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신문텍스트 기반 보조용언 교육 내용 연구

Title
신문텍스트 기반 보조용언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 of Secondary predicate Instruction based on Newspaper text : focusing on usage pattern of '-고 있-' according to text pattern
Authors
이진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consists of the form - in terms of syntactic/semantic respects - that the results of academic research themselves reflect education content. Because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simply consist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raditional grammar knowledge while being alternated from the actual linguistic phenomena, which results in failing to evoke the grammar learner’s interest and thinking it as activities of memorizing boring rules. Therefore, focusing on the actual text, with recognizing a problem on this situation, we seek to explore grammar teaching content that can make ‘the growth of language skills as higher mental abilities’ that can be linked with thought and function. In this study, we reveal the fact that specific grammatical forms can reveal the property of a particular text genre, at the same time, can be regarded as a grammatical devic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we focus on analyzing what meaning function a specific secondary predicate can do in straight articles and feature articles: two forms of news paper text.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setup the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list of the secondary predicate. To get an authorized validity we confront this study with the secondary predicate frequency ranking of newspaper collected by researchers, 강범모,김흥규(2004),who collected data on the frequency of news paper text. We confirmed ‘-고 있-’ has the highest frequency. Text contains a specific world view and social-cultural mind in the language form that conventionally has been used. So, the secondary predicate '-고 있-' that conventionally has been used in newspaper text has also a specific intent and the language abilities we analyze through the meaning function of ‘-고 있-’ view the specific intent as the growth of the learner’s higher mental abilities. The author of news paper text strategically reveals the author’s intent not hurting social-cultural ideology that newspaper text delivers the factual information in the objective and fair respects by collecting ‘-고 있-’ that has a weak aspects among the secondary predicate. Such meaning function of ‘-고 있-’ is analyzed as highlighting function, describing function, appealing function and objectifying function, and shows the respect that even if syntactic semantic meaning is the same type, the function is selected from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expression of author’s intent. Therefore we confirmed the fact that feature articles, rather than straight articles have a higher frequency in the secondary predicate and the secondary predicate is used to express a strong intent. These attempts at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grammar teaching is consistent that the revised curriculum dealt with grammar teaching content as “text-based, searching for the grammar phenomena in the text” based on the newspaper text, analyzing and recognizing aspects of the use of the secondary predicate and encouraging accept and production activities can bring an effect that pursues the actual availability of Korean activities as activities making Korean as a target of thought and strengthens learner’s language processing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we select the secondary predicate as a principle of educational content design of the secondary predicate and present the process of becoming a language and through a phased process we form the exploration activities focusing on perceiving the secondary predicate appearing in the newspaper text and understanding the function. When learners see text, these activities improve the view “language awareness abilities” that can see grammatical phenomena of the language as well as practical language use skills.;기존의 문법 교육은 형태·통사, 의미론적 관점에서 학문적 연구 결과를 그대로 교육 내용에 반영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문법 교육 내용이 실제 언어 현상과 괴리된 채 기존 문법 지식의 단순한 이해·표현 활동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문법 학습자의 흥미 유발에 실패하고, 따분한 규칙을 암기하는 활동으로 인식되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실제 텍스트를 중심으로 수용과 생산 활동을 함으로써, 사고와 기능을 연결시키는 ‘고등 정신 능력으로서의 언어 능력의 신장’을 꾀할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특정 문법 형태가 특정 텍스트의 장르적 성격을 드러냄과 동시에 텍스트 이해를 위한 문법적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신문텍스트의 두 유형인 스트레이트 기사와 피처 기사에서 특정 보조용언의 의미기능을 분석하는데 초점이 있다. 먼저 기존 연구를 토대로 보조용언의 개념, 특성, 목록을 설정하였으며, 공인 타당도를 얻기 위해, 어휘 사용 빈도 통계를 낸 강범모·김흥규(2004)의 자료에 연구자가 수집한 신문텍스트의 보조용언 빈도 순위를 대응시켜 ‘-고 있-’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했다. 텍스트는 그 텍스트가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형식에 특정 세계관이나 사회·문화적 의식을 담고 있다. 따라서 신문텍스트에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용언 ‘-고 있-’에도 특정 의도가 담겨 있으며, 이 의도를 ‘-고 있-’의 의미 기능을 통해 파악하는 언어 활동이 학습자의 고등 정신 능력의 신장을 가져올 것으로 본 것이다. 신문텍스트의 필자는 보조용언 중에서도 양태성이 약한 ‘-고 있-’을 선택함으로써 ‘신문텍스트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관점에서 사실적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사회 문화적인 이데올로기를 헤치지 않으면서도 필자의 의도를 전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고 있-’의 의미 기능은 ‘강조 기능’, ‘묘사 기능’, ‘호소 기능’, ‘객관화 기능’으로 분석되었으며, 형태·통사론적 의미가 동일하더라도 필자의 표현 의도에 따라서 기능이 달리 선택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이트 기사보다는 피처 기사에서 보조용언이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강한 의도적 표현으로 쓰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러한 시도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법 교육 내용을 ‘텍스트를 기반으로 그 안에서 기능하는 문법 현상을 탐구하는 것’으로 다루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신문텍스트를 기반으로 보조용언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인식하여 수용과 생산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은, 국어를 사고의 대상으로 삼는 활동으로서 국어 활동의 실제성을 추구하면서 학습자의 언어 수행력을 강화하는 효과까지 가져 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용언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로 필자가 보조용언을 선택하여 언어화 하는 과정을 제시했으며, 단계화된 과정을 통해 신문텍스트에 나타나는 보조용언을 지각하고 그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에 초점을 둔 인식 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실제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킴은 물론이며, 학습자가 텍스트를 볼 때 언어의 문법 현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인 ‘언어 인식 능력’을 높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