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선-
dc.contributor.author한미선-
dc.creator한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휘 격식의 측면에서 영한 소설 번역과 영화 자막 번역의 금기 비속어 번역양상을 비교·분석하고, 격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언어 내적·외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금기 비속어는 금기어의 속성을 갖고 있는 비속어로서 사회적 경제적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사용하는 품격이 낮은 언어로 대중에게 각인된 비주류 언어였으나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사용자 및 사용빈도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금기 비속어는 불쾌한 감정을 연상시키는 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언어이며, 담화문의 격식을 낮추는 어휘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과 영화에서 단순한 언어 재료의 차원을 넘어 인물의 개성을 부각시키고, 탐정소설 등과 같은 특정 문학 장르에서는 원저자의 문체를 구체화하기도 하며, 원전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메타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금기 비속어를 번역할 때, 어휘가 담고 있는 감정의 강도를 최대한 원문과 유사하게 재생산해야만 의도했던 문체 효과나 화용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금기 비속어와 관련된 L1과 L2 간 감정 강도의 인지적의 차이, 문화 및 언어 간 수용의 차이, 언어 세분화의 차이와 같은 본질적 요소가 번역 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됐다. 첫째, 금기 비속어가 텍스트 내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무시한 채 도착문화의 기대규범을 맞추기 위해 어휘 강도를 완화하거나 생략하는 번역 방법의 문제점을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금기 비속어의 바람직한 번역 방법으로 ST와 TT 간 어휘 격식을 최대한 일치시켜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금기 비속어의 번역 결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넷째, 이제까지 학문적으로 홀대 받아온 비주류 언어인 비속어에 대한 인식 제고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 네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얻는 데 중점을 두었다. 1) 소설과 자막 번역에서 ST와 TT 간 어휘 격식에 변화가 있는가? 2) 소설과 자막 번역 간 격식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 3) ST와 TT 간 어휘 격식의 불일치가 텍스트 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 격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언어 외적 요인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소설과 자막에서 금기 비속어 어휘 격식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소설 번역 707개의 번역쌍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변화 형태는 ST와 TT의 어휘 격식을 일치시켜 감정의 강도를 유사하게 보존한 ?유지? 유형이었다. 한편, 자막 번역 1,547개의 번역쌍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변화 형태는 ST에 비해 어휘 격식이 높아지면서 감정의 강도가 완화된 ?상승?으로 조사됐다. 금기 비속어의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 모두에서 ?상승? 비율이 가장 높은 어휘는 성 관련 어휘이며, 그 다음으로는 신체 부위 및 배설 관련 어휘이고, 가장 비율이 낮은 유형은 ?하락?이었다. 금기 비속어는 금기어의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가검열을 촉발하는 특징이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소설 번역의 경우 번역자의 성별을, 자막 번역의 경우 영화 장르를 자가검열을 유발하는 잠재적 요인으로 보고 번역 양상을 고찰하였다. 소설 번역자의 성별로 격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어휘 격식을 일치시켜 감정의 강도를 보존하려는 경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막 번역에서 장르별로 격식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어휘 격식을 상향 조정하여 어휘가 담고 있는 불쾌한 감정을 누그러뜨리는 경향(상승)이 가장 두드러진 장르의 순서는 드라마, 코미디, 폭력 및 범죄로 나타났다. 반면, 격식 및 어휘 강도를 보존하여 원문과 번역문 간의 문체 및 화용적으로 유사한 효과를 달성하도록 번역한 경향이 가장 높은 장르는 폭력 및 범죄, 코미디, 드라마로 상승의 역순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 간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소설 번역에서는 ST와 TT 간 어휘 격식의 차이가 없는 ?유지?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막 번역에서는 ST의 어휘 격식에 비해 TT의 어휘 격식이 높고 감정의 강도가 완화된 어휘로 번역하거나 해당 어휘를 생략한 ?상승? 유형의 번역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승? 유형에 국한하여 번역 방법을 대체, 생략, 축약, 의미변형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본 결과, 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 간에 차이가 존재했다. 소설 번역에서는 대체의 번역 방법을, 자막 번역에서는 생략의 번역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 문제, ST와 TT 간 어휘 격식의 불일치가 텍스트 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실제 번역 사례들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소설 번역에서 '상승' 유형 중 전체 96.3%가 자막 번역에서는 95.3%가 지나치게 높은 격식의 어휘로 번역되고 있다. 금기 비속어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금기성이 강한 어휘이기도 하지만 범죄 및 폭력물에서는 장르적 특성을 부각하는 요소로, 코미디 장르에서는 유머를 유발하는 언어 장치이기도 하다. 이러한 텍스트 내적 기능을 수행하는 금기 비속어를 원문의 어휘 격식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상위 격식의 어휘로 번역할 경우, 원래 의도한 문체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는 텍스트 내적 손실로 이어져 번역의 수용자가 소설이나 영화의 줄거리, 인물의 성격, 발화 맥락 등을 이해하는 데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실제 번역 사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네 번째 연구 문제인 격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언어 외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실무 번역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연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번역자는 금기 비속어의 어휘 강도를 순화하는 데 반대하는 입장이 주를 이루는 데 반해, 자막 번역자는 완화 번역에 찬성하는 입장이 절대적으로 많다. 