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홍미연-
dc.creator홍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0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2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0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을 구성하는 다양한 다문화 주체들 가운데 특히 코시안과 새터민 청소년들이 차별과 편견으로 인한 부적응 문제가 심각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출발하였다. 이들의 학교 부적응 문제는 이들에 대한 편견으로 차별과 거리감을 갖는 다수의 일반 청소년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두 소수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수준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영향의 정도를 확인하여 일반 청소년들이 코시안과 새터민에 대하여 갖는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 코시안과 새터민 청소년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필요한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6개 중등학교 학생 576명에게 배부되어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532명이 응답한 설문지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모두 유의수준 p<0.1, p<0.05, p<0.01, p<0.001에서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위계적 회귀분석, 카이제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의 경우 집단 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cheffe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일반 청소년들의 코시안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평균은 2.19점,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평균은 2.48점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경향은 척도상의 중간 값(3점)보다 다소 낮게 나왔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 조사 대상자인 일반 청소년들은 코시안에 비해서 새터민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멀게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으며, 개인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코시안과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는 조사 결과 8가지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성별과 성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코시안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모두 높게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적은 대체적으로 성적이 높아질수록 코시안과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낮아지고 성적이 낮아질수록 두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타문화 접촉 경험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는 직접적으로 코시안 청소년이나 새터민 청소년을 알고 지내는 경우 이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매우 낮아짐을 알 수 있었고, 타문화에 대한 프로그램이나 책 등의 간접 경험 빈도와 외국인을 위한 봉사활동 경험도 집단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들이다. 그 밖에도 직접 접촉 경험의 하위 변인인 접촉 빈도, 친밀감 정도, 접촉 기간, 접촉 유형 가운데 접촉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세 변인은 코시안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일반 청소년들의 코시안과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타문화 접촉 경험 변인들을 나누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코시안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성적, 성별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쳤으며,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는 성적, 성별, 학년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시안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타문화 접촉 경험 변인은 타문화 간접 경험 빈도와 코시안에 대한 직접적 접촉 경험, 외국인을 위한 봉사활동 경험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쳤으며,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타문화 접촉 경험 변인은 타문화 간접 경험 빈도와 외국인을 위한 봉사활동 경험, 외국 관광 경험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다문화 가정의 유형도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문화 가정의 문제를 보다 세분화하여 연구하고 집단의 상황과 성격에 맞게 다문화 정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직접적인 접촉 경험이 매우 중요하며, 접촉 경험 중에서도 접촉 빈도나 기간과 같은 양적 요인보다는 친밀감과 같은 질적 요인이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는 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나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나 다문화교육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This study is based on an awareness of the problems regarding social adjustment of people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namely Kosians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ho fac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t school. Part of the responsibility falls squarely on the shoulders of class mates. Therefore this study looks into the general youths' social distance between youths with two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ir difference in perception, its cause and its influence, therefore comes up with an adequate strategy to reduce the gap and contribute to social adjustment of Kosian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become healthy members of our society. A survey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sking 576 students from six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in which 532 students made proper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latest findings was analyzed through SPSSWIN 12.0 statistics program and verified at significant level of p<0.1, p<0.05, p<0.01, p<0.001.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ent through th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Chi-square analysis. In executing One Way ANOVA, a post-hoc test was implemented through Scheffe test in order to stud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the recent research was able to bring out meaningful results as shown below: First, it has been found out that social distance felt by general youths toward Kosians was rated 2.19 points while toward North Koran youth defectors, 2.48 points, both scoring lower than mid-point (3 points). In other words, general youths feel more distant toward those from North Korea than Koisans. The amount of distance felt by general teenagers varied by individual. Secondly, the research revealed the social distance felt toward Kosians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showed visible difference in the sections of gender and scholastic achievements among 8 categories of demographic variables. In gender category, boys compared to girls displayed higher social distance toward both Kosians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yielding visible difference in statistics. In most case the higher the scholastic achievements, the lower was the social distance felt toward both Kosians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nd the lower the scholastic achievements, the higher the social distance, marking meaningful scale in statistics. Thirdly, the difference in social distance through contacts with other cultures yielded following results. In case one knows any Kosian 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 personally, the chances of feeling closer to the rela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without the opportunity. Other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included indirect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through mass media or reading and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for foreigners. Also for experience of direct contact among variables such as the frequency of contact, the level of familiarity, the contact period and the type of contact, aside from the variable of contact period, the three other variabl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toward Kosians. Fou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jor cause and its influence over general youths' social distance toward Kosians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classified into types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other culture-contact variables.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influenced social distance toward Kosians were scholastic achievements followed by gender while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as influenced by scholastic achievements, gender and school year in that order. Also the variables of other culture-contact experience that influence social distance toward Kosians stemmed mostly from the frequency of indirect contact with other cultures, followed by the experience of direct contact with Kosians and experience of voluntary activities for foreigners in that order.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 influential components was the frequency of indirect contact with other cultures followed by experience of voluntary activities for foreigners and travel experience overseas, in that order. Amid rapid ris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numbers and forms, this study aims to bring into attention to the need to implement a more detailed study of such groups and set up a more specialized policy customized for the need of multicultural family depending on their types and respective situation. Also in order to reduce social distance, an experience of direct contact is very important. The quality of contact was also found to be important, namely elements such as friendliness between people which is shown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quantity of contact such as meeting frequency or time spent on contacts. All this will offer an important point to teachers and multiculture experts on the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7 A. 한국의 다문화 지형도와 다문화교육 7 1.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상황 7 2.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연구 동향 10 B. 코시안과 새터민 청소년의 현황 13 1. 코시안 청소년의 현황 및 교육 실태 13 2. 새터민 청소년의 현황 및 교육 실태 18 C.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이론적 검토 23 1. 사회적 거리감의 개념과 보가더스 척도 23 2. 사회적 거리감 관련 요인 26 3. 접촉 경험의 편견 감소 효과 29 4.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 거리감 선행연구 31 III. 연구 방법 및 설계 35 A. 연구 절차 및 연구 대상 35 B. 측정 도구 36 C. 연구 모형 및 자료 분석 방법 39 IV. 연구결과 및 해석 41 A. 기술통계 41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1 2. 타문화 접촉 경험 실태 43 3. 코시안과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46 B. 코시안과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비교 49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비교 49 2. 타문화에 대한 접촉 경험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비교 51 C. 코시안과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59 1. 코시안과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분석 59 2. 코시안과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타문화 접촉 경험 변인 분석 63 V. 결론 및 제언 68 A. 요약 및 결론 68 B. 논의 및 제언 71 참고문헌 74 부록 - 설문지 79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97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코시안(Kosian) 청소년과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General Youths‘ Social Distance toward Kosian Youths a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dc.creator.othernameHong, Mee Yeon-
dc.format.page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