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교육과정 중심 수업에 관한 수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Title
교육과정 중심 수업에 관한 수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as to the Curriculum Centered Education
Authors
김인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희
Abstract
Curriculum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quality of school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education is the foundation for autonomy of school education, and it secures variety of school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teachers. However, active teachers lack awareness of significance of curriculum, function of curriculum and role of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centered education under the 2007 Amend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o mathematics teachers perceive curriculum? What is the function of curriculum that teachers expect? 2. What should be improved in curriculum for carrying out curriculum centered education actively? How do teachers try to advantage of improved curriculum? A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105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analysis were done to show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current curriculum is not good, just mediocre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 standard. They responded that the curriculum is necessary to be lucid in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as a standard. Most of them, trusted the content of the subject(mathematics) curriculum. About the role of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force of the law, they showed reluctance. They responded that educational direction,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 need to be described in detail and clearly. They felt the necessity of functions of curriculum as quality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as provision of guidelines and plan for class operating. Second, the teachers required improvement of curriculum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and for subject(mathematics) class operating. The teachers' responses about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we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the curriculum document form, they preferred a book in two volumes, one is general curriculum and the other is special(subject) curriculum, and Curriculum Guide is combined in them. Otherwise, they chose maintaining the present. In addition to this, there was a suggestion that summaries of curriculum would be made and distributed to each individual teacher. The responses of reforms in general curriculum were as follows. They preferred a little rough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Change of Curriculum. And they preferred a little more details on Curriculum Construc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The responses of reforms in special(subject) curriculum were as follows. They preferred a little rougher Background of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and Change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y preferred more details on Characteristic of Subject, Educational Objectives of Subject, Mathematics Curriculum Construction and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of Mathematics. The responses of unit reforms were as follows. They preferred more details on Characteristic of unit, Construction and Content of unit, Teaching exercise and Learning exercise. They responded that they will use the curriculum in planning classes, progressing classes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The teachers had a firm intention to use the reformed curriculum. Meanwhile,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as as follows. They were well aware of the content of general curriculum, and showed that they knew more about the content of special(subject) curriculum. They responded that they knew the mathematics contents of other grades, but generally don't know the mathematics contents of other ranks. Judging from this, we can anticipate that they have trouble in tier instruction. The results of curriculum utilization, teachers rarely use the curriculum in teaching classes. They usually use the textbooks in planning classes, and many teachers also use Guide Books for the teacher. 53.3% of the teachers taught classes without reading curriculum in a year. Only 16.2%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curriculum centered education was done in school and classes. To realize the curriculum centered education, the curriculum which is actually helpful and useful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each teacher. And the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curriculum developing. Through the teachers' participation, it can be comprehended the fields of education entirely, and then the needs of teachers can be reflected on curriculum. In addition to this, it requires institution's effort to change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individual teachers' exertion of studying curriculum.;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교육과정 중심 교육은 학교 교육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며,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육과정의 기능과 역할을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이해하고,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중심 수업에 관한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또,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 2. 교육과정 중심 수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또, 교사들의 개선된 교육과정에 대한 활용 의지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현직 수학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현행 교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교수•학습 자료 및 기준으로서 그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도, 그렇지 않다고도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준으로서 교육과정 기술 및 해석이 더욱 명료할 필요가 어느 정도 있다고 하였다. 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서는 교수•학습 자료로서 교과 교육과정이 기능해야 한다는 것에는 소극적이었으나, 교육과정 중심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신뢰하고 있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서는 법적 강제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나타냈으며, 교육 방향 및 교육 목표, 교육 내용 및 방법은 명료하고 상세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학교 교육의 질 관리 및 평가 기능, 학교 수업 운영을 위한 지침 및 방안의 제공 기능에 대해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측면에서나, 교과 수업 운영 측면에서 모두 교육과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교육과정 문서 체제는 해설서를 흡수시켜 총론과 교과의 2책 체제 또는 현재 체제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나, 요약 본 등을 제작하여 교사 개인이 교육과정을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견도 많이 있었다. 총론 부분의 개선에서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등은 개략적인 편을 선호하였고,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 배당 등은 조금 더 상세한 편을 선호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에서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등은 개략적인 편을 선호하였고, 교과의 성격, 교과 교육 목표, 교과 구성 체계 및 교육 내용 체계, 교과 교수•학습 방법 등은 상세한 편을 선호하였다. 영역(단원)의 개선은 성격, 내용 체계, 내용, 교수 활동, 학생 활동 모두 상세할 것을 요구하였다. 교육과정이 개선되었을 때, 교육과정을 수업 계획 및 진행, 교재 개발 등에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그렇다고 응답하여, 개선 교육과정을 활용할 의지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총론)에 대해 대체로 잘 알고 있었으며, 교과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총론에 비해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타 학년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해서도 대체로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타 학교 급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모른다고 응답하여 교과 내 연계 지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교육과정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교 수업에서 교육과정이 활용되는 경우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계획 시의 활용 자료로는 주로 교과서가 이용되었으며, 교사용 지도서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교과 수업을 위해 1년 동안 교육과정을 읽지 않은 경우는 53.3%를 차지했으며, 학교 수업에서 교육과정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한 경우는 16.2%로, 교육과정 중심 수업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교육과정 중심 수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과 수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활용 가능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각 교사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개발 시 교사의 참여가 이루어져,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해 파악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적극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다. 한편,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을 전환하기 위한 기관 차원의 노력과 함께 교사 스스로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탐구하고 연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