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김민선-
dc.creator김민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09-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unprecedented revolution caused by the rapid pace of technological changed, newly defined global market and diversified needs of worker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successfully, many organizations have adapted work teams as one of the primary solutions.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ork team is difficult especially when it is requires for organizations to retain trust in teams to get better solutions easily. Accordingly,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team organization. One of these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with coworker in Team and team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which are focused on team effectiveness, trust with coworkers in team,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learning behavior and empirically so investigate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Hypothesis 1. Higher the perception of trust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performance. Hypothesis 2. Higher the perception of trust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engagement. Hypothesis 3. Higher the perception of trust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collective efficacy. Hypothesis 4. Higher the perception of trust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learning behavior. Hypothesis 5. Higher the team collective efficacy, higher the team performance. Hypothesis 6. Higher the team collective efficacy, higher the team engagement. Hypothesis 7. Higher the team learning behavior, higher the team performance. Hypothesis 8. Higher the team learning behavior, higher the team engagement. Total 157 team members in finance and airline industries were completed the survey in the working setting. SPSS and AMOS were used to examine 8 hypothes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trust among team members influences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performance. When team members perceive their teams are more trustful than the others, the degree of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performance is increased. Tha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fron the prior research reporting trust as an influential for team outcome. Second, perception of trust among team members doesn't affect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ngagement. When team members have higher trust about their team,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ngagement are not greater.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collective efficacy was a meaningful mediator between trust and team performance. Team learning behavior was also a meaningful mediator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sing input- process- output effectiveness model, which is a predominant framework for team effectiveness model, offers a broad prospective of team effectiveness. This study shows importance of harmonical interact with team members. Second, one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performance are increased when the degree of trust is higher.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performance are increased when the degree of collective efficacy is higher. It suggests some perspectives for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Management plans that can be improve high trust of team members are necessary for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examines trust that few studies have concentrate on. Trust is highly correlated with team effectiveness among many team variables and has potential to expl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 explored variance in measures of team effectiveness. However, this study also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limitation comes from partly selected variables. Even though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major factors to team effectiveness, including other variables would help us to more integrated team effectiveness model. Second, survey samples were composed of team members only. To ger more precise result, domain of survey should be enlarged to contain other important sources as well. Third, participated companies for the survey were service companies. Because of this, generalizing this theory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other business organization in different industries. Finally, because this study shows that effective trust and team learning behavior are not a direct determinant of team engagement, additional study on this subject is suggested.;급변하는 경영환경, 정보기술의 폭발적 증가, 지식기반 경제의 도래로 기업 간의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기업이 경쟁 상황에 대처하고 보다 유연하고 효과적인 조직 재구성 및 환경 적응력 확보를 위해 도입하는 여러 조직 혁신 기법들 중 하나가 바로 팀조직이다. 팀 조직에서는 구성적 특성 상 구성원 개인의 자율성, 자발적 협력, 효율성, 유연성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데, 이에는 작동기제로서의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신뢰는 기업에서의 직무 만족, 조직 몰입, 협동, 개인의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조직성과에 있어서의 중요한 결정인자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신뢰와 팀 효과성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변수들로 집단효능감과 팀 학습행위를 제시하고자한다. 