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7 Download: 0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을 반영한 인구단원의 다문화교육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을 반영한 인구단원의 다문화교육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pplication of Population Unit that reflects Korean Society's Multicultural Phenomenon : with a focus on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한지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Due to Korean society's recent transition into multiracial․multicultural society, immigrants with various backgrounds are increasing in various regions of Korean society. Entering the 21st century,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residents of foreign nationality and North Korean immigrants are immigrating in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o foreign workers, and the race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are getting diversified rapidly. Since 2010, 2.35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are being composed of foreign population, and existing social convention that regarded 'Korea's citizens' in the same light as 'one nation' has encountered a new challenge due to social changes of increasing foreign population and decreasing birth rate. Korean society has a history of immigration and a strong sense of one ethnic race, so an effort towards the unification with races other than Korean is required. As part of such effort, fundamental measure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Korean society's multicultural phenomenon is necessary. To achieve this, school education must be in charge of systematic education on Korean society's multicultural phenomen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Before seeking a pla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curriculum, this research arranged Korea's multicultural phenomen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Through thi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 respect to international movement of labor and geographic population characteristics was understood. Based on the occurrence of multicultural phenomenon with respect to geographic population characteristics, revised curriculums of 2007 and 2009 were reviewed, and the education curriculum contents of multicultural phenomenon were arrang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re was no clear standard that proposed academic goals toward multicultural phenomenon. Multicultural phenomenon was also looked into by classifying it into general social field and geography field, and general social field explained cultural change and diversity in 'cultural understanding and creation' unit, and dealt with Korean society's multicultural phenomenon as a case topic for discrimination and equality in 'individual and social life' unit. On the other hand, in geography field, inequalities in depiction form and quantity of multicultural phenomenon related contents were noted. In particular, the lack of dealing with 'population', which forms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background, in both general social field and geography field,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A society's population structure and composition must be dealt with since they are very importan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future education curriculum supplementations are required. Therefore, this research designed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posal that can be utilized in population units of geography curriculum as a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lesson was applied with grade 7 students as the target. The lesson attempted to examine its effect on students' recognition. In addition to existing textbook contents, contents of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 and population composition were implemented as the main subjects in lesson contents. The lesson took place in the first period, targeting students of K middle school located in Bupyeonggu, Inchon. A survey on muticultural phenomenon recognition was carried out before the lesson, and newspaper data, statistical data and movie were utilized as lesson tools. The chosen movie is appropriate for 7th grade students, and is an animation movie produc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urposes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fter viewing, students were made to draw up opinions and worksheet activities.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d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knowledge․function․value․behavior du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phenomenon is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due to the influx of foreigners, and such changes in Korean society can be attributed to international movements of population, and its background and result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population phenomenon. Second, after reviewing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s, it was discovered that clear academic goal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phenomenon in social studies were not presented.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phenomenon related contents by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did not display uniform proportions. Population units did not contain appropriate contents of population's international movements and population composition diversification, which display multicultural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need for educational efforts that properly reflect multicultural phenomenon in geography education was recognized. Third, contents of popopulation's international movements and population composition diversification were included in population units that were deemed appropriate for multicultural phenomenon application in geography curriculum and a lesson was carried out. Through such lesson, students dispelled prejudices against multicultural phenomenon of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migrant women, and obtained balanced perspectives to deal with them. Through such measures, implications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establishments can be provided.;최근 한국사회가 다민족․다문화사회로 이행함에 따라서 한국사회에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이주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사회에는 외국인 노동자 뿐 만 아니라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의 자녀, 외국국적의 주민, 북한 이주민이 이주해오고 있어 인종과 문화적인 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2010년 이후 전체 인구의 2.35%가 외국인 인구로 구성되고 있는 실정이며, 출산율은 저하되는 반면 체류 외국인의 수는 급증하고 있는 사회적인 변화로 인해 '대한민국의 국민'과 '한민족'을 동일시 해왔던 기존의 사회통념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였다. 한국사회는 이주의 역사가 짧고 단일민족의식이 강하여 한국 이외의 다른 민족과의 통합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 대한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수행해야 하는 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교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을 통해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을 체계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에 앞서 한국의 다문화현상을 선행연구 및 통계자료를 통해 정리해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가 노동력의 국제적 이동과, 인구지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형성되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문화현상이 인구지리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발생되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검토하였으며,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현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그 결과, 사회 과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현상에 대한 학습목표를 제시한 뚜렷한 기준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문화현상을 일반사회영역과 지리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 본 결과, 일반사회영역에서는 ‘문화의 이해와 창조’의 단원에서 문화변동과 다양성을 설명하며, ‘개인과 사회생활’의 단원에서의 차별과 평등에 대한 주제의 사례로써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지리영역에서는 다문화현상을 다루는 내용이 서술 형태와 분량 면에서 불균형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히, 다문화현상의 배경이 되는 ‘인구’에 대해서는 일반사회영역과 지리영역에서 모두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한 사회의 인구구조와 인구구성은 상당히 중요한 지리적 특색이기 때문에 반드시 다루어야 하고 차후에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인구단원에서 다룰 수 있는 다문화교육 안을 설계하였으며, 7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해보았다. 수업을 통해서는 학생들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수업의 내용은 기존의 교과서 내용 외에 다문화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구단원의 내용 중에서 인구의 국제적 이동에 대한 내용과 인구구성 변화의 내용을 주제로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수업은 1차 시로 이루어졌으며 인천 부평구 소재 K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 전에 다문화현상에 대해 가진 인식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업 도구로는 신문자료와 통계자료 및 영화를 활용하였다. 영화는 7학년 수준에서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하였으며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다문화교육용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시청 후에는 학습지활동과 소감을 작성하도록 한 후 분석을 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에서 지식․기능 , 가치․태도에 일어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한국사회는 외국인의 유입으로 다문화현상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한국사회의 변화는 인구의 국제적 이동으로 발생하였으며, 인구현상을 통해 그 배경과 결과를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내용을 검토한 결과 사회 과에서 다문화현상에 다루는 뚜렷한 학습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교과서 별로 다문화현상을 다루는 분량에도 차이가 있으며, 학습자료 역시 고른 비중을 보여주지 않았다. 인구단원에서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을 나타내는 인구의 국제적 이동과 인구구성의 다양화에 대한 내용을 적절히 담고 있지 못하고 있어서 지리교육에서 다문화현상을 반영하는 교육적인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리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인구단원에서 인구의 국제적 이동과 인구구성의 다양화에 대한 내용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현상으로 인식하고 있던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선입견을 불식시켰으며 이에 대처하는 균형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향후 교육과정의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