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접속횟수와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접속횟수와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터넷을 토대로 등장한 디지털 혁명이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 경제, 문화를 넘어 교육 활동 전반에까지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실제로 컴퓨터 관련 첨단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전과 월드와이드웹(WorId Wide Web, 이하 WWW)의 출현은 시공간을 초월한 쌍방향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웹기반 가상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체제를 등장시켰다. 가상교육은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공간적/시간적 제한의 극복,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다원적 원격교육매체 활용, 학습자 주도의 개별학습과 같은 원격교육의 특성에 1990년대 중반부터 일반화된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쌍방향적 교수-학습의 특성이 추가된 새로운 형태이다(박종선, 1998; Sherry, 1996; Wagner, 1993; 이화국,1999 재인용). 그러나 이러한 웹기반 가상교육이 교육학상 기존의 교실교육에 비해 과연 효과적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Vargo, 1997). 특히 웹기반 가상교육이 면대면 수업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원인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동료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의 빈도와 질적 수준에 달려 있는데(정인성, 1998; Keegan, 1996), 학습자의 컴퓨터 관련 기술에 대한 무지(김광용, 1998)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9학년도 제 2학기 이화여자대학교 웹기반 가상교육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IT(Information Technology, 이하 IT)활용 능력,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후,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한 횟수 및 참여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을 규명함으로서, 웹기반 가상교육의 사전 준비 과정이나 운영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IT활용 능력과 접속횟수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IT활용 능력과 참여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와 접속 횟수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와 참여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5.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전속횟수와 참여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6. 웹기반 가상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 사이에 접속횟수와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이화여자대학교 M과목을 수강중인 학습자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와 IT활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1)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 2) IT활용 능력, 3) 일반적인 특성(성별, 학교, 학년, 전공, 인터넷 강좌 설명회 참석 여부, 웹 기반 수업 경험 유무, 참여한 웹 기반 학습의 중도포기 여부, 컴퓨터 매개 통신 사용 경험 정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부록>참조). 접속횟수는 연구기간동안인 9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한 횟수로, 서버에 기록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학습자의 참여도는 토론방에 올린 메시지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여도는 연구 기간인 9월 1일부터 10월 15일 까지를 1주-3주, 4주-5주, 6주-7주와 같이 3회로 나누어 각각 5점 만점으로 평가한 접수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빈도, 평균, 표준편차등의 기술통계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문제 1번부터 5번까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계수 r(단순적률상관계수)을 이용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6번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두 독립표본 t검정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활용 능력은 접속횟수 (r=.361, p<.05), 참여도(r=.446, p<.01)와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고, 컴퓨터 통신,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학습자가 가상 교육용 웹사이트에 더 자주 접속하고, 높은 참여도 점수를 획득하고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둘째,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1로 학습자들이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는 접속횟수(r=.291), 참여도(r=.238)와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컴퓨터를 도구로 하여 타인과 의사소통 하는 것에 대한 태도는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횟수와 참여도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접속횟수와 참여도 사이(r=.734, p<.01)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을 자주 할수록 참여도 점수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웹기반 가상교육 경험에 따라 나누어진 집단사이에는 접속횟수 (t=-2.027, df=40, p<.05)와 참여도(t=-4.467, df=40, p<.05)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사전에 웹기반 가상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이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을 더욱 자주하고, 참여도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점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IT활용 능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 에 자주 접속하고, 높은 참여도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의 사전 IT활용 능력 수준의 차이는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횟수와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가상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효과적인 가상 교육을 대비한 연수가 필요하다(Sherry, 1996; 한정선, 1999 재인용)는 견해와 일맥상통한다. 충분한 연수나 준비 없이 가상교육을 실시할 때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가 시행착오를 거듭하게 되며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도 없거니와 정확한 학습평가도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상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반드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사전 연수의 실시가 요구된다(한정선, 1999). 특히 학교측에서 컴퓨터와 정보 활용 관련 교육과정을 담당 할 양질의 교수자를 확보하고, 기반 시설·설비를 구축하며, 관련 소프트웨어 의 확보 등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IT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객관적으로 IT활용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제도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고등학교 과정에서 일정 수준의 정보소양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인증함으로써 정보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선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2000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될 학생정보소양인증제는 앞으로 학습자의 IT활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 대상자들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는 웹기반 가상 교육에서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횟수, 참여도와 거의 상관이 없었다. Amy와 Wing(1996)의 연구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좋아할수록 더 많이 참여한다는 결과와는 상반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와 학습자 접속횟수나 참여도가 상관이 없는 결과를 나타낸 원인은 학습자가 웹기반 가상교육에서의 참여를 하나의 학습과정으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다른 여러 요인들의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의 73.81%가 2년 이상의 컴퓨터 통신 이용 경험이 있으므로 이미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학습자가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에 접속을 많이 할수록 참여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상교육용 웹사이트의 접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접속불량, 서버의 다운, 전송속도의 느림, 학습자들이 사용할 컴퓨터의 부족과 같은 문제점(김현수 et al., 1999)이 빨리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전에 웹기반 가상교육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가상교육용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횟수가 많았으며, 참여도 점수가 높았다. 