과도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행평가는 교사들의 경우 대체로 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견해를 보였으나, 창의적 수업방법개선에는 별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 반영비율이 확대되어 성적 부풀리기, 수상경력 부풀리기, 우수고교생의 자퇴현상이 심각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제2외국어가 수능시험에 포함되어도 수업태도에는 별 영향을 주지 못하며 수능시험의 난이도가 낮아져도 과외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완만한 변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건은 대단히 미흡하며, 내실화도 미진하고, 적절한 프로그램 제공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시대회는 참여자가 중복되어 전체적으로는 수상기회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사교육비가 증가되어 또 하나의 사교육비 유발요인이 되고 있다. 수시 및 추천입학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나 그 기준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역할과 기능이 시대에 따라 바뀌어도 입시는 여전히 선발적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선발에 맞는 적절한 제도확립, 한국사회의 특별한 현상의 하나인 교육열에 대한 거시적 대처방안 등의 마련과 함께 대입제도의 개선방안이 마련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마련된 새로운 입시제도의 많은 문제점이 드러난 이상 이의 보완을 위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고등교육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 5 1. 고등교육의 이념과 기능 = 5 2. 고등교육의 의미와 역할의 변화 = 12 3. 현대사회의 고등교육 = 14 B.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이념과 원칙 = 17 1.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이념 = 17 2.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원칙 = 19 3.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기능과 갈등 = 23 C. 한국사회의 교육열과 그 변화 = 26 1. 교육열의 개념 = 26 2. 교육열에 관련된 이론들(외국이론) = 28 3. 한국사회의 교육열과 고유의 이론 모형 탐색 = 33 D. 한국의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변천과정 = 39 1. 한국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특징 = 39 2.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변천과정 = 40 E. 주요국의 대학신입생 선발제도 실태 = 53 F. 2002년 시행 예정 대학입학 전형제도 = 58 1. 기본 철학 = 58 2. 2002년 대학 입학제도 개선 추진경과 = 60 3. 주요 내용과 특징 = 62 4. 전형자료 = 67 5. 전형유형 및 방법 = 69 6. 전형 일정 = 70 7. 기타사항 = 71 III. 연구 방법 = 72 A. 조사대상 = 72 B. 조사도구 = 72 C. 자료의 처리 = 74 IV. 연구 결과 = 75 A. 현재까지 대입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분석 = 75 B. 2002년 새 대입전형제도의 내용에 대한 의견 분석 = 76 1. 대학입학 전형자료에 관한 선호도 = 76 2. 학생부 활용방법 = 77 3. 교과목 성취수준의 학교 차 문제 = 77 4. 수행평가 관련 의견 = 79 5. 봉사활동에 관한 의견 = 81 6. 대학수학능력시험 적용 방법 = 81 7.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에 관한 의견 = 82 8. 선택과목제에 대한 의견 = 85 9.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등급화 및 배점에 대한 의견 = 87 10. 제2외국어 포함에 대한 의견 = 89 11.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의견 = 91 12. 수시입학 전형확대에 대한 의견 = 93 13. 기타 전형방법에 대한 의견 = 95 C. 2002년 새 대입전형제도의 영향으로 인한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 97 1. 학교현장의 전반적인 변화 = 97 2. 학교생활기록부와 관련된 변화 = 101 3. 대학수학능력시험관련 변화 = 109 4. 특기적성 교육과 관련된 변화 = 110 5. 기타 대입제도 관련 변화 = 114 V. 요약 결론 및 논의 = 118 A. 요약 = 118 B. 결론 및 논의 = 122 참고문헌 = 125 부록 = 131 ABSTRACT =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0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2002년 시행 예정 대학입학 전형제도가 고등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