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송순이-
dc.creator송순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04-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study, I will discuss about "punctuation mark education." In regard to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e focuses of the discussion are: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subject; seco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the subject. In other words, the purpose is to research proper punctuation mark education cont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regards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a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to communicate the accurate meanings, I will contemplate theories on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and plan the contents of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by examining curriculum that are standards of the school education, and by researching actual conditions and practice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uses of punctuation marks. Many scholars have pointed out the insufficiency of the regulations of punctuation marks, which are the basis of school education’s practice, and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at is based on this regulation also has various problems. First,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reveals drawbacks of teaching grades. According to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2007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s accomplished during 1st, 2nd, and 3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during 3rdgrade of middle school, which is a sophomore year in high school. It is problematic not only because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s leaned too much towards first thre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ut also because in middle school,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s only conducted as a part of the overall orthography education In addition, the grades that are targeted to teach punctuation mark education, according to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2007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rough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4 semesters and 4 chapters,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s 3 semesters and 3 chapters, and in the 2007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s 2 semesters and 2 chapters,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and time has been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Second,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discloses problems of teaching conten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at i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and in middle school, mostly they are limited to period, comma, and quotation marks ~. That is, in school education curriculum, it is limited to period, question mark, exclamation mark, comma, quotation mark, and accent mark out of 24 punctuation marks that are presented in the regulation of punctuation marks that is considered as denotation educational object; therefore, there are more punctuation marks that are excluded from the education subject than punctuation marks that are learned from the school education that makes it harder to accomplish thorough punctuation mark education. Moreover, the failure to master various kinds of punctuation marks and uses that are presented in the appendix of 1988 "Korean Spelling System" also indicated the limited ability of learning limited functions.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does not increase and more deepen, as the grade goes up, but it just simply repeats the same contents;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s successfully conducted. Third, the pronunciation mark education reveals problems in teaching aspects. Punctuation education is taught in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in Korean language knowledge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 reading and writing, the punctuation marks are important to deliver words’ accurate meanings. Furthermore,if we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punctuation marks when they play a crucial role as a rhetorical device in literary works, and when they have their own individual meaning from sentences in mass media,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area of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to where reflects the actual language practices. Despite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part in terms of completing the meanings and delivering the right meanings,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within the school education