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채미애-
dc.creator채미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instruction model to extend learne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develop assessment rubric to measure the degree of improvement on communication abilit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are instituted: 1. Design instruction model to extend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2. Develop of assessment rubric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3. Analyze the effects of designed instruction model by using developed assessment rubric. (1) Doe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occur between groups where designed instruction model is applied and those wher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is applied? (2) Doe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ccur between groups where designed instruction model is applied and those wher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is applied? (3) Doe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ccur between groups where designed instruction model is applied and those wher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is applied? The instruction model applicable to actual school spot was designed through investiga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method, mark, value and learning-guidance method. To develop the valid and objective assessment rubric, precedent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communication assessment rubric which is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assessment rubric by Herman, Aschbacher & Winters(1992)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developed assessment rubric, the reliable coefficient among teacher who assessed the communication items of prior test is calculated by reliability and the judgment that 16 mathematics teachers gave about the quality of assessment rubric is taken. To analyze the effect of designed instruction model, experimental studies were carried out. The designed instruction model was applied to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17 weeks, it's effect was verified in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t-test that is statistical technique to compare group's aver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the assessor' high correlation in assessment rubric i. e. reliable coefficient is reliability and it is proved that the quality of assessment rubric is also high by 16 math teachers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within significant level .10 between groups where designed instruction model is applied and those wher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is applied. This result shows that this instruction model contributes to the progress of learning achievement.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within significant level .05 between two groups. In particula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idence and self-examination in mathematical disposition. 4.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within significant level .01 between two groups. In particula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among communication modes.;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절차를 고안하고,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절차를 고안한다. 2.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을 개발한다. 3. 고안된 수업절차의 효과를 개발된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1) 수업절차를 적용한 실험반과 전통적인 일제 학습을 받은 통제반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수업절차를 적용한 실험반과 전통적인 일제 학습을 받은 통제반은 수학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수업절차를 적용한 실험반과 전통적인 일제 학습을 받은 통제반은 의사소통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수학적 의사소통의 방식과 목표, 가치 및 각각의 학습 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절차가 고안되었고, 타탕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의사소통의 평가 기준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뒤 Herman, Aschbacher & Winters(1992)의 평가기준 개발 과정을 참고로 의사소통 평가 기준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채점자간 신뢰도를 구해 보는 한편 16명의 교과 전문가에게 평가 기준의 질에 대한 판정을 부탁하였고, 수업절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서울의 Y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업모형을 17주간 적용한 뒤 학업 성취도, 수학적 성향, 의사소통 능력 측면에서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하는 통계 기법인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의사소통 방식인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그래픽 별로 개발된 평가 기준은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얻었으며, 교과전문가의 평가 결과 평가기준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학업 성취도면에서 수업 절차를 적용한 실험반과 전통적인 일제학습을 받은 통제반은 사후 검사와 사전 검사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도 p가 .087로 유의수준 .10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수학적 성향 면에서 실험반과 통제반은 유의도 p가 .030으로 유의수준 .05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수학적 성향 중 자신감과 반성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면에서 실험반과 통제반은 사후 검사와 사전 검사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도 p가 .000으로 유의수준 .01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방식 각각을 비교하였을 때는 쓰기와 읽기, 말하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7 A. 수학적 의사소통 = 7 1. 수학적 의사소통의 방식 = 7 2. 수학적 의사소통의 학습목표 = 10 3. 수학적 의사소통의 가치 = 11 B. 수학적 의사소통의 학습 지도 방법 = 15 1. 쓰기 = 15 2. 읽기 = 19 3. 듣기 = 19 4. 말하기 = 20 C. 수학적 의사소통 평가 기준의 선행연구 = 22 1. QUASAR 인지 평가 도구(QCAI) = 22 2. Vermont주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채점 기준 = 23 3. Indiana 수행평가 프로젝트의 채점 기준 = 24 4. 워싱턴 교사들의 특성 평가 기준 = 25 5. 의사소통에 초점을 둔 함수단원의 평가기준표 = 26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9 A. 연구 절차 = 29 B.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 절차 = 29 1. 수업 절차 = 29 2. 수업 적용의 예 = 32 C. 의사소통 능력 평가 기준 개발 = 33 1. 수학적 의사소통 평가 기준 개발 방법 및 절차 = 33 2. 평가 기준 개발 = 37 D.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 절차의 현장 적용 = 42 1. 연구대상 = 42 2. 실험연구 방법 및 절차 = 44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49 A. 개발된 평가 기준의 활용 가능성 = 49 1. 채점자간 신뢰도 = 49 2. 평가기준의 질에 대한 평가 = 50 B.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 절차의 현장적용 결과 = 52 1. 학업성취도 비교 = 52 2. 수학적 성향 비교 = 52 3.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비교 = 54 (1) 쓰기 능력의 비교 = 55 (2) 읽기 능력의 비교 = 58 (3) 듣기 능력의 비교 = 58 (4) 말하기 능력의 비교 = 59 (5) 그래픽 능력의 비교 = 60 V.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8 [부록 1] 수학적 성향 검사지 = 71 [부록 2]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지 = 72 [부록 3] 학습지 = 76 [부록 4] "학습지 13. 생활 속의 그래프 문제 (2)"의 학생 답안 = 94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1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업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