이는 금기 비속어의 완화 번역에 대한 소설과 자막 번역의 번역자 간 견해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코퍼스 분석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둘째, 세 가지 유형별 금기 비속어에 대한 인지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와 관련된 설문 문항을 분석해 본 결과, 소설 번역자와 자막 번역자 모두 ST의 성 관련 어휘나 신체부위 및 배설과 관련된 어휘를 좀더 격식이 높은 어휘로 번역하는 편이라고 답변했다. 반면, 욕설 어휘의 경우, 소설 번역자와 자막 번역자 대부분이 ST의 욕설을 TT의 욕설이나 그에 준하는 거친 어휘로 대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막 번역의 경우 금기 비속어 번역에 대한 성문화된 지침이 존재하고 있어 번역자가 제도적 제약을 어느 정도 받는 반면, 소설 번역자는 번역작업에 대한 모든 재량권을 번역자 자신이 갖고 있다. 이 같이 번역을 둘러싼 제도적 제약의 존재 여부가 번역 시 금기 비속어와 같은 문화적 수용성이 낮은 어휘의 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소설 번역자에 비해 자막 번역자가 금기 비속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수용성을 고려하거나, 방송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스스로 금기 비속어의 어휘 강도를 조절하는 자가검열의 역할을 수행하는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는 네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코퍼스 분석과 설문지 조사 연구를 활용하였다. 우선, 코퍼스 분석을 통해서 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에서 금기 비속어의 번역양상을 고찰하고, 격식 변화와 관련하여 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 간 특징적 차이가 있는지, 금기 비속어의 어휘 격식 변화가 텍스트 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한편, 설문지 조사 연구를 통해서 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에서 어휘 격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언어 외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 내적 기능을 수행하는 금기 비속어가 번역 과정에서 누락되거나 완화된 어휘로 번역될 경우,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실제 번역 사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어휘 격식 5단계 모델을 수립하고 번역 분석에 이를 적용하여 금기 비속어 번역의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어휘 격식을 일치시켜주는 번역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30명의 실무 번역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코퍼스 분석의 결과와 연계하여 금기 비속어의 어휘 강도를 완화시키거나 어휘 자체를 생략하는 번역 방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ongolian Adolescents attending a Mongolian school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e the degree of their bilingual proficiency and to see how their bilingual proficiency is related to their acculturation type. In the question 1, the researcher measured the proficiency of Korean and proficiency of the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a Mongolian school in Korea. Their proficiency score of Mongolian and Korean was measured using Mongolian proficiency test and Korean proficiency test. The scores of the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schools in Korea are ranked as advanced, moderate, and lower levels compared with their average scores of Mongolian proficiency of L1 mongolian monolingual. In the same way, I decided which language they are better at by comparing the students'' ranking of Mongolian and Korean resulting from the results. In the study question 2, the researcher tried to see the sco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variables. In the study question 3, the researcher tried to see how different their acculturation types are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variables. Finally, In the study question 4, the researcher tried to se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proficiencies of Mongolian and Korean and the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13.51. Their average period of living in Korea was 30.53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research questions, the proficiencies of the students'' Korean and Mongolian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proficiency of Mongolian was similar compared with that of L1 mongolian monolingual. On the other hand, the proficiency of Korean was not as good as that of L1 Koren monolingual. Moreover,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subjects'' proficiency of the both languages, Korean and Mongolian showed that the subjects who are better at Mongolian were the most, followed by the ones who had a balanced proficiency of the two languages, better at Korean. In the second study, I analyzed the scores of the subjects'' Korean and Mongolian proficiencies depending on individuals'' variables. The results were: In Mongolian proficiency, the group who answered the higher score they were, the better they were at Mongolian than Korean, who answered they use only Mongolian in speaking with bilingual speaker, and who hoped to come to Korea again got the best score. In Korean Proficiency the group who answered they were better at Korean than Mongolian, and who