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두민영-
dc.creator두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78-
dc.description.abstractThe recent development of cutting-edged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World Wide Web (WWW) has resulted in mor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istance learning. These advantages attract people to enroll in distance learning courses. It is assumed that most distance learners come to distance learning programs with an intrinsic motivation for continuing their learning and training. Idiosyncratically, there is the apparent evidence of high dropout rates in distance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ny studies, the high dropout rate is caused by a lack of consistent motivation and prevailing sense of isolation. Even though people enroll in courses with their interests and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they seem not to maintain their motivation to the end. It means that to enhanc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is vital to lead a success of distance learning. 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relevance factor of learning motivation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evance enhanced messages on dropout rate,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 Web-based learning.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are addressed in this study: 1. To what extent do relevance enhanced messages about lessons have an effect on learners' dropout rate in distance learning? 2. To what extent do relevance enhanced messages about lessons influence learners' participation in cyber learning? 3. To what extent do relevance enhanced messages about lessons affect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4 adults enrolled in a distance learning course, 'Business Accountancy I' in the LG Cyber Academy, which has no face to face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instructor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8 week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Participants received instructional messages every Monday morning for 6 weeks by e-mailing: 1) the treatment group with relevance enhanced messages about lessons 2) the controlled group with non-relevance messages. Relevance enhanced message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levance tactics in ARCS Model (Keller, 1983). Based upon three general components of relevance: goal orientation, motive matching, and familiarity, the following message formats are considered: 1) Goal of instruction, lessons, and module; 2) Usefulness of the lesson; 3) The personal name and position; 4) Summary of last class and compendium of this lesson; 5) Current events related to this module; 6) Information about the schedule and required activities of each lesson. The controlled group was notified by uniform and simple message about the learning schedule and their task week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opout rate between the controlled group with non-relevance messages and the treatment group with relevance enhanced messages(x²= 35.561, df= 1, p< .000).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lapse time of learning participation between the controlled group with non-relevance messages and the treatment group with relevance enhanced messages(t= - 2.137, p< .05). 3.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t= .154, p<. 05) between the controlled group with non-relevance messages and the treatment group with Relevance Enhanced messag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relevance enhanced messages about lessons will decrease learners' dropout rates in distance learning settings. Second, relevance enhanced messages about lessons prompt learners to be more active in distance learning settings. Third, it is necessary that further studies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learning motivation, dropout rate,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최근 웹 기반 학습은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여, 가상공간에서 지식과 기술을 획득할 수 있는, 소위 사이버 학습 시대의 장을 열게 되었다. 웹 기반 학습의 많은 장점과 무한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 중 하나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이 문제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것은 전통 수업에 비해 극히 낮은 수료율로서, Moore와 Kearsley(1996)에 의하면, 원격 학습자들의 높은 중도탈락율의 주 원인을 동기(motivation)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교수자 -학습자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기본적인 전제로 하는 원격 교육의 특성에서부터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가 하고자 하는 욕구, 즉 동기가 저하된다면 아무리 외부적인 학습환경이 훌륭하더라도 학습 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원격 교육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한 교수계획과 사용에 더욱 세심한 신경을 써야 하며, 학습자의 특성 또한 고려해야 한다. 학습 대상자로서의 성인들은 선택적으로 학습 상황에 참여하며, 자신의 욕구 및 필요와 관련되는 구체적인 목표를 지니고 있으며, 적어도 자신들의 요구에 관련된 것이라고 설득되어야만 학습에 임한다고 한다(Knolwes, 1970). 즉, 교육분야의 성인 학습 이론에 의하면 학습자의 관심이나 흥미, 요구가 학습 내용과 관련이 높을 때,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는 대표적인 동기 모형인 Keller(1983)의 ARCS 모형과 관련 시켜 볼 때, 관련성 변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습에 있어서 관련성(relevance)이란 학습자의 주체에 대한 관심과 장기적인 목표에 대한 유용성의 인식에 관한 문제라고 정의된다(Keller & Suzuki, 1987). 한편, 학습자의 동기를 향상시키는 하나의 방안으로, 방송통신교육연구소(1999)에서는 전자우편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원격 수업에 이용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원격 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웹 기반 학습에서 전자우편을 통해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원격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는 가설을 상정할 수 있다.