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자숙-
dc.creator김자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유아의 지각과 만족도 및 갈등지각은 어떠하며, 사회적 지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유아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의 관계를 알아 보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에 대한 유아의 지각은 어떠한가? 1-1. 사회적 지지의 지각과 만족도는 어떠한가? 1-2. 사회적 지지원에 대한 갈등지각과 갈등정도는 어떠한가? 2. 사회적 지지의 만족도는 유아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 조부모와의 동거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사회적 지지에 대한 유아의 만족도와 유치원에서의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강북지역의 유치원 만 5세 학급 유아 106명과 그들의 담임 교사이다. 유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에게 일대일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문항은 Reid, Landesman, Treder와 Jaccard(1989)가 제작한 '나의 가족과 친구들'(my family and friends)을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정서적 적응행동 및 문제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가 제작한 유치원 적응행동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와 Behar와 Stringfield(1974)가 제작한 유아 행동 질문지(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를 번안 수정하여 담임교사에게 유아의 행동을 평정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DV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사회적 지지 유형별 지각을 알아보면 정서적 지지는 어머니에게 제일 먼저 요청하며 정보적 지지 요청도 어머니에게 제일 먼저 요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적 지지는 친구에게 요청하며 도구적 지지는 아버지에게 제일 먼저 요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가 지지를 요청했을때의 만족도는 정서적 지지는 어머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정보적 지지 만족도와 도구적 지지 만족도는 아버지가, 동료적 지지 만족도는 친구가 제일 높았다. 1-2. 유아가 갈등을 지각하는 대상은 형제, 친구, 어머니 순이었으나, 갈등 정도는 친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형제, 아버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조부모와 교사에 대해서는 갈등 지각과 갈등 정도 모두 낮게 나타났다. 2. 유아의 성별에 따라 사회적 지지원에 대한 지지 만족도에 차이가 없었다.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다른 사회적 지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차자녀가 장자녀 보다 형제 지지만족도가 높았다.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는 다른 지지원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어머니가 취업한 유아일수록 형제 지지 만족도가 높았다. 조부모와의 동거 여부에 따라서는 사회적 지지원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없었다. 3. 유아의 사회적 지지만족도와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서적 지지 만족도, 동료적 지지 만족도와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 각각 정적 상관이 있었다. 정서적 지지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 정서적 적응행동의 하위 요인중에서 긍정적 정서, 자아상태, 하루일과 적응행동 이 높았고, 동료적 지지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정서적 적응행동의 하위 요인중에서 자아상태와 또래간 적응행동이 높았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자아상태는 교사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고,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유아는 불안-두려움을 나타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children'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conflic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resources. This study also intend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affect the degree of the children's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the kindergarten children perceive social support? 1-1. How thei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vary as to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1-2. How their conflict perception and degree of conflict vary as to diffrent social support resources. 2.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ir sex or order of birth? Does the degree differs if mother works outside home or grandparents live with the children? 3.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ir socio-emotional adjustments or maladjustments in kindergart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ine teachers and one hundred and six children with the age of five enrolled in four kindergartens in Seoul. Social support was assessed by children themselves with a social support dialogue task "My family and friends" developed by Reid, Landesman and Jaccard in 1989. The dialogue task was slightly revised by reseacher to help promote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the dialogue The children's socio-emotional adjustments and maladjustment were assessed by their teachers with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PAQ(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nik and PBQ(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 by Behar and Stringfiel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1. The children perceived their mother as the best source of emotional support Mother was also perceived as the best source of informational support. The children perceived their friends as the best source of companionship support. Father was perceived as the best source of instrumental support. Children's satisfaction with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mother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father's imformational support was the highest. As for companionship support and the instrumental support, children's satisfaction with friends and father registered the highest satisfaction respectively. 1-2. As for the source of conflict, the children perceived their siblings as the most significant source of conflict followed by friends and other sources. As for the degree of conflict, however, friends came in the first place instead of siblings. Teachers and grandparents were perceived as the least significant sources of conflict and degree of conflict.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atisfaction in terms of children's sex. There was no signifa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atisfaction in terms of order of birth except for the satisfaction from siblings' support. Younger siblings showed more satsfaction than their elder siblings did. One of the most interesting findings in this study was that whether mother works outside home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other sources except for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siblings. Children with their mother working outside home showed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siblings than the children with mother who was not working outside home. Grandparents' effect on childrens' satisfaction with other sources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3. Posi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emotional support satisfaction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s Positive relations was also found between campanionship support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s. Emotional support satisfaction had positive relation with positive affect within the school setting, Ego Strength and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Companionship support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Ego strength and peer competence. Pos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and children's Ego Strength, while negative relaion was found between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and children's anxiety-fearful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유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 = 4 1. 사회적 지지의 지각 = 4 2. 유아의 사회적 지지원과 지지유형 = 8 3. 유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0 B. 사회정서적 적응 = 14 C. 유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사회정서적 적응행동 = 15 III. 연구 방법 = 19 A. 연구 대상 = 19 B. 연구 도구 = 20 C. 연구절차 및 방법 = 23 D. 자료 분석 = 24 IV. 결과 및 해석 = 26 A. 유아의 사회적지지 지각 = 26 B. 유아의 사회적지지 만족도 = 30 C. 사회적 지지 만족도의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의 관계 = 34 V. 논의 및 결론 = 37 A. 논의 = 37 B.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4 부록 = 53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679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