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음악교사의 인식

Title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음악교사의 인식
Authors
천화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by providing positive data about what kind of qualities and capacities teacher who had completed the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ntered the profession demonstrated in relation to the discussion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both the goal-oriented course of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and the open course of the liberal music university. For this research, study questions were selected as blow. First, what is the social position of the music teachers and what abilities and qualities do music teachers consider as important?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eacher's qualities between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and those graduated from the liberal music university? Third, what tasks do music teachers think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music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Fourth, how does each groups of teachers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udy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in the aspect of music teacher's qual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400 music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and private middle/high school in the country were sampled as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212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an percentage by the study question characteristic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y the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χ²-test or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social position of music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to have is low in general. In the case of Male, the average mark was lower than the female at the item of 'the degree of respect as music teacher', 'stabilization of economy', ' guarantee of social status'. And Music teachers have marked the 'theory of music and knowledge of repertories' and 'knowledge of pedagogy' are the most important qualities of music teacher. Also, the subjects 'effective management of instruction', 'understanding of students ability' are considered to important qualities of music teachers for interaction with students. Second, as for the practical teacher's qualities,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music education got high points on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and goal about music education', 'evaluation about students' achievements', 'educational vocation and devotion', while the other teacher group did on 'skill of musical performance', 'stimulation for students', 'sustaining of self-improvement'. Third, as for the existing music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music teachers considered that practical affairs should be taught before scientific knowledge. As for the existing study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provided by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and liberal music university, the music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music education evaluated as important teacher qualities. In addition, music teachers considered that 'singing', 'accompaniment', 'performance' are most important qualities of music teacher. Also, the subjects 'theory of music', 'theory of Korean music', 'music history', 'music pedagogy', 'performance and pedagogy of Korean music', 'multimedia music pedagog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ourth, as for effectiveness of education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he effectiveness of the subject performance marked high points, while the study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and cultural subjects marked low points by music teachers. Also music teacher regarded that education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was not helpful in improvement of job ability. As for problems of music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usic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ere no the subject coped with the information society and connected with the scene of school. Especially,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liberal music university were more conscious of the problems about 'lacks of profession about music pedagogy' than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Generally, music teacher thought that the effectiveness of music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is on medium level. However, when it comes to teaching Korean music, it was not helpful.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 music teachers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evaluated to lightly superior in teacher's qualities than the teachers graduated from the liberal music universit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goal-oriented course of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yield great effects. The subjects also pointed out that professionalism in the course of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was not so remarkable. Therefore, to improve teachers' qualities, study courses that can enable future teachers to carry out their practices and profession thoroughly should be reinforced more than ever. In particular, the college of music education should make more efforts to differentiate its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from that of the liberal music university.;이 연구는 현장 음악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자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이 실제로 음악교사의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함께 이 연구에서는 음악교사 양성 교육제도의 유형에 따라 출신 교사들의 교육 활동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현행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현직 음악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들이 인식하는 음악교사에 대한 사회 일반의 인식과 유능한 음악교사의 자질은 무엇인가? 둘째, 음악교사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의 음악교육 활동 수행 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가? 셋째, 현행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현직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 실효성 및 문제점에 대한 음악교사의 평가는 어떠하며, 음악교사들이 제안하는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하여 전국 공·사립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직하는 음악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212부의 설문 응답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육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에 있어서 음악교사가 인식하는 사회에서의 음악교사에 대한 위상과 음악교사로서의 유인가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에 대한 위상의 경우 여자 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직업에 대한 안정감 및 보람이 남자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은 유능한 음악교사로서 지녀야 할 전문적 지식 및 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음악 이론 및 악곡에 대한 지식, 교수 학습 문헌에 대한 지식, 연주 능력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외에 음악 수업에서 학생과의 상호 작용시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능력으로는 수업 시간의 효율적 운영과 학생의 음악적 능력 이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의 능력을 비교함에 있어서 음악교사들은 음악 교과의 전문성에 준하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제시하는 측면, 교과서에 제시된 음악 목표의 이해와 그에 준하는 학습 경험을 제시하는 측면, 학생의 성취수준을 파악하고 평가 결과를 적절히 활용하는 측면,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교육에 대한 사명감 측면에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의 교사들이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반면 음악교사들은 수업을 위한 연주 시범이나 반주 능력, 음악 최고 수준에 도달하도록 학생을 자극하는 능력, 교사 자신의 전문적 발달을 위한 대학원·세미나 참석 등의 측면에 있어서는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들이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 실태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음악교사들은 학문적 지식보다는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능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들이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능력을 보다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현재 대학 개설 교직 과목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 있어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들이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들보다 더 높은 점수를 줌으로써 그 중요성을 보다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악교사들이 현재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 중에서 음악 교육 활동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는 과목은 실기 및 연주 관련 과목에서 가창, 반주법, 전공 실기, 음악 교과 내용 관련 과목에서 음악개론, 국악개론, 음악사, 음악 교과교육 관련 과목에서는 음악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국악 교육 및 실기 지도법, 멀티미디어 음악교육론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교사 양성 교육의 실효성,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있어서 음악교사가 이수하였던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가장 실효성이 높은 과목은 실기 및 연주과목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직이론과 교양과목은 상대적으로 현장에서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사들은 과거 이수한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이 제7차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에 도움을 준 정도를 보통 수준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다양한 방법과 자료를 활용한 전통 음악 지도에 도움을 준 정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악교사들은 과거 이수하였던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직무능력 습득 기여도를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음악교사들은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문제점으로 미래 정보화 동향에 대처할 만한 과목이 부족하였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현장 교육과의 연계성이 부족했던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 전반에 있어 음악 교육 내용의 전문적 지식 부족의 문제점과 음악 교과교육에 대한 전문성 습득 부족에 대한 문제점은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보다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들이 더 많이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교육 실습 기간 확대, 현행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교사 양성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국악 교육의 강화, 컴퓨터 활용 음악 교육의 강화, 다양한 악기에 대한 실기 교육 강화, 올바른 교육관과 윤리관을 함양케 하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회 일반의 인식은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와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의 음악 교육 활동 능력에 있어서의 차이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볼 때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출신 교사가 근소한 차이로 더 우수하게 평가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살펴보면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 출신 교사들이 사범대학 출신 교사들보다 전문성 향상 노력 지속과 일반 연주 부문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목적형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음악관련학과의 개방형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우수성을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 음악교육과가 음악 대학으로 흡수되는 대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에서는 무엇보다도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목적과 그에 준하는 전문성을 부각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특히 철저한 음악교사 전문직 수행을 위한 교과 교육 분야의 강화와 교육 실습의 확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