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학습에서 동기문제를 다루고 있는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관련성 변인으로 제한하여, 웹 기반 학습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이 학습자의 중도 탈락율, 수업 참여도, 그리고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받은 집단과 비관련성 메시지를 받은 집단간의 중도 탈락율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받은 집단과 비관련성 메시지를 받은 집단간의 수업 참여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받은 집단과 비관련성 메시지를 받은 집단간의 학업 성취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1999년 7월 15일에서 10월31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L 기업 자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훈련 프로그램 중 '비지니스 회계 Ⅰ'의 제 4차 과정에 등록한 수강자 중 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54명은 무선 할당에 의해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실험 집단 은 6주의 수업 기간 동안 동기 유발을 위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6번 받았으며, 통제 집단은 같은 기간 비관련성 메시지를 6번 받았다. 연구 도구인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는 Keller의 동기 모형인 ARCS 모형 (1983) 중 관련성 변인에 기초하였으며, 연구자에 의해 전자 우편을 통한 문자 메시지로 구현 가능한 6가지 유형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6가지 유형의 관련성 향상 메시지는 ARCS 모형의 개발자인 Keller, 웹 기반 수업 및 교육공학 전문가 3인 그리고 내용 전문가 1인을 대상으로 메시지의 타당도에 대한 검증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 중도 탈락자는 8주에 걸친 과정 중 반 이상 수업에 참여하지 않고 평가에도 참여하지 않은 학습자로 한정하였다. 수업 참여 정도는 학습자가 본 과정에 접속하여 학습에 임한 총 학습 시간으로 간주하였다. 학습 성취도는 중간 종합 평가와 두 번의 과제 점수의 합산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통계 자료 분석은 SPSS 8.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중도 탈락율의 차이는 χ²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차이는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도는 α = .05에서 검정하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웹 기반 학습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이 중도 탈락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받은 실험 집단의 중도 탈락율은 9.7%인데 비해, 통제 집단의 중도 탈락율은 24.4%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통계 검증 결과, 두 집단의 중도 탈락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으므로(χ²= 35.561, df=1, p< .000), 웹 기반 학습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은 학습자들의 중도 탈락율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Visser(1998)의 원격 교육에서 동기 향상 전략 메시지가 중도 탈락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원격 교육에서 높은 중도 탈락율의 주 원인을 동기라고 설명한 Moore와 Kearsley(1996)의 설명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학습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이 수업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들이 수업에 임한 총 학습 시간량을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통제 집단의 학습 시간의 평균은 844.58시간이었으며, 실험 집단의 평균은 1066.63시간이었다. 두 집단간에 나타난 학습 시간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t =-2.217, p<.05). 따라서 웹 기반 학습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원격 교육에서 동기 전략을 제공받은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에 비해 높은 참여를 나타낸다는 Fulford와 Zhang(1993)의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웹 기반 학습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제 집단의 성취도 평균은 75.25 점이었으며, 실험 집단은 77점으로 나타났고, 그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 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 =.154, p<.05).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대상인 '비즈니스 회계 Ⅰ' 과정의 평가 특성에 기인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노동부의 고용 보험 적용 과정으로, 학습자가 60점 이상을 획득하여 과정을 수료할 때에만, 고용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즉, 학습자들이 60점 미만의 점수를 획득할 경우, 과정 종료 후 본인이 수강료를 전액 부담해야 한다. 따라서 연구 대상들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불문하고 모두가 최저 60점 이상을 학업 성취 목표로 인식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웹 기반 학습에서 동기 유발을 위해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은 학습자들의 중도 탈락율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학습에서 동기 유발을 위해 교수자들이 제공하는 메시지에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은, 현재의 웹 기반 학습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습자들의 높은 중도 탈락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에서 동기 유발을 위해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은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도모하여 결과적으로 수업에 임한 총 학습 시간을 증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학습에서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와 학습에 임한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을 포함한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에서 동기 유발을 위해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가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지 않고 있으나,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웹 기반 수업이 특정 수료기준을 넘지 못할 경우 학습자들이 자비로 수강료를 전액 지불해야 하는 특수상황을 지니고 있었던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학업 성취도 평가에 있어 학습 이외의 다른 환경적인 요소가 개입되지 않는 상황에서 동기 유발을 위해 제공하는 메시지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내용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만을 고려하여 제작한 메시지를 연구 집단에게 동일하게 제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학습자의 개인 적 특성을 반영한 개별 메시지를 제작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원격 교육 = 7 B. 웹 기반 학습 = 9 1. 웹 기반 학습의 정의 = 9 2. 원격 학습 대상자로서의 성인 학습자 = 11 3. 웹 기반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 12 C. 사이버 환경에서의 동기 문제 = 14 1. ARCS 동기 모형 = 14 2. 웹 기반 학습에서의 동기 = 15 D. 수업에 대한 관련성 = 17 E. 관련 선행 연구 = 19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 문제 = 22 B. 연구 설계 및 연구 대상 = 23 1. 연구 설계 = 23 2. 연구 대상 = 24 C. 연구 도구 = 25 1.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와 비관련성 메시지 = 25 2. 학습 성취도 평가 = 32 3. 중도 탈락율과 학습 참여도 평가 = 33 D. 학습 환경 = 34 E. 연구 절차 = 35 1. 준비 단계 = 35 2. 본 실험 단계 = 36 3. 자료 분석 = 38 F. 자료 분석 방법 = 39 1. 중도 탈락율 = 39 2. 총 학습 시간 측정 = 40 3. 학업 성취도 평가 = 40 IV. 연구 결과 = 41 V. 논의 = 44 VI. 결론 및 제언 = 46 참고 문헌 = 49 부록 = 55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2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가 학습자의 중도 탈락율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L기업 사이버 아카데미의 인터넷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