has many problems. Thus,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problems, I will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been neglected from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as subject, research problems of teaching contents, and plan contents of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at reflects various aspects of actual language liv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order: In Chapter 1, I examined preceding theories on punctuation marks. The following is the direction of preceding theories on punctuation marks: First is a theoretical study on punctuation mark education: 1. the history of punctuation marks and its diachronic study; 2. compare and contrast of South and North Korean’s punctuation marks; 3. problems of current regulations; fourth, the actual condition of usage. Second is an educational research on punctuation marks. In this area of study, I am going to narrate by dividing into three parts: 1. an examination of current condition; 2. a plan for teaching structures; 3. the spelling system. We can find the following distinct characteristics when we gather up the preceding studies: First, studies on punctuation marks are mostly theoretical researches, while educational research is very insufficient. Second, theoretical studies on punctuation marks are mostly about analyzing problems of current regulations; and those problems, such as concepts, names, structures, spacing of the words, and a lack of punctuation marks, are found from various usages. Those problems that are found on the regulations and errors of usages can be causes of the incompletion of the current punctuation mark regulations.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revise the current punctuation mark regulations, and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at are based on the current regulations that are assumed to be the perfect knowledge needs to be reconsidered. Third, the educational research on punctuation marks is in a state of inadequacy. Considered that not on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sages of punctuation marks when the majority of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s leaned too much toward the earli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need of education is clear, and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at can be a basis of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although contextual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research on punctuation marks are mostly consisted as ‘curriculum analysis to textbook analysis to current condition analysis to teaching structure suggestion’, but it is hard to find the research consistent because it lists individual phenomena rather than analyzing it as a constant structure. Moreover, the teaching structures that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t the teaching field a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The preceding results show that the researches on the education of punctuation marks need to be more active. Especially, when we look 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usages, the need of punctuation mark education is crucial, yet the research on this area has been neglected.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ories on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First, I looked at the concepts, needs, and structures of the punctuation marks, and divided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nto educational theories and teaching theories. For this research to be accomplished, the concepts of punctuation marks must be set. In "Korean Spelling System" (1988), it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unctuation marks and other concepts that were suggested in the preceding studies. Next, in the educational theories, I examine, including preceding studies on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ethods of the stud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e teaching theories, I examine the curriculum and the punctuation mark education shown in textbooks based on the sixth education curriculum to revised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hird chapter, building upon the results of my preliminary survey conducted above, I examine the actual practice of punctuation usage among secondary level students by analyzing writing sample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In this, I utilize and presume the necessity of the concept of punctuation that I introduced in Chapter II; thus, I attempt to observe punctuation usage among stud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punctuation is used. Currently, institutional education is focused on teaching the precise usage of punctuation in reading