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포트폴리오 활용 현황

Title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포트폴리오 활용 현황
Authors
윤정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유치원에서 유아들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실제로 유치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포트폴리오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포트폴리오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2.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아 포트폴리오 활용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들 중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198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은 전반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qui-square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냈고 차이가 있는 문항은 qui-square검증한 결과로 나타냈다. 첫째,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목적은 유아를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59.1%)하기 위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학부모와의 개별 면담자료로 활용(21.2%)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의 교사가 포트폴리오에 대한 계획(55.6%)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의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경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둘째, 포트폴리오의 자료 선정기준으로는 유아의 발달이나 진전(49.5%)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로 수집하는 작품은 유아들의 평면그림, 쓰기 활동 자료, 동·식물 관찰일지, 간단한 입체 작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수집하는 자료로는 관찰자료(54.0%)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가정환경 조사서(34.8%)가 많았다. 입체 작품은 과반수가 포트폴리오에 넣지 않고 집으로 보내고 있으며(52.0%) 포트폴리오의 보관 형태로는 A4클리어 파일(80.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관 형태는 학력과 경력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품 정리는 틈틈이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서(50.5%) 수시로(60.1%)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트폴리오 조직은 단순히 제작순서에 따라(74.7%)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품에 대한 기록은 하는(78.3%) 경우가 더 많았다. 기록 내용은 날짜와 제목(45.2%)이 가장 많았으며 기록하지 못하는 경우는 시간이 없기 때문(74.4%)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포트폴리오 해석에 있어서 작품평가 기록 방법으로는 간단한 메모(42.4%)가 가장 많았고,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주로 교사의 생각이나 견해를 기록(65.7%)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포트폴리오를 유아들을 평가하는 자료로 가장 많이 활용(44.9%)하고 있었으며 포트폴리오 평가의 이점으로는 유아의 성장과 발전을 볼 수 있기 때문(63.6%)이라고 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 시 어려운 점은 시간부족으로 실행에 옮기기 어렵다(65.1%)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포트폴리오에 관한 연수는 받지 않은 사람(66.1%)이 더 많았고,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치원 교사들이 원하는 포트폴리오 연수 내용으로는 작품해석에 관한 예시(61.6%)가 가장 많았다.;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ortfolios used as data for evaluation of children in kindergartens have been applied in the field.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nstruction of portfolios by surveying how kindergarten teachers apply children portfolios. The task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the kindergarten teachers apply children portfolio? 2.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application of children portfolios by experiences and schooling career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8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making portfolios among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Seoul Cit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n the above tasks, and qu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by experiences and schooling careers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questions that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s and schooling careers of teachers were represen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while questions tha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represented by results of qui-square test. First, the primary object of making portfolios was to apply them as data for evaluation of children(59.1%), and the secondary object was to apply them as individual interview data with their parents(21.2%). It was shown that the majority (55.6%) of teachers established plans of portfolio and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chooling careers of teachers whil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experiences. Second, the primary data selection criterion of portfolios was to apprehend development or progress of children(49.5%). Third, the major collected works were plane picture, data of writing activities, observation diaries on animals and plants, and simple three-dimensional works by order, and the primary additional collected data was observation data(54.0%), and the secondary was written investigations on family conditions (34.8%). Also, it was shown that the majority of three- dimensional works were sent to the children's families without being put into portfolios(52.0%), and the primary keeping form of portfolios was A4-size clear file(80.8%). Storage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experiences and schooling careers of teachers. For arrangement of the works, kindergarten teachers at odd moments prepared for the arrangement(50.5%) and on occasion(60.1%). Fourth, portfolios were constructed just according to the making order(74.7%), and the maj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rded about the works(78.3%). The primary recording contents were date and title(45.2%), and the primary reason for non- ecording was lack of time(74.4%). Fifth, in interpreting portfolios, the primary recording means of evaluating the works was brief memo(42.4%),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eriences and schooling careers of teachers. For analysis of works, teachers' thoughts and opinions were recorded mainly (65.7%),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experiences. Sixth, portfolios were the most applied for evaluation of children(44.9%), and the primary merit of portfolios was that they were available of watch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63.6%). The most demerit of portfolios was that they were unavailable of carrying into practice due to lack of time in evaluating them(65.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schooling careers. Seventh, more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receive training of portfolio(66.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experiences, and the primary training content of portfolios that kindergarten teachers required was illustration of interpreting the works(61.6%).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