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3 Download: 0

초등 4학년 영어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 개발 및 적용

Title
초등 4학년 영어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 개발 및 적용
Authors
허은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proces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and learning has the ability to assist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role of the educator is to link instruction and learning through the process of evaluation. Following the context of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of elementary level english, in order to evaluate communicative ability, the teacher's purpose in the research is to develop performance tasks and scoring criteria. In this research through a method which integrates instruction-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a performance task and scoring criteria for chapter one of fourth grade elementary English course to chapter eight was cre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performance task and the validity of the scoring criteria of was examined by an expert. Through its actual use in the classroom, its feasibility was examined and the performance evaluator's reliability was verified as well.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task became unified with the purpose of instruction-learning and course of study, becoming a part of the education process, and was made with the characteristic which allows the student to perform, to output and to act accordingly. Furthermore, applying that which was learned through authentic context, the teacher's educational judgement became an important part of the evaluation result's output and through the new role of the teacher, it was given the characteristic which unified teaching and evaluation. Also relat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execution time, it was given the characteristic of cumulative evalu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 was developed so that the meri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re emphasized to the fullest. The performance task which have these characteristics: 1)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 task are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the student's demand and policy demand, and the verification of the purpose of the seventh elementary english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2) Following the setup of the overall evaluation plan, once a suitable study content evaluation method is decided, seven performance tasks for eight units of fourth grad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re developed. The standard of performance task grading is as follows: 1) Using the precedent research grading standard as a reference, it was developed so that it corresponds to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2) After marking the students' performance sample using the developed grading standard, the explanation and allocation regarding the developed marking domain category was adjusted.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of the developed performance task and grading standard was entrusted to the expert. The validity of the performance task is verified us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content validity checklist", and the validity of the grading standard is verified through the "scoring criteria content validity checklist." This validity checklist created by Herman, Aschbacher and Winters (1992) for the development and examination of performance task scoring criteria, was modified as an inspection table by Kim Kyung-hee (200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content validity checklist", in the case where it is very valid '+1' is given, general validity is given a '0', and a '-1' for that which is not valid. Using the "scoring criteria content validity checklist", if the grading standard is valid, 'yes' and if it is invalid 'no' is selected. If the result of performance task validity examination is '-1' or if the scoring criteria validity is 'no', the cause of the result is discovered through an interview with content expert and is adjusted accordingly. After going through this type of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english performance task and scoring criteria are valid. Also the weaknesses are complimented for those with low grading result reliability in performance task. In order to increase the grading reliabilit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task scoring criteria was increased in detail. The researcher and other grader received training using the scoring criteria table, student performance sample, and grading instruction. Once the performance task and scoring criteria's validity verification and grader's training is completed, among the seven performance tasks and scoring criteria, performance tasks four and five which corresponded to the study progress during the research period we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english classes. The grading was executed through a method which allowed both the researcher and home room teacher who completed the grader's train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formance, to observe at the same time. Also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coring, through the mutual coefficient production of the two graders, reliability was proven. The mutual coefficient production of .75 - .93 of the two graders results revealed a high reliability. After apply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udent and teacher's attitude regard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a interview was carried out. Through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both the student and teacher showed interest towards the performance task and had a positive reaction, hoping for the continual operation of performance task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expressed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performance task was high.