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설형윤-
dc.creator설형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97-
dc.description.abstract공교육체제가 확립되고 국가의 교육에 대한 권한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의 결정권한은 대부분 국가에 위임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육의 자유가 상당히 제한을 받게 되면서 국가의 교육개입이 공공성원리를 배경으로 허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는 교사의 교육의 자유와 관련하여 논의의 여지 가 있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육의 자유'와 관련한 법제현황과 법적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법률의 규범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교사의 교과활동상 교육과정과 교과서제도는 교육의 자유의 핵심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현행 교육관계법에 나타난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문제점은 교육 과정의 결정권한이 대부분 교육부장관에게 위임되어 있고 국정교과서와 교과서 검인정제도를 통해 국가가 교육내용 결정권한을 독점한다는 것이다.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를 논의하기 위하여 제1장에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범위 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교육의 자유에 대한 개념과 법적성격을 살펴보았다. 교사의 교육의 자유를 국가교육권설에 의한 직무상의 권한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국민교육권설에 의한 기본권적인 권리로 인정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성격을 파악하였다. 교사의 교육의 자유는 결국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적인 권리로 인정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제3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관한 헌법조항과 교육기본법 등의 교육관련 법규를 검토하고 그 특징과 문제점들을 간략하게 지적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은 교육부장관에게 대부분 위임되어 있으며 교과서와 관련한 교사의 교재 선택과 저작의 자유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제4장에서는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타당성을 논의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제도의 쟁점사항 등을 도출하고 규범의 적절성을 검토 하였다. 교육과정면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편성권한의 주체와 교육부고시의 형태로 위임되어 있는 현행 법제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교과서제도에서는 국정 교과서의 위헌성과 검인정 범위의 적절성 등을 논의하였다. 교과서제도에 대한 판례검토를 통해서는 사법부의 인식경향이 국정교과서의 합헌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일반인의 인식경향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이 국정교과서제도가 위헌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양한 교재선택의 자유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육의 자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사에게 부여된 직무상 권한으로 한정하려는 인식으로부터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적인 권리로 인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국가의 교육과정의 편성은 기본적인 지침사항만을 정하도록 하고 구체적인 편성권한은 교사집단에게 위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규정 등도 위임의 형태가 아닌 법률로써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제도와 관련하여 획일적인 내용의 교재를 양산하는 국정교과서 제도를 지양하고 교사가 자유로이 교과서를 저작하고 자율적으로 교재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허용되어야 한다.;As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state's right on the education has become enlarged, the right for decid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s has been mostly authorized to the state.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it lays room for criticism whether the state's intervention on education can be permitted on the ground of the public characteristics while the teacher's freedom of education is greatly restri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legality of the educational law on the scope and limits of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by reviewing the legislation state in relation to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and the problems exposed in the legal applic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system in the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are the core part of the freedom of education. The problems exposed in the current education-related laws regarding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is that the right for decid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is mostly authorized to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that the state monopolizes the right for decid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System and Officially Authorized Textbook System. In the Chapter I of this study, the necessity, purpose and the scope of the study are suggested. In the Chapter II, the concept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freedom of education are reviewed. Various theories are reviewed whether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shall be regarded as the right of the duty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state's right of education or shall be admitted as the basic right according to the people's right of education. It is viewed as necessary that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should be admitted as the basic right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n the Chapter III, the constitutional clauses regarding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education-related laws such as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are reviewed, and their special features and respective problems are briefly indicated. The current curriculums are mostly entrusted to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the teachers' freedom of selecting and writing the teaching materials are greatly restricted. In the Chapter IV, for dealing with the adequacy of the scope and limits of the teachers' freedom of education, the issues of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system are raised and the legality of the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ewed. In the aspects of the curriculum, it is reviewed that the legality of the current laws which has authorized the state the right for 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is effected in the form of notifi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garding the textbook system,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and the inadequacy of the scope of the Officially Authorized Textbook System are reviewed. By reviewing the judicial precedents on the textbook system, it is known that the tendency of the Judicial Authorities' recognition is admit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However, most of the common people are (in the tendency of) recognizing that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System is unconstitutional and calls for the freedom of selecting the diverse teaching material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raised. First, regarding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he teacher, a conversion of the recognition is required; from the one which recognizes it restrictively as the right allowed to the duty of the teacher to the other one which recognizes it as the basic right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Second, based on such a conversion of the recogn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right for setting the basic guidelines of organizing the curriculums are remained as authorized to the state and the right for organizing the concrete details are entrusted to the teach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current notifications regarding the concrete curriculums should be expressly stipulated by the law, not to be left as authorized to the Minister of Education. Third, regarding the textbook system,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System should be sublated and the teacher's freedom of writing the textbook and selecting th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permit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범위와 방법 = 4 II.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개념과 법적성격 = 8 A.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개관 = 8 1. 교사의 교육의 자유에 대한 논의배경 = 8 2. 교육적 맥락에서의 교사의 교육의 자유 = 9 3.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개념 및 내용 = 15 B. '교육의 자유'의 법적 성격 = 20 1. 법적 근거 = 21 2. 교육원리적 근거 = 23 3.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한계 = 28 III.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관한 교육법제 현황 = 30 A.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법제 현황 = 30 1. 교육과정 관련법규체계 = 30 2. 각급학교 교육과정 법령체계 = 34 3.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 37 B. 교과서에 관한 교육법제 현황 = 37 1. 교과서 관련법규체계 = 38 2. 교과서 편찬, 검정에 관한 규정 = 40 3. 교과용도서심의회 규정 = 42 C. 현행 관련 법제의 특징 및 문제점 = 44 1. 교육과정 규정 = 44 2. 교과서 규정 = 45 IV. '교육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타당성 논의 = 47 A. 교육과정상의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 = 47 1. 교육과정 편성권한의 주체 = 47 2. 교육과정에 대한 법제의 적절성 = 50 B. 교과서제도상의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 = 54 1. 교과서 사용의무와 관련한 교사의 교육의 자유의 한계 = 54 2. 교과서 검인제도의 적절성 = 56 C. 교과서제도의 규범적 타당성 분석 = 59 1. 사법주의 법인식 경향 = 59 가. 한국의 판례 = 59 나. 일본의 판례 = 70 2. 일반인의 법인식 경향 = 75 3. 교과서제도의 위헌성 논의 = 81 V. 요약 및 결론 = 87 A. 요약 = 87 B. 결론 = 90 참고문헌 = 94 부록 = 97 영문초록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74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교육법상 교사의 '교육의 자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육과정과 교과서제도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