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자-
dc.creator최윤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집단따돌림을 피해와 가해 행동으로 나누고, 이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으로 자아개념 및 귀인성향을 설정하여 집단따돌림 행동이 자아개념 및 귀인성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들 변인이 집단따돌림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의 중학교 7개교와 인천광역시 소재 중학교 1개교의 총 15학급의 남·여 중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행동, 자아개념 및 귀인성향의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결측치가 있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자료 등을 제외하고 415명(남학생 207명, 여학생 208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 대상의 40.5%가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을, 54.2%가 집단따돌림 가해 경험을 보고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 현상이 상당히 일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집단따돌림 행동의 발생 유형은 욕하거나 놀리거나 관계에서 소외시키는 간접적인 따돌림이 전체 따돌림 발생 빈도의 80%이상을 차지하였다. 3. 집단따돌림 행동을 학년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피해, 가해 행동 모두 1학년에서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따돌림 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집단따돌림 피해 행동과 가해 행동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가해 행동을 많이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5. 집단따돌림 피해, 가해 행동과 총 자아개념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집단따돌림 피해 행동은 내적 귀인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외적 귀인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가해 행동은 외적 귀인성향과 정적 상관을 이루었다. 7. 집단따돌림 피해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집단따돌림 가해 행동으로 나타났고, 집단따돌림 가해 행동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는 가정적 자아개념, 도덕적 자아개념, 집단따돌림 피해 행동, 귀인(운), 사회적 자아개념, 귀인(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집단따돌림 행동과 심리적 변인으로서의 자아개념 및 귀인성향과의 상관 형태를 밝힘으로써 집단따돌림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이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접근 및 적응증진을 위한 심리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즉, 집단따돌림 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내적 귀인성향을 함양할 수 있는 귀인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인생의 중요한 사건들은 자신의 힘으로 주재할 수 있다고 가르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The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how bullying-around behaviors,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are related to self-concept and locus of control. To do so, at first bullying-around had to be discriminated between being bullied behavior and a bully-behavior, and self-concept and locus of control had been set up as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hese behaviors. The second purpose was to discover relative influence that the variables affect bullying-around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A detailed survey on bully-around behaviors, self-concept and locus of control was conducted among 8 junior-high schools(7 schools in Seoul, 1 school in Inchon)of 415 students(207 boys and 208 girls in total).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It was reported that 40.5 percent of 415 students had experienced being bullied and 54.2 percent had a bully-experience. 2. From the total bullying-around types, those indirect-bullying behaviors including making fun of, cursing, and neglecting were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formed more than 80 percent. 3.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bullying-around behaviors, 7th grade students had the most frequent chances of being bullied and bully behavior than others. 4. It was revealed that being bullied and bully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ose who have had lots of experience to be bullied tend to be more bullies to others. 5. Two relationships, between self-concept and being bullied, and between self-concept and bully behavi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6. Being bullied behavior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locus of control and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locus of control. Bully-behavior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locus of control. 7. The variable that affect being bullied behavior significantly was bully behaviors. Also The variables that affect bully behaviors significantly were family self-concept, ethical self-concept, being bullied behavior, locus of control(fortune), social self-concept, and locus of control(ability).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how bullying-around behaviors are related to self-concept and locus of control. By knowing these facts,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ounselling and intervention program on bullying-around. In other words, the way of prevention and solution to bullying-around are the persistent effort of family, school, and society for students to form the positive self-concept. Also organizing and carrying programs for students to cultivate internal-locus of control and teaching to control any important tasks in their lives are the most highly regar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집단따돌림 = 6 1. 집단따돌림의 개념 = 6 2. 집단따돌림의 실태 및 유형 = 9 1) 집단따돌림의 실태 = 9 2) 집단따돌림의 유형 = 10 3. 집단따돌림 행동과 관련된 요인 = 12 1) 환경적 요인 = 12 ① 가정적 요인 = 12 ② 교육·사회적 요인 = 13 2) 개인적 요인 = 15 4. 집단따돌림의 영향 = 17 B. 자아개념 = 19 1. 자아개념의 의미와 형성 = 19 1) 자아개념의 의미 = 19 2) 자아개념의 형성 = 21 2. 자아개념과 대인관계 = 22 C. 귀인성향 = 25 1. 귀인성향의 개념 = 25 2. 귀인성향과 대인관계 = 28 III. 연구 방법 = 31 A. 연구 대상 = 31 B. 연구 절차 = 32 C. 측정 도구 = 32 1. 집단따돌림 행동 = 32 2. 자아개념 = 33 3. 귀인성향 = 33 D. 분석 방법 = 34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5 A. 집단따돌림 행동의 발생 비율 = 35 1. 피해 행동의 발생 비율 = 35 2. 가해 행동의 발생 비율 = 36 B. 집단따돌림 행동의 발생 유형 = 37 1. 피해 행동의 발생 유형 = 37 2. 가해 행동의 발생 유형 = 38 C. 집단따돌림 행동의 학년별, 성별 차이 검증 = 39 1. 집단따돌림 행동의 학년별 차이 검증 = 39 2. 집단따돌림 행동의 성별 차이 검증 40 D.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 41 1. 집단따돌림 피해 행동과 가해 행동 간의 관계 = 42 2. 집단따돌림 행동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 = 42 3. 집단따돌림 행동과 귀인성향 간의 관계 = 43 E. 각 변인들이 집단따돌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44 1. 각 변인들이 집단따돌림 피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44 2. 각 변인들이 집단따돌림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45 V. 요약 및 논의 = 46 참고 문헌 = 52 부록 = 59 영문 초록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84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집단따돌림 행동과 자아개념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