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시 교육에서의 맥락 교육 방안 연구

Title
시 교육에서의 맥락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s of teaching context in poetry education
Authors
강현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 교육에서 맥락을 체계적으로 수용하고 적용하기 위해 교육 내용과 방법 차원의 맥락 설정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시 교육에서 맥락을 재 개념 화하고 범주화하여 작용 양상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맥락을 고려한 시 교육 내용과 방법 차원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탈 맥락적인 국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맥락’범주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맥락’의 의미나 그 국어교육적 특성이 불명확하고, 교과서 구성이나 교수•학습 실행, 평가 등 현장 국어 교육의 구체적인 설계 및 실행 장면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분명한 안내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맥락’의 의미를 살펴보고, ‘맥락을 고려한 시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안에 대한 논의를 다루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기존 연구물들을 바탕으로 2007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맥락’ 개념과 수용배경, 범주의 특성과 의미 문제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문제점으로는 일관적이지 못한 내용 요소의 불일치 문제와 맥락의 모호성, 그리고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지 못한 성취기준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맥락을 고려한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가장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시 영역에서의 의의를 규명하였다. 사고와 감동이 배제된 단순 지식 중심의 시 교육, 주체적인 위치를 잃어버린 지극히 수동적인 독자, 마치 기계에서 찍어내는 상품 생산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시 해석 등은 시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오랜 과제였다. 특히 이 중에서도 잠자고 있는 학습자를 일깨워 주체적인 독자로 나서게 하는 일은 시 교육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돌파구로 다가온 것이 바로 맥락을 고려한 시 교육이었으며, 이 방안은 독자, 학습자의 반응을 가능하게 한 텍스트의 요소들을 맥락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런 점들은 독자가 시를 해석하는 근거로 활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의 의미 규명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맥락의 범주를 주체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문학사적 맥락으로 나누어 세부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 하위요소들은 텍스트 안의 미시적 맥락에서부터 텍스트 밖의 거시적 맥락으로 점차 확장시켜 고려함으로써 수용에 그치는 것이 아닌 창작에 이르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본고에서 창작의 의미는 더 깊은 수용으로써 생산임을 염두에 두고 서술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Ⅳ장에서는 이러한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맥락을 고려한 시 교수•학습 모형과 절차를 마련하였다. 여기서는 맥락의 형성에서 심화까지의 과정을 바탕으로 맥락을 고려한 시 해석 및 감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시를 해석할 때 독자의 내면에서 여러 해석 방식들이 경쟁 관계를 이루는 과정, 그런 경쟁 관계 속에서 독자가 내적 대화를 통해 주체적으로 특정 맥락을 선택하고 사유하는 해석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시 교육에서 맥락을 고려함으로써 근거 있는 해석과 타당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맥락’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구체적인 시 교육의 방안으로 끌어와 맥락을 고려한 시 교육 방법을 구안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지닌다. 본고에서 구안한 맥락을 고려한 시 교수•학습의 모형은 실제 시 교육 현장에서 학습독자의 해석 및 감상 능력을 제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 지도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스스로 맥락을 인식•조절하며 읽어나갈 수 있는 독자’를 기르는 중요한 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thods of setting context as contents and means of education for systematically accepting and applying the context in poetry education. This study, hereupon critically overviews context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lso discusses the aspects of procedure by re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the context in poetry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a model for teaching-learning as contents and means of poetry education considering the context.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sets the category of the context to overcome the problems of being off-context i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the concept and identity as national language education of the context is not clear in the revised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0f 2007. It also turned out hard to find specific and clear directions of textbook composition, procedure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scene of practical planning and acting classroom education of national languag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looks at the meaning of 'context', and discusses the way poetry education should head towards. For such discussion, first the author presents a critical study on the concept of 'context', its accepting background, categorial features, and its meaning problem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ased on existing study materials in chapter II. Discordance of inconsistent constituents, and vagueness of context, achievement criteria not considering various contexts are pointed out as problems, and alternatives a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poetry education in solving these problems, and showing the importance and need of education thoroughly considering context is investigated. Passive education excluding thinking or emotional touching ―oriented simple matters memorizing education, extremely passive readers ―not knowing oneself, and consistent poem interpretations as if they were printed out by the moving belt have been problems to be solved in poetry education. Especially, to awaken dormant learners into being independent readers was an urgent problem in poetry education. A breakthrough at this point was poetry education in context, which plan is to explain the parts that make readers react by context. With this help, readers could have a tool in interpreting poem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above, chapter III forms minor content by dividing the context into independent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literature history context. Sub-elements are extensionally considered, starting from micro-context within textbooks to extracurricular macro-context, setting the goal not only upon accepting, but up to creating. This script premises creation as a product of ultimate embracement and understanding. In chapter IV, there is a model and a manual of procedure on teaching-learning poetry education based on context. Here, it suggests a way of interpretating and appreciating poetry based on context, according to the curricula of context-forming level to advanced level. This premises that readers are able to experience the competitions between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in these competitions, independently interpretating courses choosing a particular part of the context and thinking by inner-communication. This verifies the fact that by considering text in poetry education, reasonable and various interpretations are able to be mad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clarifying the meaning of 'context', applying this as a means of poetry education, and structuring the method of poetry education according to context.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poetry education will be useful in practical poetry education scenes, enhancing the reader's ability to interpretate and appreciate poetry. This is also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in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poetry education : training readers who can realize and control the context by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