and writing as a mean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if we consider theentire scope of language usage, we can perceive that punctuation can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aspec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texts of its usage. Thus, in this thesis, I situate punctuation usage as a means for communication largely into three different contexts; the context of everyday communication, the context of literary communication, and the context of web communication. I collect written samples and data from each of these three contexts and examine the different functions and manifestations of punctuation according to each context. The results of my analysis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wo categories: the different functions of punctuation, and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punctuation. In terms of the functions of punctuation: the period, the comma, and the ellipsi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s of punctuation while the middle dot, parantheses, the emphasis symbol, the concealment symbol, and the omission symbol betrayed a tendency towards obsolescence; new forms of punctuation that are not specified in the current punctuation standard such as the angled bracket ‘<>’, the semicolon ‘’, and the underbar ‘_’ were notably observed to be gaining more widespread usage; the usage of the ellipsis, the period, the emdash, the hyphen, and the middle dot, and other types of punctuation were observed to be widely used in altered forms and functions that differed from what they were originally intended for; in the context of web communication, both single and double quotation marks were largelyabsent from usage and often replaced by other forms of punctuation; and finally, because of the distinctiveness of the subjects that were literature majors, punctuation usage in literary contexts rarely displayed erratic usage or usage for rhetorical effect. In terms of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punctuation, in general, the exclamation point, the question mark, and the ellipsis displayed a strong tendency to be used in multiple form.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dot, single and double quotation marks, the emphasis symbol, the concealment symbol, and the omission symbol were rarely used in this way. Moreover, although the use of punctuation symbols in multiple form was widespread in the context of everyday and web communication, it was more prevalent in the context of web communication. My interview results display that on the cognitive side, students had a low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punctuation and its usage, while similarly, their memory of past education regarding punctuation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in usage was very poor. Moreover, the interview subjects exhibited signs of distinguishing punctuation usag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its usage.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for a more systematic and precise punctuation education, and likewise, the need to select different content for punctuation educ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ntexts of communication we wish to address. In the fourth chapter, based on the results reported above, I attempt to present a general framework for the educational content of punctuation. The general approach of my strategy for punctuation education relies upon the results presented in Chapter III regarding the actual usage of punctuation, asserting the general objectives that the content of punctuation education must strive to achieve and attempting to distinguish the educational content in terms of the different contexts of communication we experience in practice. In terms of general objectives, I argue that the essenceand goal of punctuation education should be the factual understanding of the punctuation standard, but also the facilitation of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unctions of punctuation according to the differing communicational contexts of its usage in practice. Additionally, we must consider whether students are actually well acquainted with all the punctuation symbols and functions mentioned in the punctuation standard and take the variance in their familiarity of the symbols into account in our textbooks. Moreover, since it is common that a single punctuation symbol has several different forms, meanings and functions, and these components can have different manifestations according to the distinct situations and purposes inherent in the various contexts of communication, we must be sensitive to the various usages of punctuation in actual language practice and acknowledge this variety in our educational content. In regard to the direction that the content of punctuation education must take, I argue that we must take an integrative approach, taking into account language education as a whole, with a special eye towards the continuity and sequential nature of education across different grade levels; also, we must critically examine the validity of the various forms of punctuation across different contexts while aiming to encompass in our educational content both the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of punctuation usage according to each communicational context. In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punctuation education, we must presume an ‘openness towards variety.’ In sum, based upon my theoretical treatment and research on the actual practice of punctuation usage, I have presented a framework for the content of punctuation education in terms of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nd ‘the process of comprehension.’This is because, even though in actual practice, punctuation usage exhibits different functions and manifestations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al context,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do not take this into account at all and thus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actual language practice of punctuation, failing to consider the interests and desires of students regarding punctuation usage. Through the usage of educational material that reflects the actual language practice of the public, students will be able to comprehend that punctuation usa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al context and discover that punctuation has a wide variety of functions and manifestations. At a point in time when the punctuation standard, which is currently the foundation on which all institutional education is based, has been criticized by several scholars for its shortcomings and thushas been subject to pressing demands for reform, I believe that, in light of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realities of punctuation education, being compelled to resort to the transmission, memorization, and usage of imperfect knowledge, this new framework is an educational alternative in that it allows for students themselves to grasp through the process of comprehension, the actual practice of punctuation, thus overcoming the opposing characteristics of punctuation education to be both essential for language but suffering from inadequate specification.;이 연구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문장부호 교육’에 관한 것이다. 문장부호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의 초점은 첫째, 대상은 중등학습자이고, 둘째, 이를 위한 교육 내용이다. 즉, 중등학습자를 위한 문장부호 교육 내용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의미의 정확한 전달과 이해에서 중요한 문장부호 교육과 관련하여 문장부호 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학교 교육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과 중등학습자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실천 양상을 조사하여 중등학습자를 위한 문장부호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 실천의 근거가 되는 문장부호 규정 자체가 가지는 미흡 성(문장부호의 체계가 <한글맞춤법>에서 다른 항목과 대등하게 한 장으로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알아도 되고 몰라도 되는 것처럼 취급될 가능성이 있는 부록으로 구성되고 있는 것도 문제이지만, 문장부호 규정자체의 체계 즉, 개념, 분류체계, 사용법과 사용의 예, 명칭체계 등이 일관된 규칙을 가진다고 보기 어렵다. 문장부호규정의 허술한 구성은 규정의 개정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하겠다)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고 있고, 이 규정을 근거로 실행되는 문장부호 교육 또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낸다. 첫째, 문장부호 교육은 지도 학년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6차 교육과정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1&#8226;2&#8226;3학년과 중학교 3학년에서 문장부호 교육이 이루어진다. 문장부호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에 편중되어 있는 점도 문제이지만, 중학교에서 문장부호 교육은 국어 정서법 전체를 다루는 부분 중에 일부로 다루어 질 뿐 이다. 또 문장부호를 교육활동의 대상으로 삼는 학년이 6차 교육과정 ~ 2007개정 교육과정을 살펴 볼 때, 문장부호 교육은 초&#8226;중&#8226;고등학교 전체 중 6차 교육과정에서는 4학기 4단원, 7차 교육과정에서는 3학기 3단원,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2학기 2단원으로 설정되어 교수&#8226;학습활동의 시간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 문장부호 교육은 지도 내용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문장부호 교육은 교육과정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마침표, 쉼표, 따옴표로 한정되어 있고, 그 중 마침표는 온점, 느낌표, 물음표를, 쉼표는 반점만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학교 교육과정에서 명시적 교육 대상으로 삼고 있는 문장부호는 문장부호규정의 전체 문장부호 24개 중 온점, 물음표, 느낌표, 반점,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정도로 한정되어 있어 학교 교육을 통하여 학습하는 문장부호보다 교육대상에서 제외 된 문장 부호가 더 많아 문장부호에 대한 교육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또 문장부호 교육의 대상이 되는 문장부호도 1988년 <한글 맞춤법>의 부록에 수록된 다양한 문장부호의 종류와 쓰임을 두루 익히는 것 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극히 한정된 기능을 익히는 것으로 제한한다. 문장부호가 교육이 학년을 거듭하면서 심화되고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 반복으로 실행되고 있어 문장부호 교육이 깊이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셋째, 문장부호 교육은 지도 영역 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낸다. 