이는 조직에서는 필요에 따라 팀에게 복잡한 과제들을 부여하고 팀 구성원들은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하는데, 이 때 이뤄지는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투입- 프로세스- 산출” 모형을 바탕으로 기업 상황에서 팀 효과성을 설명하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변수들 간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함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가 팀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가? 둘째, 신뢰가 팀 효과성 프로세스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가? 셋째, 집단효능감이 팀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가? 넷째, 팀 학습행위가 팀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가? 다섯째, 집단효능감과 팀 학습행위는 신뢰와 팀 효과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여섯째, 금융업과 항공업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팀 효과성 측정이 용이하도록 팀 단위로 근무하는 금융업과 항공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0년 10월 4주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 157명의 응답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중 70.1%가 여성이었고, 20대가 50.3%, 사원이 58.6%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설문지의 배부와 회수는 인터넷 전자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신뢰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 .290, p = .005)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모형 검증 결과 신뢰는 팀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팀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신뢰가 팀 효과성의 프로세스 요인들인 집단효능감과 팀 학습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신뢰가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 .749, p = .001)이었다. 연구 결과, 신뢰는 집단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팀 학습행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집단효능감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집단효능감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 .270, p = .009), 집단효능감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 .533, p = .001)이었다. 집단효능감은 팀 효과성 즉, 팀 성과와 팀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β 값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집단효능감은 팀 몰입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팀 학습행위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팀 학습행위가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 .233, p = .001)이었다. 팀 학습행위는 팀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팀 몰입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집단효능감이 팀 학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집단효능감이 팀 학습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β = .358, p = .001)이었다. 집단효능감은 팀 학습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매개효과 검증에 있어서는 신뢰가 집단효능감을 매개로 팀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Z= 2.57(ρ <.05)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하며, 집단효능감이 팀 학습행위를 매개로 팀 몰입에 미치는 간접효과 역시 Z= 2.87(ρ <.0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효능감이 신뢰와 팀 성과 간을, 팀 학습행위가 집단효능감과 팀 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모형 간 부합도 비교검증을 통해 경로모형의 어떤 모수치에 대해서도 두 집단 간에 동치제약을 두지 않은 비제약모형에 비해 모형 하의 모든 경로계수가 두 집단 간에 같은 것으로 제약하여 얻어진 구조계수모형에서 χ²D= 33.119, ρ=.000로서 금융업과 항공업 두 집단 간에는 모형 내 경로계수가 다르다는 것 즉,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팀에서 일하는 동료 간의 신뢰가 이루어지면 동료가 의존할만한 사람이라 느끼게 되면서 팀의 성과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신뢰가 형성되면 집단효능감, 팀 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직에서는 조직 전체 단위와 팀 단위에서 구성원 간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들을 마련하여 팀원 간의 교류를 증진시켜 상호간의 신뢰 구축과 믿음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돕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집단효능감은 구성원들이 느끼는 집단에 대한 신념이기 때문에 집단효능감이 높다면 집단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가 높아져 집단의 기능을 촉진시키고 집단의 목표와 일치하는 행동을 유발하게 함으로써 높은 팀 성과와 팀 몰입을 창출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과 팀 학습이 활발히 일어나면 지식을 공유하는 행위를 통해 그룹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져 팀 유효성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파악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 효과성의 영향요인 중 일부만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연구에 사용한 자료의 문제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팀 별로 수집한 개별 구성원들의 응답이었으나 이러한 설문으로 팀 전체의 특성을 알기는 어렵다. 또한, 개인수준의 분석을 통해 인지된 팀 효과성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여 이것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팀 성과를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 부문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판단되는 금융업과 항공업의 두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다른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까지 일반화하기 어렵다. 넷째, 본 연구는 결과변수 중 팀 성과를 객관적인 데이터 수집의 한계로 인해 지각정도로 측정하였다. 주관적인 서비스 성과 지각이 아닌 객관적인 성과지표를 사용하였다면 더 나은 연구의 결과가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신뢰가 팀 학습행위와 팀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6 II. 이론적 배경 9 A. 팀 9 B. 팀 효과성 10 1. 팀 성과 12 2. 팀 몰입 13 C. 신뢰 14 1. 신뢰의 개념 14 2. 신뢰가 개인 및 조직에 미치는 결과 16 D. 집단효능감 17 E. 팀 학습행위 19 F. 관련 선행연구 21 1. 팀 효과성 영향요인 관련 연구 21 2. 신뢰 관련 연구 24 3. 집단효능감과 팀 효과성의 관계 연구 27 4. 팀 학습행위와 팀 효과성의 관계 연구 28 G. 연구모형과 가설 30 III. 연구방법 32 A. 자료수집 대상 32 B. 측정도구 33 C. 자료수집절차 40 D. 자료 분석 41 IV. 연구결과 42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3 B. 측정모형의 검증 44 C. 매개효과의 검증 50 D. 집단 간 차이 검증 52 V. 결론 및 제언 59 A. 결론 및 논의 59 B.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3 참고문헌 64 부록 74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0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뢰와 팀 효과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효능감과 팀 학습행위의 매개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Learn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with coworker in Team and Team Effectiveness-
dc.creator.othernameKim, Min Seon-
dc.format.pagevi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