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영-
dc.creator박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의 요구의도 및 요구와 반응의 전략과 그들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와 교사의 요구의도는 어떠한가? 2. 유아와 교사의 요구전략은 어떠한가? 3. 유아와 교사의 반응전략은 어떠한가? 4. 유아와 교사의 재요구 전략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유치원의 4, 5세 교사 10명씩 총 20명의 교사와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이다. 연구도구로 요구의도와 요구전략은 각각 성미영(1997)의 범주, Prinz(1982)의 범주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반응전략은 강경아(1999), Levin과 Rubin(1982), Kochanska와 Aksan(1995)의 범주를 참고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재요구 전략의 범주는 Levin과 Rubin(1982)의 범주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자유활동시간에 교사를 중심으로 유아와의 모든 상호작용을 관찰 기록하였다. 자료분석은 먼저 요구와 반응의 에피소드를 구분하고 요구의도, 요구전략, 반응전략, 재요구 전략의 각 범주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교사의 요구의도에서 유아는 주의집중 요구, 행동 요구, 정보 요구의 순으로, 교사는 행동 요구, 정보 요구, 견해 요구의 순으로 요구의도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상대적으로 유아는 주의집중 요구를 더 사용하는 반면 교사는 행동, 정보, 견해 요구를 더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요구의도에서는 4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주의집 중 요구의 사용경향은 더 높게, 정보 요구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교사의 요구의도에서는 상대 유아가 4세인 경우는 상대 유아가 5세인 경우보다 정보 요구의 사용 경향은 더 높게, 행동 요구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와 교사의 요구전략은 동일하게 직접적 요구, 간접적 요구, 기타, 물리적 요구의 순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상대적으로 유아는 교사보다 간접적 요구, 물리적 요구, 기타의 사용경향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직접적 요구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직접적 요구의 하위범주에서 유아는 의문형, 공손지시, 지시의 순으로, 교사는 의문형, 지시, 공손지시의 순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직접적 요구의 하위범주에서 상대적으로 교사는 유아보다 지시와 의문형을 더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간접적 요구의 하위범주에서는 유아와 교사가 동일 하게 암시형, 간접요구 의문형, 선언형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여기서 유아는 교사보다 암시형을 더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요구전략에서 4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기타 의 사용경향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직접적 요구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직접적 요구의 하위범주에서는 5세 유아가 4세 유아보다 의문형을 더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교사의 요구전략에서 교사는 상대 유아가 4세인 경우 에 상대 유아가 5세인 경우보다 의문형을 사용하는 경향이 더 높은 반면 지시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요구의도에 따른 요구전략에서 요구의도가 견해, 명료화, 허락인 경 우에 유아와 교사는 공통적으로 의문형에 크게 의존하였다. 반면, 행동인 경우 유아는 암시형, 교사는 지시의 사용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인 경우 유아는 암시형, 기타, 교사는 기타의 사용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와 교사의 반응전략은 유아의 연령에 상관없이 수용적 반응과 거부적 반응의 순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상대적으로 유아는 교사보다 수용적 반응의 하위범주인 순응적 수용의 사용경향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무반응과 반문적 반응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거부적 반응의 하위범주에서 유아는 교사보다 소극적 거부의 사용경향이 더 높은 반면 협상적 거부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유아는 연령에 상관없이 수용적 반응의 하위 범주로 순응적 수용, 상황적 수용의 순으로, 거부적 반응의 하위범주에서는 소극적 거부, 협상적 거부, 단순 거부의 순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는 상대 유아의 연령에 상관없이 수용적 반응의 하위범주에서는 순응적 수용, 조건적 수용의 순으로, 거부적 반응의 하위범주에서는 협상적 거부, 소극적 거부의 순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와 교사의 요구전략에 따른 상호간 반응전략에서는 요구자, 요구전략에 상관없이 수용적 반응인 순응적 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와 교사의 재요구 전략에서 유아는 다른 대안 반응, 고정적 재 요구, 융통적 재요구, 명료화 요구의 순으로, 교사는 다른 대안 반응, 융통적 재요구, 고정적 재요구, 명료화 요구의 순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상대적으로 유아는 교사보다 고정적 재요구와 다른 대안 반응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던 반면 교사는 유아보다 융통적 재요구를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재요구 전략에서 4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융통적 재 요구의 사용경향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대안반응의 사용경향은 더 낮게 나타났다. 반응전략에 따른 상호간 재요구 전략에서 교사의 반응전략이 소극적 거부, 무반응인 경우는 유아의 고정적 재요구의 사용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협상적 거부, 관련없는 반응에서는 다른 대안 반응의 사용경향이 높게 나타 났다. 한편 교사는 유아의 반응전략이 소극적 거부, 단순 거부에서는 융통적 재요구의 사용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협상적 거부, 무반응, 관련없는 반응에서는 다른 대안 반응이, 해석할 수 없는 반응에서는 명료화 요구의 사용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ur-and five-year-old Children's and their teachers' request intents, request and responsive strategie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m among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 and the teacher. For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general characterlistics of children's and teachers' request intents? 2. What are general characterlistics of children's and-teachers' request strategies? 3. What are general characterlistics of children's and teachers' responsive strategies? 