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경합적 가치 접근방법에 의한 초등학교 학교평가준거개발

Title
경합적 가치 접근방법에 의한 초등학교 학교평가준거개발
Authors
윤수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평가는 학교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묻고, 그 질의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1995년 교육개혁위원회에 의해 제기되었다. 현재 학교평가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내려온 지침을 바탕으로 각자 자율적으로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하는 학교평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학교종합평가', 곧 국가수준의 학교평가로 구분되어 수행되고 있다.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내용은 학교교육계획, 교육과정, 학생, 교사 등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한국교육개발원의 평가내용은 개발원 측에서 설정한 학교의 본질적 목적 차원의 최종기준에서 평가영역을 도출하고 있다. 이들 평가영역을 통해서 각 학교가 어떤 평가영역에 강점과 약점을 지니는지는 파악할 수 있으나, 학교의 가장 근본적인 측면, 곧 학교구성원들의 가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표면적인 변화가 아닌 심층적이고 근본적인 학교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학교의 주체인 학교구성원들의 가치를 파악하고 그 변화를 유도하는 일은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의 효 과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학교구성원들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학교평가준거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조직의 효과성을 세 가지 가치차원에 따라 구조화한 Quinn과 Rohrbaugh의 '경합적 가치 접근방법(competing values approach)'을 통해 초등학교 학교펑가준거를 개발하고, 작성된 준거의 타당도를 초등학교 교원들의 설문응답을 통해 알아보고, 또 교원의 설문응답결과의 신뢰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곧 '경합적 가치 접근방법'의 네 가지 모형(개방체제모형, 합리적목표 모형, 내부과정모형, 인간관계모형)에 따라 네 가지 학교평가영역(대외적 협조관계의 유지 및 교섭, 학교교육의 계획과 성과, 학교의 안정 유지, 학교의 내적 통합)을 도출한 후, 문헌을 통해 초등학교 학교펑가준거를 각 평가영역에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준거가 각 평가영역을 타당하게 잴 수 있는지를 초등학교 교원들의 설문응답을 통해 파악하고, 또 설문응답결과가 신뢰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양시 11개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437부(87.4%)가 회수되었다. 설문조사를 위한 질문지는 '경합적 가치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도출된 36개 준거가 초등학교 학교평가준거로서 어느 정도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를 Likert 5단계 척도에 따라 답하도록 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는 SPSS 10.0을 이용하였다. 작성된 평가준거가 해당하는 평가영역을 타당하게 잴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36개 평가문항을 분석한 결과 고유값이 1보다 큰 요인은 5개로 이들 요인이 전체 평가영역의 59.6%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중 요인2, 요인3, 요인4, 요인5는 대체적으로 평가영역과 거의 일치하므로 이를 통해 해당하는 평가영역을 적합하게 잴 수 있다고 파악된다. 하지만 요인1의 경우 '학교의 안정 유지' 평가영역의 일부와 '학교의 내적 통합' 평가영역이 합쳐진 결과로 나타나 이들 평가영역에 속한 각 평가준거가 소속한 평가영역을 타당하게 재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설문응답결과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4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 또한 .8009에서 .9638로 높은 정도로 나타나고 있어, 교원들의 응답은 일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경합적 가치 접근방법을 이용한 초등학교 학교평가준거'의 타당도를 요인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이 준거를 통해 네 가지 평가영역 중 '대외적 협조관계의 유지 및 교섭', '학교교육의 계획과 성과' 평가영역은 타당하게 잴 수 있으나, '학교의 안정 유지', '학교의 내적 통합' 평가영역은 제시한 평가준거를 통해 잴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 평가영역에 속한 평가준거를 다시 설정하여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School evalua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n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by the education reformation committee in 1995. Current school evaluation is based on the guide mad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onducted by two activities. The first activity is 'School Evaluation', conducted by the Municipal & Provincial Education Office autonomously, and the second one is the 'Total School Evaluation', an national school evaluation developed and perform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former divides the evaluation content into the areas such as education plan, education course, student, teacher, and the latter deduces its evaluation category from the essential purpose. Through this evaluation category, we can understand the strength or weakness of a school for each evaluation catego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essential value represented by the school members such as student or teacher. To induce a deep and basic c hange of school, an important thing is to understand this essential value of the members and to induce a shift. Thus, we have to look for criteria that are useful to find out the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value of the members. This thesis aims to deduce elementary school evaluation criteria using the `Competing Values Approach', an approach to structure an organization effectiveness as three value dimensions, researched by Quinn and Rohrbaugh, and to cla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riteria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ce from the teachers. The approach proposed following four models: Open Systems Model, Rational Goal Model, Internal Process Model, and Human Relations Model. Using these models, we can find out following four school evaluation categories: Maintenance of External Support Relation, Plan and Outcome of School Education, Maintenance of School Stability, and Internal Integration of School. After finding out these four categories, we establish school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evaluation category extracted from several documents, and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through the survey results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ce from the teachers. For cas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500 teachers in 11 elementary schools at AnYang-Si, KyungGi-Do, and 437 survey papers (about 87.4%) were collected. For each evaluation criterion, the respondents were required to answer how much a criterion is adequate using the Likert scale measure (the scale of 1 to 5). We used SPSS 10.0 for data processing. To find out whether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dequate for evaluation categories, we conduct factor analysis. After analysis on 36 questions, there are five factors that have eigenvalue greater than 1, and these factors explain the 59.6% of the evaluation categories. Since factor 2, factor 3, factor 4, and factor 5 correspond to their evaluation category, we can regard the criteria are adequate for category evaluation. However, in case of the factor 1, part of the Maintenance of School Stability category and the Internal Integration of School category is represented as an integrated result. This result means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in these categories are not enough yet. The coefficient of reliability for all questions is very high, .9643( α =.9643), and the reliability for each factor is also high, from .8009 to .9638. Thus, the respondence from the teachers can be regarded as reliable. As a conclusion, we can say that proposed criteria are adequate for measuring the Maintenance of External Support Relation category and the Plan and Outcome of School Education category. However, we failed to measure the Maintenance of School Stability category and the Internal Integration of School category adequately. Thus, as further work, it is required to reanalyze these categories by establishing other evaluation criter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