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Entering University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 Alternative school graduates
Authors
박슬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moving into South Korea has been increasing, it has been brought up the need of various studies on diversified adaptation patterns of refugee adolescents and emergent process problems of their settling in Korean Society. As the pre-research concluded that mos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prefer to go to university as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after moving into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prov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decision making process of entering university in South Korea. Actually, some select alternative school graduates among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show their preference to go to the college. To do so, because of their school maladjustment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y tend to enter alternative school system rather than regular on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re suffering from two aspects of difficulties. First, they need to establish their own‘identity’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and also to formulate self-recognition and self-identification. Second, they face with‘adaptation’due to the change of their habitation and the socio-psychologically unstable state. Based on these, this study focuses on interpreting decision-making process on entering university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the context where they will adjust to South Korean society and develop their career paths.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ual reasons that affect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by looking into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on entering university. Also it is to offer educational undertones and implications of their adaptation context to both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career development regarding their decision-making for university.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selecting fou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who graduated from alternative schools. It was set by three following inquiries. First, how do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form the motivation for entering university? Second, how do they experience the concrete academic performance and major exploration to go to university? Third, how do they make the process of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i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se study inquiries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university education because they experienced the different social system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ir experience enhance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Their awareness of entering university was related to the financial difficulties they had undergone in North Korea and third countries. It seemed that they were willing to live with economic stability by settling down in South Korea successfully by university education and career choice. They identified university education with a sort of 'certification' for getting better paying jobs in South Korea. This shows that they recognized this necessity regarding as a path for realization of one's identity and economic stability in South Korea. Secondly, in case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alternative schools were done concrete academic performances and major exploration activities for entering university. The fou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this study chose alternative schooling system since they had limited amount of resource for academic adjustment and career exploration in South Korea. They were able to identify Korea's education system and also adjusted to it in alternative schools. In this period, however, they had difficulties doing academic performances due to the dissimilarit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education systems, and experienced limited major exploration process. Nevertheless, they were able to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by receiving positive academic and emotional support and from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s and find their identities as immigrant youths meaningful so that they could undergo exploring major phase with available resources owned by them. Lastly, the fou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actually practicing decision-making for university education after entering university by further career exploration and campus life adaptation. Their achievement processes of entering university started with recognizing the distin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resource for exploring one's career. Also they realized the need to research a major field of study after entering university. However, the limited resource of information and financial difficulties were main factors which prevent them from making full use of the opportunity to research their major field of study. Despite these restrictions, they diversified their perspectives on career choices by experiencing South Korea's career through exposures to jobs, participating man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rying to choose one's career autonom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play the dual roles: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entering university as a part of typical adolescents' developmental stages and adjustment to South Korean society as immigrant youths. Through this decision-making process, they had been undergoing the social exclusion due to the social structure. In order to conquer this, they had been utilizing integrative strategies continually. They continue to employ the strategies of excluding and integrating until they reach sufficient resources required for career exploration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is enables them to establish self-concept about career. Therefor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decision-making process of entering university shows not only the adjustment to South Korean society but also their formation of self-concept. It suggests the necessity to draw up educational measures to support them with considering adaptation process to this society and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simultaneously.;최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로의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유형의 다양화와 적응과정에서의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대다수가 남한입국 이후 진로결정으로서 대학진학을 선택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들이 경험하는 대학진학결정과정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규학교에 재학한 북한이탈청소년들이 학업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학교부적응을 경험함에 따라 정규학교보다는 대안학교를 통한 대학진학 준비를 선호하며, 대안교육시설에 참여하는 학생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대안학교 출신 북한이탈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북한이탈청소년은 거주지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한국 사회에 대한 심리·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적응’이라는 과제와 함께 자기인식과 정체감을 형성하는 ‘자아정체감 형성’이라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이중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을 한국 사회로의 적응과 진로발달의 맥락 내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 대하여 탐구함으로써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을 파악하고,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 대한 남한 사회의 적응맥락과 진로발달 맥락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안학교 출신 북한이탈청소년 4인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대학진학에 대한 동기를 형성하는가? 둘째, 북한이탈청소년은 대학진학을 위한 구체적인 학업수행과 전공탐색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셋째, 북한이탈청소년은 대학진학 이후 진로결정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남한입국에 따른 사회체제의 변화를 통하여 학업동기의 향상을 경험함에 따라 대학진학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대학진학에 대한 인식은 북한 및 제3국에서 경험했던 경제적 어려움과 관련이 있으며,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대학에 진학함으로써 한국에서 직업을 선택하고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자격을 갖추고, 이를 통해 경제적 안정을 누리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 더 좋은 조건의 보수와 직장을 위한 일종의 ‘자격증’으로서 대학진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한국 사회에서 경제적인 안정과 자아를 실현할 수 있기 위한 통로로서 그 필요성을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들은 이주청소년으로서 새로운 한국 사회에 통합되기 위한 전략으로서 대학진학의 필요성을 인식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대학진학을 위한 구체적인 학업수행과 전공탐색은 대안교육시설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북한이탈청소년 4인의 대안교육시설의 선택은 한국 사회에서 학업적응과 진로를 탐색해나가는 데 있어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음에 따른 것이었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대안교육시설을 통해 한국의 교육체계에 대하여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응을 경험해나갔다. 비록 이 시기에 남북한의 교육체계의 상이함에 따른 학업수행의 어려움과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학교 및 전공탐색의 제한을 경험하지만, 대안학교에서 교사로부터의 적극적인 학업 및 정서지원을 통하여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주청소년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의미화함으로써, 소유하고 있는 자원들을 활용한 전공의 탐색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북한이탈청소년 4인은 대학진학 이후 대학생활적응과 계속적인 진로탐색을 통해 대학진학결정을 실천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대학진학의 실천과정은 학교생활과 진로탐색에서의 남북한 학생의 자원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또한 대학진학 이후 선택한 전공분야에 대한 재탐색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지만 한국 사회에 대한 제한된 정보인식과 경제적 어려움은 북한이탈청소년이 전공분야에 대한 재탐색의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청소년들은 일에 대한 노출을 통한 한국의 직업세계의 경험과 다양한 외부활동 및 자율적 진로선택의 도전경험을 통하여 진로선택에 대한 시각을 다각화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대학진학결정과정에 있어 청소년기로서의 발달과업과 이주청소년으로서의 한국 사회 적응과업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대학진학결정이라는 진로의사결정을 통하여 자원의 부족과 사회구조로 인한 이주청소년으로서의 사회적 배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합전략을 계속적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은 한국 사회에서 진로탐색과 적응에 필요한 충분한 자원을 획득하기까지 배제를 경험하고 통합의 전략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직업에 대한 자아개념을 형성해나간다. 따라서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은 한국 사회로의 적응뿐만 아니라, 직업에 대한 자아개념의 형성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북한이탈청소년의 한국 사회로의 적응과 더불어 개인의 진로발달을 함께 고려한 교육적 지원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