4. What are general characterlistics of children's and teachers' rerequest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ach ten teachers taking care of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respectively, 20 in total, at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Children receiving their care. Observation of all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 and the teacher was made centering around the teacher during the free activity class, and the results were recorded. In analyzing data, request and responsive episodes were divided,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category, i.e., request intent, request strategy, responsive strategy and re-request strategy were foun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Children and teachers had lots of request for behavior and information in common, but as for the difference in percentage by the type of request intent, the degree of request for attention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Children while teachers showed a relatively higher degree of request for opinion, information and behavior. As for the difference in request intent by the age of Children, four-year-old Children made requests for attention more frequently than five-year-old Children did and less requests for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tended to make requests for information more often when they were with four-year-old Children than they were with five-year-old Children and less requests for behavior. Second, Both Children and teachers had the same request strategies preferring direct request, indirect request, etc., and physical request in that order. As for the difference in percentage by the type of request strategy, Children showed higher degrees of indirect request, physical request, and etc., and a lower degree of direct request than teachers did. In the subcategory of direct request, Children preferred questionary form, polite direction, and direction in that order while teachers preferred questionary form, direction, and polite direction in that order. In the subcategory of indirect request, both Children and teachers had the same strategies preferring implicit form, indirect questionary form, and declaratory form in that order. As for the difference in request strategies by the age of Children, four-year-old Children prefered etc more than five-year-old Children did and less direct request. On the other hand, teachers prefered questionary form more often when they were with four-year-old Children than they were with five-year-old Children and less requests for behavior. Meanwhile, As for the request strategy differed by intent, Children and teachers mostly relied on questionary form, a direct request strategy, when they requested for opinion, clarification, and information, and this was the same. Third, As for the responsive strategy, both Children and teachers relied on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in that order regardless of Children' age. In the subcategory of compliance, Children showed a higher degree of committed compliance and lower degrees of no response and returning questions than teachers did. On the contrary, In the subcategory of noncompliance, Children showed a higher degree of passive noncompliance and lower degrees of negotiational reject than teachers did. Among the reciprocal response strategie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committed compliance were the highest in degree regardless of request strategy. Fourth, As for the re-request strategy, children had the re-request strategies prefering other alternative response, rigid re-request, flexible re-request, request for clarification in that order. On the contrary, teachers had the re-request strategies prefering other alternative response, flexible re-request, rigid re-request, request for clarification in that order. As for the relation between re-request and responsive strategies, Children showed a high degree of making the request again when teachers gave a passive reject or no response, while other alternative respose was frequented when teachers gave a negotiational reject or irrelevant response. On the contrary, teachers showed a high degree of making the flexible re-request when children gave a passive noncompliance or simple noncomphane, while other alternative respose was frequented when teachers gave a negotiation, no response, or irrelevant respon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요구의 정의 및 의도 = 6 B. 요구전략 = 10 C. 반응전략 = 17 D. 재요구 전략 = 24 III.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35 D. 자료분석 = 36 IV. 연구결과 및 해석 = 37 A. 유아와 교사의 요구의도 = 37 B. 유아와 교사의 요구전략 = 39 C. 유아와 교사의 반응전략 = 45 D. 유아와 교사의 재요구 전략 = 53 V. 논의 및 결론 = 58 A. 논의 = 58 B. 결론 = 66 C. 제한점 및 제언점 = 68 참고문헌 = 70 부록 = 77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483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와 교사의 요구의도 및 요구와 반응의 전략-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