hoped to come to Korea again got the best score. In the third study, the acculturation types of the students attending Mongolian school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eparation typ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of the acculturation types of the students depending on individuals'' variables, the scores of assimilation type were highest in the group who answered they were better at Korean than Mongolian, and who answered they use only Korean in speaking with bilingual speaker got the best score. The scores of separation type were highest in the group who answered they did not want to come to Korea again got the best score. The scores of integration type were highest in the group who answered they were good at both Korean and Mongolian, and who answered they use only Korean in speaking with bilingual speaker got the best score. The scores of marginalization type were highest in the group who answered they use only Korean in speaking with bilingual speaker, who did not want to come to Korea again got the best score. All of these were analyz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ourth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Korean-Mongolian proficiencies and the scores of the acculturation types of the students attending Mongolian schools in Ko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the Mongolian proficiency and the scores of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types was negative rel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scores of separation type was negative.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scores of assimilation type was positive, all of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of the acculturation types of the students based on their proficiency rate of Mongolian and Korea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was that the scores of the assimilation type were higher in the group whose Korean proficiency score was high. The scores of the separation type were higher in the group whose proficiency rate of Mongolian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The scores of the integration type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whose proficiency rate of Mongolian and Korean was balanced. The scores of the marginaization type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whose proficiency rate of Korean was higher than that of Mongolian.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insinificant except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of separation type.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 proficiency of Mongolian and Korean and cultural adaption was revealed.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cide the direction of bilingu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the foreign laborers who are living in multicultural environment as a preliminary resour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 배경 및 목적 1 B.연구 방법 6 Ⅱ.이론적 배경 12 A.영어와 한국어의 격식 12 1.격식의 정의 12 2.격식의 실현양상 16 3.어휘 격식 분석 모델 19 4.어휘 격식 모델의 적용 24 B.금기어 및 금기 비속어 26 1.금기어의 정의 및 특성 27 2.금기 비속어의 정의 및 특성 32 3.금기 비속어의 번역 문제 38 가.감정적 강도의 인지적 차이 39 나.수용성의 차이 42 다.어휘 세분화의 차이 48 C.소설 번역의 특수성 및 주요 요소 52 1.소설 번역의 특수성 52 2.소설 번역의 주요 요소 57 D.자막 번역의 특수성 및 주요 요소 60 1.자막 번역의 특수성 60 2.자막 번역의 주요 요소 64 Ⅲ.금기 비속어 번역 연구 개관 68 A.금기 비속어 연구 68 1.감정적 강도의 인지적 차이 68 2.수용성의 차이 71 B.금기 비속어 번역 연구 74 1.소설의 금기 비속어 번역 74 2.자막의 금기 비속어 번역 77 Ⅳ.금기 비속어의 격식 변화양상 81 A.분석 자료 81 B.분석 방법 84 C.소설 코퍼스 분석 결과 86 1.소설 번역의 어휘 격식 변화양상 86 가.어휘 유형별 격식 변화양상 90 나.성별에 따른 격식 변화양상 97 2.어휘 격식 번역 사례 102 3.소결 125 D.자막 코퍼스 분석 결과 127 1.자막 번역의 어휘 격식 변화양상 128 가.어휘 유형별 격식 변화양상 132 나.장르별 격식 변화양상 134 2.어휘 격식 번역 사례 137 3.소결 154 E.소설 번역과 자막 번역의 차이 156 1.격식 변화양상의 차이 156 가.금기 비속어 전체의 격식 변화양상 157 나.어휘 유형별 격식 변화양상 158 2.번역방법의 차이 163 3.소결 167 Ⅴ.격식 변화의 언어 외적 요인 169 A.설문 연구의 절차와 방법 169 1.조사도구 작성 169 2.표본 집단의 성격 172 3.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174 4.조사 진행 175 B.설문연구의 분석 결과 176 1.출발 텍스트 중심 vs도착 텍스트 중심 176 2.인지적 태도의 차이 185 3.제도적 규제의 존재 여부 197 4.자가 검열기제의 존재 여부 199 5.소결 202 Ⅵ.결론 206 참고문헌 211 부록 226 Abstract 2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0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c.title금기 비속어의 영-한 번역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격식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nglish-Korean Translation of Tabooed Slang and Vulgarism: Focusing on Shifts in Lexical Formality-
dc.creator.othernameHan, Mi Sun-
dc.format.pagexiv, 24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