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민혜정-
dc.creator민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A writing activity involves a process of creating, organizing, and expanding thoughts with language and building meanings. In particular, revising makes such an essential process in that it can help the writer look back on his or her writing, inspect it critically, solve problems, and internalize his or her writing process. Most students, however, lack a perception of revising and fail to use the revising strategy, which allows them to take an active and independent approach, in their actual writing processes. One of the reasons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proper, concrete, and applicable instructional methods for revising and level-based revis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writing skills. Thus the investigator devised and applied an essay revising model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which helps the students in diverse writing skill levels structurize their writings, look back on and inspect them more actively, and participate in revising more actively. The application results show that both the fourth and eighth graders experienced significant effects in writing skills, revising skills, and revising perceptions. Recognizing that the old revising instructional methods failed to reflect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the investigator offered a framework of content structural diagram by considering their different levels and witnessed positive effects on all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The research content and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helps the students naturally include self-inspection, self-questioning, and self-revision in the process of reading a draft and making a content structural diagram and thus improve their writing and revising skills evenly in terms of content, structure, and expression. Second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offers the students a framework of content structural diagram and accordingly enables all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take active part in revising. Third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caused positive changes to the students' perceptions of revising. Final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writing skills, revising skills, and revising perceptions of both the fourth and eighth grader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tilized a student levels-based content structural diagram as a strategy to help the stude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revising and engage in revising more actively and provided help to the scene of education by applying and demonstrating a revising instructional model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will hopefully utilized by the students actively in a process in which they critically inspect their writings, solve problems, and internalize their writing processes.;본 연구의 목적은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구안하는 데 있다. 글을 쓰는 활동은 언어로써 생각을 생성하고 조직하여 확장시키면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이다. 특히 고쳐 쓰기는 자기 글을 돌아보며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쓰기 과정을 내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고쳐 쓰기 전략을 실제 쓰기 과정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고쳐 쓰기 지도 방법과 쓰기 능력에 따른 수준별 고쳐 쓰기 지도 방법이 적절히 제시되지 못한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쓰기 능력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자신의 글을 보다 적극적으로 돌아보고 점검하며 능동적으로 고쳐 쓰기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모형을 고안하였다. 특히 논술문과 같은 설득적인 글은 자신의 사고 과정을 보다 활발하게 살펴보아야 함으로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조정의 고쳐 쓰기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래 내용 구조도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인 구조화의 효과를 고쳐 쓰기에 적용해 봄으로써 자신의 글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고 사고 과정을 활발히 진행시켜 보다 능동적인 고쳐 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내용 구조 도와 관련해 고쳐 쓰기를 했을 때,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기존 연구들은 종종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쓰기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내용 구조 도를 어떻게 적용하여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내용 구조 도를 활용해 고쳐 쓰기를 진행했을 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고안해 이를 쓰기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 모두에게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고쳐 쓰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 결과물의 한계를 검토해 보고, 보다 구체적이며 능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고쳐 쓰기 방법, 학습자 수준별로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고쳐 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2장에서는 작문 이론에 따른 고쳐 쓰기의 의미와 고쳐 쓰기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논술문에서 자기 조정 전략 사용이 핵심적인 고쳐 쓰기에 주목해 보았다. 3장에서는 기존의 고쳐 쓰기 연구 방법 중에서 글 전체를 구조화하여 점검하는 데 내용 구조도 중심의 고쳐 쓰기가 가장 효과적임을 밝힌 후,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전략의 활용 측면에 중점을 두어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모형을 실제 학습자들에게 적용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논의 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지도가 실제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과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내용 구조도 전략의 습득 및 적용을 위한 교재를 계발하여 4학년, 8학년 각각 21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적용은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0차 시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실험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및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양적,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적용의 결과, 4학년과 8학년 모두 쓰기 능력 및 고쳐 쓰기 능력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드러냈다. 기존의 고쳐 쓰기 지도 방법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제시되지 못했던 점에 주목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내용 구조도의 틀을 제공한 것도 상, 중, 하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자들이 작성한 1차, 2차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용, 조직, 표현 면에서 고르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가 초고를 여러 번 읽고 이를 구조화시켜 자신의 글을 돌아보며 점검하는 과정에서 조직은 물론 내용과 표현 면에서도 고르게 점검과 수정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결국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한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수정을 활발히 이루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4학년, 8학년 대부분이 사전 검사 때부터 고쳐 쓰기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나, 사후 검사를 통해 고쳐 쓰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아졌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주로 단어와 문장 수준의 고쳐 쓰기를 해야 한다고 했던 사전 검사와 달리 주로 글 전체 내용과 조직 중심의 고쳐 쓰기를 해야 한다고 밝힌 학습자들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논의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학습자가 자신의 초고를 읽고 내용 구조 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수정으로 이어져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수준별 내용구조도 틀을 제공함으로써 상, 중, 하 학습자들 모두 고쳐 쓰기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고쳐 쓰기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4학년, 8학년 학습자 모두에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쓰기 과정에서 고쳐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고쳐 쓰기를 할 수 있는 전략으로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 도를 활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모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하고 실제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 도움을 주고자 한 점도 그 의의라 할 수 있다.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이 실제 고쳐 쓰기 과정에서 자신의 글을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문제를 발견함과 동시에 해결해 가는 동안 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내면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문제 및 연구 내용 15 Ⅱ. 이론적 고찰 19 A. 쓰기 수행과 고쳐쓰기 19 1. 작문 이론에 따른 고쳐쓰기 19 2. 고쳐쓰기의 의미와 내용 24 B. 자기 조정적 논술문 고쳐쓰기 33 1. 자기 조정 전략과 논술문 고쳐쓰기 33 2. 문제 해결과정으로서의 논술문 고쳐쓰기 37 C.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쓰기 40 1. 도식 조직자의 일반적 활용 41 2.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쓰기 필요성 44 Ⅲ.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방안 50 A. 학습자 수준에 따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쓰기 50 1.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도 양상 분석 50 2.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도 활용 후의 논술문 변화 분석 55 3.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쓰기의 필요성 59 B.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모형 및 내용 62 1.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원리 62 2.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모형 및 내용 65 IV.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방안의 실제 72 A. 연구 방법 및 내용 72 1. 연구 대상 및 기간 72 2. 검사 도구 74 3. 연구 설계 및 절차 79 4.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쓰기 교수·학습 과정 81 B.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85 1. 쓰기 능력의 변화 86 2. 고쳐쓰기 능력의 변화 91 3. 고쳐쓰기 인식의 변화 115 Ⅵ. 결론 및 제언 122 참고문헌 125 부록1. 사전·사후 검사 논술문 평가 결과표(4학년/8학년) 129 부록2.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프로그램 교재 133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702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dc.creator.othernameMin, Hye-Jung-
dc.format.pagexi, 1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