이 결과는 Fishman(1997)의 컴퓨터 매개 통신을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자 관련변인과 참여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컴퓨터와 컴퓨터 매개 통신의 사전 사용 경험이 학습자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는 연구 결과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웹기반 가상교육을 수강하기 전에 학습자는 컴퓨터 사용 능력을 배양하고, 컴퓨터 매개 통신 관련 경험을 넓히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상에서의 결론 및 제언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첫째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참여도에 대한 의미규정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학습자들의 접속횟수나, 토론방 메시지수를 참여도로 보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접속을 많이 하고, 메시지의 수가 많다고 하여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가상 토론에 참여하는 학습자간, 학습자-교수자간에 서로 주고받는 메시지에 대한 보완적인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즉, 참여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메시지의 질적인 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는데(Main & Riise, 1995), 이들은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준거로 학습자의 의도수준(intensity), 수업 내용과의 관련성(relevance), 심화수준(depth), 격식의 정도(formality), 접근 기회(opportunity)를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준거가 모든 영역의 교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각 교과 영역별로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의 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규명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웹보조 가상교육과 웹기반 가상교육의 학습자 참여빈도나 유형을 비교하는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웹을 활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Rells(1996)는 웹의 교육적 활용 형태를 정보 제공적(informational), 보조적(supplemental), 의존적(dependent), 웹으로만 전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fully webbed) 경우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정보제공적 활용은 강의계획안이나, 공지사항을 웹에서 제공하는 형태이며, 보조적 활용은 수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지는 않으나 보충자료로서 활용되는 것을 말한다. 의존적 활용은 수업의 주요 내용을 웹상에 전달하는 경우이며, 마지막 형태는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웹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웹이 학습 과정에 통합된 정도를 기준으로 삼아 분류한 것으로써, 대상, 교육목적,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웹의 교육적 활용 형태별로 가상수업의 학습자 참여 유형에 대해 조사함으로서, 각 유형별로 적합한 참여촉진 전략이나, 가상 토론 운영 전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 진행상의 문제로 45일 간의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IT활용 능력과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 변인에 관해서만 조사하였다. 하지만 연구기간을 보다 장기화하여 학습자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학습자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에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요인을 처치하고 그 효과를 증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The unprecedente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allowed us to venture new ways for improving the instructional efficiency and enhanc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society at the critical juncture of the new millennium demands more for new educational designs that can cope with a knowledge-based society, continuing education and learner-oriented education. In this sense, cyber education has become a new focal point of attention by educational technology. Questions have been raised whether the cyber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way of face-to-face education in classroom. In order for the cyber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s after all most important. Other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effectiveness of the cyber education are the lack of computer-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by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as follows: 1. How are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learners' log-in frequencies related in the cyber education? 2. How are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learners' participation related in the cyber education? 3. How are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 log-in frequencies related in the cyber education? 4. How are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 learners' participation related in the cyber education? 5. How are the learners' log-in frequencies and the learner's participation related in the cyber education? 6. Doe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login frequencies exist between learners' with and without previous experiences in the cyber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and evaluate learners' attitudes towards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 IT literacy who are taking a 'M' course at Ewha Womans University. The survey is consist of 1)the attitudes towards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2)the IT literacy, 3)Demographic features.(See the appendix). The log-in frequencies were measured from Sept. 1st to Oct. 15th by looking at the record file in the server. Learners' participation was measured by analyz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each message in the discussion ro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IT literacy shows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log-in frequencies (r=.361, p<.05), level of participation(r=.446, p<.Ol). Therefore, learners with IT literacy ten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yber education. Second, the average attitude score on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as 3.71 out 5.0, which show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However, the attitude toward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exhibits little correlation with the log-in frequencies (r=.291)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r=.238) in the cyber education. Third, there exist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og-in frequencie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r=.734, p<.Ol). This simply shows that as learners' participate more often, the participation score is higher. Fourth, there exist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log-in frequencies(t=-2.027, df=40, p<.05) and level of participation(t=-4.467, df=40, p<.05) among the groups divided by learners' experiences with the cyber education. This shows that those with previous experiences shows more active log-in frequencies and higher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es is such that we need to have a benchmark for defining the level of qualitative participation in the cyber education, thereby one can measure the qualitative participation with empirical standards. Second, th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better instructional strategi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web-based education and web-supported education. Lastly, onc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need to be cla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education further needs to be researc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