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se students were accustomed to the traditional evaluation answer type and found that they were not used to the new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demanded linguistic achievement in the given condi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fter the continuous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natural communication in authentic context and the unification of class and evaluation, there is a need to research the students' re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or reported that performance evaluation was highly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ents and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learning. The instructor also believed that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valid performance task and scoring criteria was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e performance task and scoring criteria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come a model of performance task in the seventh elementary english course of study and scoring criteria starting in year 2002, expanding to all grades. Also the arguments regarding the way of measurement which performance evaluation has, that is, other than content validity, research for construct validity, prediction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etc. As well as continuous development of performance task is also necessary to be attempted.;평가는 교수와 학습의 과정 속에서 밀접한 관련을 갖고, 교수와 학습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며,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는다. 현장 교사는 교수 학습의 최전선에서 교수학습을 연결시키는 평가 제작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영어과에서 교수-학습의 목표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교사인 연구자가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의 과정과 평가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초등학교 4학년 영어 1단원부터 8단원에 대한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을 제작하였다. 개발된 수행평가 과제는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와 채점 기준의 타당도를 검토 받고, 교실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해 봄으로써 과제의 실행가능성(feasibility)을 검토하고, 채점자간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수행평가 과제 개발은 교수 학습의 목표 및 수업과 통합되고, 교육과정의 한 부분이 되며, 학생이 수행하고 산출하고 행동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도록 하였다. 또 실생활적 맥락 속에서 배운 것을 적용하며, 교사의 교육적 판단이 평가 결과 산출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교사의 새로운 역할로서 수업과 평가를 통합하는 특징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수행 평가의 실시 시기와 관련하여 누가적 평가의 특징을 갖도록 하여 수행평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도록 개발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수행평가 과제는 ① 학습자의 요구와 정책적 요구의 분석, 제 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학습 목표 및 내용 확인을 통해서 수행평가 과제의 목적과 내용을 설정하고, ② 전체적인 평가 계획 수립 후, 학습 내용에 적합한 평가 유형을 결정하는 과정을 거쳐 초등 4학년 영어 8개 단원에 해당하는 7개의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수행평가 과제 채점 기준은 ①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채점 기준을 참고하여 평가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개발하고, ② 개발 채점 기준으로 학생들의 수행 표본을 채점한 후 채점 기준의 영역별 범주에 대한 설명과 배점을 조정하였다. 개발한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 기준은 전문가에게 타당도 검증을 의뢰하였다. 수행평가 과제의 타당도는 '과제의 내용 타당도 점검표'를 그리고 채점 기준의 타당성은 '채점 기준의 타당도 점검표'를 사용하였다. 이 점검표는 Herman, Aschbacher 그리고 Winters(1992)가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 기준을 제작·검토할 때에 타당화의 기준으로 제시한 것을 김경희(2000)가 점검 목록표로 만든 것이다. 수행평가 과제의 내용 타당도 점검표는 매우 타당할 경우 '+1'에, 대체로 타당할 경우 '0'에, 타당하지 않을 경우 '-1'에 체크하도록 하였다. 채점 기준의 타당도 점검표는 채점 기준이 타당하면 '예'에 타당하지 않으면 '아니오'에 체크하도록 하였다. 수행 평가 과제의 타당도 점검결과 '-1'이 나왔거나, 채점 기준의 타당도 점검 결과 '아니오'가 나온 경우 내용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원인을 찾아 수정하는 과정을 계속하였다. 이러한 내용 타당도 점검 과정을 거친 결과 이 연구의 초등 영어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은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채점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는 수행평가의 단점을 보완하고 채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수행 평가 과제 채점 기준의 제작과정을 상세화 하고, 연구자와 또 다른 채점자가 채점 기준표, 학생의 수행표본, 채점 설명서를 가지고 채점자 훈련을 하였다.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 기준의 타당성 검증과 채점자 훈련을 마친 후, 7개의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 중 연구 기간 동안의 학습 진도에 해당하는 수행평가 과제 4와 5를 실제 초등 영어 수업에 적용하였다. 채점은 학생들의 수행에 대해 연구자와 채점자 훈련을 마친 담임 교사가 동시에 관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채점이 끝난 후 두 채점자간의 상관계수 산출을 통하여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두 채점자간의 상관계수는 .75~.93으로 채점 결과의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를 적용한 후 학생과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수행평가 과제에 대해 흥미를 느꼈고, 수행평가의 계속적인 실시를 희망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학생들은 수행평가 과제의 난이도에 대체로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단순 응답형의 전통적인 평가에 익숙한 학생들이 상황적 맥락이 주어지는 조건 속에서 언어 수행을 요구하는 수행평가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는 수업과 평가가 통합되는 그리고 실생활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하는 수행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한 후 학생의 반응을 연구하여 볼 필요를 제기한다. 한편 교사는 수행평가가 학습자들의 장단점 파악 및 교수-학습 개선을 하는데 효과가 높았음을 보고하였고 타당한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 기준은 2002년부터 전학년으로 확대되어 실시되는 제 7차 초등 영어 교과에서 교사들에게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 기준의 한 전형 혹은 모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수행평가가 갖는 측정학적인 논쟁들, 즉 내용 타당도 이외의 구인타당도, 예측타당도, 공인타당도 등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인 수행평가 과제 개발과 함께 시도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