문장부호 교육은 초등학교에서 읽기와 쓰기 교과서에, 중학교에서는 국어지식영역에서 교육된다. 읽기와 쓰기에서 문장부호가 의미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중요하다. 더불어 현실언어생활에서 문학작품의 수사적 효과를 위해 문장부호가 중요하게 사용되기도 하고, 통신매체에서 문장부호가 문장과 독립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등 문장부호가 다양한 양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문장부호 교육이 그 영역을 더욱 확장하여 현실언어 생활을 반영하는 데 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다. 문장부호 교육이 의미를 완성하여 의사소통의 정확성에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과정에서 문장부호 교육은 위와 같이 여러 면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바탕으로 그 동안 문장부호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중등학습자를 문장부호 교육의 대상으로 하고 지도 내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실언어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방향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내용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문장부호에 관한 선행이론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대상으로 하는 문장부호에 관한 선행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문장부호에 관한 이론적 연구이다. 이 분야의 연구는 ① 문장부호 역사의 통시적 고찰 ② 남한과 북한의 문장부호 비교 고찰 ③ 현 규정의 문제점 고찰 ④ 사용의 실태 고찰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둘째는 문장부호에 관한 교육적 연구이다. 이 분야의 연구는 ① 실태 조사 및 분석 ② 교수모형 설계 ③ 맞춤법의 한 부분으로 연구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문장부호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연구 분야가 대부분이며 반면에 교육적 연구 분야의 연구가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둘째, 문장부호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현 규정의 문제점과 사용실태를 분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현 규정의 문제점은 ‘개념, 명칭, 체계, 띄어쓰기, 부호부족’ 등으로 논의되며,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통해 본 사용 실태분석의 결과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상의 오류가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규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과 사용상의 오류는 현행 문장부호 규정의 불완전성이 원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현 문장부호 규정은 개정이 필수 불가결하다고 논의가 모아지며 현 규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장부호교육 또한 그것이 완전한 지식인 것처럼 수용하도록 하는 것은 재고(再考)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장부호에 관한 교육적 연구는 그 연구가 극히 미흡한 상태에 있다. 그 나마의 연구도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초등국어학위논문, 맞춤법의 한 부분으로 연구한 학위논문이 대부분이다. 교육과정 상 문장부호 교육이 초등 저학년에 집중되어 있는 현실에서 초등학습자는 물론이려니와 중등학습자의 문장부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의 조사를 고려해 볼 때, 교육의 필요성이 극명하여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중등학습자를 위한 문장 부호 교육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넷째, 문장부호에 관한 교육적 연구의 내용적 구성은 대부분 ‘교육과정분석-교과서분석-실태분석-교수모형제안’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교육과정분석- 교과서분석-실태분석-교수모형제안’을 일관된 틀을 가지고 분석하기 보다는 각각의 자료를 독립된 대상으로 하여 분석결과를 단편적인 현상으로 나열하고 있어 분석자료의 연관성과 분석의 일관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 현장 수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위해 제안된 교수모형이 분석결과와 연관성을 가지지 못한 채 제안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는 문장부호 교육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특히 중등학습자의 문장부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의 조사를 볼 때 중등교육에서 독자성을 띤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이 분명한데도 이 분야의 연구가 연구자의 관심에서 소외되고 있어 연구의 필요성을 극명히 드러낸다고 하겠다. Ⅱ장에서는 문장부호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먼저 문장부호에 대한 기본적 논의에서는 문장부호의 개념과 필요성,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문장부호에 대한 교육적 검토를 교육적 이론과 교육 실천양상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문장부호 교육에 관한 연구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과연 문장부호의 개념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이 대상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1988)에서는 문장부호의 개념과 문장부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장부호의 개념을 살피고, 본고가 연구 하고자 하는 문장부호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성을 유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문장부호 개념을 기존의 ‘문자언어의 이 독 성을 돕는 부호’라는 논의와 필자가 제안한 문장부호가 사용되는 장을 고려한 ‘수사적 효과를 가지는 부호’, ‘독자적인 의미 구성 부호’라는 논의를 종합하여 ‘문장부호는 언어사용의 장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부호이다’고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문장부호 교육적 이론에서는 선행연구의 대상으로 다루었던 문장부호교육관련 연구를 포함하여 교육적 대상으로서의 문장부호를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사용하는 연구 방법은 무엇인지,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실천양상에서는 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개정 7차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문장부호 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기초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중등학습자를 대상으로 글쓰기 자료 분석과 인터뷰조사법으로 문장부호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Ⅱ에서 설정한 문장부호의 개념과 필요성 등을 전제로 하여 중등학습자의 문장부호 사용 실태를 문장부호 사용의 장에 따라 조사하고자 한다. 현재 학교 교육에서 문장부호는 읽기와 쓰기를 정확히 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된다. 