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미라-
dc.creator노미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55-
dc.description.abstractAn effect of mass media is getting more powerful in our daily modern life. This power of media environment brought a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and it has been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But it is questionable how recent media education tools are effectively in use. This study explains overall methods of media text for bette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shows how those methods support to make a creative and critical way of media-driven capacity from media education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Media Education, which lead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ives an substantial help to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ried to use Media Education in real class through the concrete object, contents, and methods. ChapterII, A media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lains concept and object of Media Education for better settlement of Media Education in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shows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 media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various different point of view and many other researches. In terms of the revised 7th curriculums, this chapter focuses on the media education necessity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III, media text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ntroduces access methods of media education and categorized the media text. One of these categories suggest possibility of teaching materials with television text for supporting next Chapter contents which, would be described a basis of concrete acceptable manner. In chapter IV, Practice method of reception media tex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basis of contents of chapterII & III, it proposes the methods how TV text is able to support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ark and contents in various ways, and it makes a real example of teaching material manner using drama text and advertisement text in television text. To build the theory that can apply media educ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substitutions for ext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boundary and rising to its position. Especially, it suggests to concrete learning method that manner of to be accepting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makes to assess in real education classes as just use theoretical study at past, also it will be used as effective learning materials in real education field as well.;현대 사회에서 대중매체가 생활 전반에 차지하는 영향력은 점점 강력해지고 있다.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는 매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고, 국어교육에 매체교육을 수용해야 한다는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매체교육을 수용함에 있어 많은 이들이 매체를 학습의 도구로만 이용할 뿐 교육의 대상으로는 바라보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매체에 관한 교육'의 관점에서 매체 텍스트를 국어교육에 수용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체교육을 국어교육에 수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매체교육의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 방법을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서 매체교육을 시행하는데 교사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 II장 매체교육과 국어교육에서는 매체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매체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정립하고, 여러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매체교육과 국어교육의 연관성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매체교육과 국어교육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또한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 매체교육의 위상을 살펴 매체교육의 국어과 도입의 당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III장 매체 텍스트와 국어교육에서는 매체교육의 접근 방식을 소개하고, 매체 텍스트를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그 범주 중 텔레비전 텍스트의 교재화 가능성을 제시하여 다음 장에서 제시될 구체적 수용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IV장 매체텍스트의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에서는 II,III 장에서 논의한 것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텔레비전 텍스트를 국어교육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교육 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어서 교재화 방안의 실제로 텔레비전 텍스트 중 드라마 텍스트와 광고 텍스트를 대상으로 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매체교육을 국어과에 수용하기 위한 이론의 정립은 변화하는 시대에 국어과의 영역을 확장하고 위상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특히, 매체교육을 국어교육에 수용하는 방안을 구체적인 학습활동 구안으로 제시한 것은 지금까지 이론에만 머물던 매체교육의 연구를 실제에 접근하게 하며, 매체교육을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방법 = 4 II. 매체교육과 국어교육 = 6 A. 매체교육의 개념과 목표 = 6 1. 매체교육의 개념 = 6 2. 매체교육의 목표 = 10 B. 매체교육과 국어교육의 관계 = 13 1. 매체교육의 실행 방법 = 13 2. 매체교육과 국어교육의 연관성 = 16 C.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매체교육의 위상 = 22 III. 매체 텍스트와 국어교육 = 30 A. 매체교육의 접근 방법 = 30 B. 텍스트의 개념과 범주 = 32 1. 텍스트와 교재관 = 32 2. 매체 텍스트의 범주 = 38 C. 텔레비전 텍스트의 교재화 가능성 = 41 IV. 매체 텍스트의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의 실제 = 44 A. 텔레비전 텍스트의 국어교육적 수용 = 44 1. 교육 목표 = 44 2. 교육 내용 = 44 3. 교육 방법 = 50 B. 텔레비전 텍스트의 교재화 방안의 실제 = 53 1. 드라마 텍스트의 교재화 방안 = 53 2. 광고 텍스트의 교재화 방안 = 103 V. 결론 = 127 참고문헌 = 132 영문 초록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13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매체 텍스트의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매체 텍스트의 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 1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