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학교의 진로지도가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학교의 진로지도가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chool career guidance to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decision ability
Authors
김태령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다양한 진로지도와 관련된 활동이나 요소들 즉, 적성과 진로에 관심 있는 선생님, 진로와 관련된 정보 제공, 「진로와 직업」교과 이수, 진로 관련 강연, 직업체험, 진로상담 등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진로정보인지, 진로계획 그리고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함께 가정 내 변인들 즉 소득, 부모의 학력, 가정 내 대화 시간 등이 부차적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이하 KEEP으로 함)에서 2004년을 기준으로 중학교 3학년,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실업계 고등학교 3학년 각 2,000명 총 6,000명을 대표성 있게 추출하여 10년 동안 추적 조사하는 종단면 조사 자료 중 인문계․실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000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이들 학생의 가구, 담임, 교무를 대상으로 한 조사 자료까지 포함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의식 부분에서 인문계와 실업계를 비교했을 때 보다 많은 인문계 학생들이 실업계 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진로의식을 갖고 있었다. 또한 학교의 진로지도가 인문계, 실업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정 낸 변인으로는 소득이 다수의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소득 수준을 가정의 경제적인 수준으로 간주했을 때, 가정의 경제적인 수준이 높으면 진로의식이 성숙될 가능성이 높다. 학력의 경우 인문계의 경우에는 다수의 항목에서 아버지의 학력이 유의미한 결과 값을 보였다. 즉 아버지의 학력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사회적 지위가 학생의 진로의식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어머니의 학력의 경우 인문계, 실업계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대화시간의 경우에는 인문계, 실업계 모두에게 다수의 문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즉 대화 시간으로 추측할 수 있는 가정 내 학생과 부모와의 애착 관계 등은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과 값의 크기로 봤을 때 학교의 진로지도가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영향을 미치긴 하나 가정 내 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로정보인지 분야에도 인문계와 실업계를 비교했을 때 보다 많은 인문계 학생들이 실업계 학생들보다 그 인지 정도가 높았다. 학교의 진로지도 요인은 진로정보인지 부문에 있어서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값을 보였다. ‘미래직업의 업무 및 근무환경을 알고 있는가'의 문항에 대해서는 인문계 학생들이, ‘미래직업의 전망 및 보수를 알고 있는가’ 문항에 대해서는 실업계 학생들이 학교의 진로지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보여졌다. 학교의 진로지도 외에 학생들의 진로정보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미래직업의 업무 및 근무환경을 알고 있는가'의 항목 관련 인문계 학생의 대화시간, ‘미래직업의 전망 및 보수를 알고 있는가’ 항목의 소득만이 유의미한 값을 가졌다. 진로정보인지에 가정 내 다른 변수들의 영향 관계가 많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학교가 학생들에게 진로정보 제공처로 중요하고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계획과 진로결정에 있어서 ’미래 직업을 결정했는가’, ‘희망 전공 결정 여부’, ‘진학 대학 선택 여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인문계 학생들이 실업계 학생들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고, ‘미래 직업을 선택했고 그 직업을 평생 직업으로 생각하는가’, 그리고 ‘그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가’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실업계 학생들이 인문계의 학생들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는 실업계의 경우 취업을 목적으로 들어온 경우가 인문계 보다 많고 학교 내에서의 실질적인 직업교육을 통해 직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학교의 진로지도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값을 보였다. ’미래 직업 결정 여부’ 항목에 대해서는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 보다 더 큰 영향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희망 전공 결정 여부', '진학 대학 선택 여부', ‘미래 직업을 선택했고 그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가’ 항목에 대해서는 실업계 학생의 경우가 인문계 학생의 경우보다 학교 진로지도 정도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볼 수 있었다. 가정 내 변인에 있어서는 ‘미래 직업 결정 여부’에 있어 대화 시간과 대졸 이상 어머니의 학력이 유의미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가정 내 학생과의 대화 시간이 많은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학생들이 미래 직업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아버지의 학력도 인문계의 ’미래 직업 결정 여부’ 항목과, 실업계의 '희망 전공 결정 여부‘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과값의 크기로 봤을 때 학교의 진로지도가 학생들의 진로계획이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긴 하나 가정 내 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진로계획에 있어 그 직업을 평생 직업으로 생각하는가라는 문항에 있어서는 인문계와 실업계 모두 유의미한 값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개인들이 어떠한 직업을 평생 직업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보여 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zing how the variables such as the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student's career and aptitudes, the information providing related to the career, the subject 『the career and the job』, the lecture related to the career, job experiencing and career consulting influence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career information awareness,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cision 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zes secondarily how the variables such as family's income, the education level and conversation time in the families influence on the caree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4,000 the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 year students among longitudinal section research data which is extracted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as 2004 year base. This research also includes info related to the students' families, home room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is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studied questions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summary of this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 : First, in the career consciousness part, the career guidance of school was verified that it positively affects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vocational school students. As the factor of the family, the income was confirmed as meaningful and positive variable in many questions. That is to say, if the income is higher, the possibility for career consciousness's becoming mature is also higher. As for the academic students, th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graduated as high as college or higher than colleg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career consciousnes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ather's education and social status affect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is verified as a significant factor to both academic and vocational students. The variable 'conversation time' was shown positive impacting on a number of questions for both academic and vocational students. This conversation time showing family's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ir parents is verified as a positive variable influencing on the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Second, the school's career guidance significantly impacts on the student's carer information recognition. For the academic students, the income and conversation time are also found as the meaningful variables to the students'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Related to the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no much relationship was found with other variables regarding the family. So it's certain that school is doing his actual role as the important channel of providing career information with students. Third, even to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cision, the school's career guidance was impacting on the students. As for the family variables, conversation time and the mother's college graduated educational level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n students determining future career. It shows that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s who spend a lot of time to have conversation with stu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students determining his future career. But related to the question, 'do you think the chosen career is a only lifelong career in career planning?', no other significant variables are found. It's reflecting socially widespread trend that the individuals in a complex modern society don't think a certain career in any profession as a only lifelong care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