그러나 언어생활 전반을 살펴보면, 문장부호는 그 사용의 장에 따라 그 기능과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의사소통의 장을 일상적 의사소통의 장, 문학적 의사소통의 장, 통신매체 의사소통의 장으로 나누고 각 사용의 장에서 발생한 글쓰기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각 사용 장에서 문장부호의 기능과 형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글쓰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기능과 형태 양상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는데 기능면에서는 양상은 사용빈도 면에서 마침표 전체, 반점, 줄임표는 사용의 빈도가 높은 반면에 가운뎃점, 중괄호, 드러냄표, 숨김표, 빠짐표는 사화(死化) 현상을 나타난다는 점, 규정에는 없는 괄호‘< >’, 쌍반점(;), 밑줄( _ ) 등 새로운 부호의 사용이 눈에 띈다는 점, 줄임표, 온점, 줄표, 붙임표, 가운뎃점, 온점 등의 사용에서 문장부호의 형태나 기능의 변형 사용이 많은 점,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모두 통신매체 의사소통의 장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따옴표를 사용하여야 할 곳에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문장부호를 사용하는 등의 변형이 보인다는 점, 문학적 글쓰기를 전공으로 하는 대상자들의 특수성으로 오히려 문학적 의사소통의 장에서는 오류나 수사적 효과를 위한 사용을 찾아보기 어려웠다는 점 등이다. 문장 부로 형태 양상을 종합하면, 문장부호 겹쳐 쓰기 양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문장부호는 느낌표, 물음표, 줄임표이다. 반면에 가운뎃점,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드러냄표, 숨김표, 빠짐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이들 문장부호 겹쳐 쓰기 양상이 일상적, 통신매체 의사소통의 장에 두루 나타나기는 하지만, 대체로 통신매체 의사소통의 장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터뷰 분석 결과 인지 면에서 학습자들은 문장부호의 중요성, 사용법에 대한 인식 그리고 과거 학습경험에 대한 기억과 학습 성과가 극히 저조하며, 기능면에서는 문장부호 사용과 관련하여 의사소통 장을 구별하고 있었다. 따라서 더욱 체계적이고 정밀한 문장부호 교육과 의사소통 장을 구별하여 교육내용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Ⅳ장에서는 앞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장부호 교육 내용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문장부호 교육 방안 설계의 방향은 Ⅲ장에서 실태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문장부호 교육내용의 실제를 각 의사소통의 장을 구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지향점으로 제시한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성격과 목표는 문장부호 규정에 대한 사실적 이해를 기본으로 하되, 실제 의사소통 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문장부호의 기능에 대해 비판적 이해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문장부호 규정에 제시한 모든 문장부호와 그 기능에 대한 접근 성을 고려하여 모든 문장부호 규정을 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교과서 차원에서 고려해야 한다. 또한 문장부호가 지니는 형식과 의미와 기능이 일대 일의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의사소통의 장마다 그 구성요소의 상황과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실제 언어 사용에서 그 다양성을 찾아보고, 그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방향은 영역의 통합성과 학년 급에서 계속성과 계열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언어사용의 장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사용되는 유형들의 타당성을 따져 볼 수 있고 각 의사소통의 장에서 지니는 공통성과 개별성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문장부호 교육의 교수&#8226;학습 방법 및 평가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수용’을 전제로 한다. 이상에서 중등학습자를 위한 문장부호 교육 내용은 이론적 고찰과 사용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의사소통 장’에 따라, ‘탐구의 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그것은 문장부호 사용의 실제는 그것을 사용하는 장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형태 양상이 드러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어 교육내용이 국어생활 현실과 괴리가 있어, 문장부호에 관한 학습자들의 흥미와 욕구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사용자들의 국어생활의 실제를 반영한 언어자료를 통해 실제 문장부호가 의사소통 장에 따라 다르게 사용함을 탐구하여 문장부호의 기능과 형태의 다양한 양상을 발견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현행 학교교육에서 근간으로 삼고 있는 문장부호 규정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그 미흡 성을 지적 받고 있어 개정의 시급함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새로운 관점은 불완전성이 강한 지식을 전달하여 암기하고 사용하도록 하는 문장부호교육 현실에서 문장부호 사용의 실제를 탐구의 과정을 통해 연구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성과 미흡성의 상극적 특성을 지닌 문장부호 교육의 대안이기도 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연구 2 C. 연구대상과 방법 13 Ⅱ. 문장부호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15 A. 문장부호에 대한 기본 논의 15 1.문장부호의 개념과 필요성 15 2.문장부호의 체계 30 B. 문장부호에 대한 교육적 검토 37 1.교육적 이론 검토 37 2.교육실천 양상 검토 44 (1) 교육과정의 문장부호 44 (2) 교과서의 문장부호 51 Ⅲ. 학습자의 문장부호 사용 양상 분석 68 A. 의사소통 장(場)별 문장 부호 기능 양상 73 1. 마침표의 기능 양상 73 2. 쉼표의 기능 양상 88 3. 따옴표의 기능 양상 97 4. 묶음표의 기능 양상 101 5. 이음표의 기능 양상 106 6. 드러냄표의 기능 양상 111 7. 안드러냄표의 기능 양상 112 8. 문장부호 규정 이외 부호의 기능 양상 121 B. 의사소통 장(場)별 문장 부호 형태 양상 126 1. 문장부호끼리 겹쳐쓰기 126 2. 문장부호 이외의 기호와 겹쳐쓰기 133 3. 그 외의 형태 양상 136 C. 문장 부호 사용 양상 인터뷰 137 1. 인터뷰 항목 설계 138 2. 인터뷰 결과 분석 139 Ⅳ. 문장부호 교육 방안 설계 147 A.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지향점 147 1. 문장부호 교육 내용 성격과 목표 147 2. 문장부호 교육 내용 148 3. 문장부호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150 B.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실제 151 1. 문장부호 교육 내용 체계 151 2. 문장부호 교육 내용의 구성 155 Ⅴ. 결론 165 참고문헌 167 ABSTRACT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15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등 학습자를 위한 문장부호 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unctuation mark education cont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ong, Soon-Yi-
dc.format.pagexi, 1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