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조주연-
dc.creator조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22-
dc.description.abstract온라인 학습공동체(online learning community)란 공동의 목적을 가진 개인들이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적 지식을 창출하는 학습체제로(강명희, 임병노, 2002),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들은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협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배우며, 관심 영역에 대한 전문지식을 공유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한다. 온라인 학습공동체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게시판, 채팅, 이메일 등의 개방적이고 융통성이 높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다는 면에서 미래의 학습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Preece, 2000). 지금까지 연구된 온라인 학습공동체 효과성 관련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이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밝힘으로써(Moore & Kearsley, 1996), 다수의 연구결과들은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의 긍정적 관계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이렇게 양적연구로 진행된 연구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학습성과를 높이려면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학습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어떠한 양상이 학습자들이 사회적실재감을 높이는지 또는 학습성과가 높은 팀과 낮은 팀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 양상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명료한 규명을 하지 못함으로써,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구체적인 설계와 운영 전략을 도출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상호작용 연구와는 달리 상호작용의 유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질적 방법을 통한 상호작용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운영한 대학 강좌에서 강의가 종료된 후 학습성과가 높은 팀과 낮은 팀 그리고 사회적 실재감을 많이 인식하고 있는 팀과 그렇지 못한 팀을 선정하여, 이들 팀에서 이루어졌던 상호작용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의 방향과는 다르게 역방향으로 추적하여 이미 학습성과가 높은 팀과 낮은 팀 그리고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 인식하고 있는 팀과 그렇지 않은 팀 간의 상호작용 양상의 차이점을 내용적으로 규명하려는 의도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팀 학습성과가 높고 낮음에 따라 상호작용 양상 (빈도/변화)이 어떻게 다른가? 2.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팀 사회적 실재감 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호작용 양상(빈도/변화)이 어떻게 다른가? 3.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팀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 두 변인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호작용의 양상(빈도/변화)이 어떻게 다른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E대학에서 실시된 100% 온라인 수업을 선택하여, 4주 동안 협력과제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학습성과가 높은 한 팀과 낮은 한 팀 그리고 사회적 실재감 수준이 높은 한 팀과 낮은 한 팀으로 총 4팀에 소속된 21명의 학습자들로 선정되었다. 그 후 선정된 연구대상의 팀 프로젝트 게시판 메시지를 1주 단위로 수집 분류하였다. 연구도구는 동료연구자 2인과의 조율과정을 통해 완성된 분석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인지적 차원의 ‘인지활동’ 사회적 차원의 ‘팀 관리’, ‘협력촉진’, ‘갈등유발’, ‘친목활동’ 등 총 6개 유형으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성과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먼저 학습성과가 높은 팀은 낮은 팀에 비해 전반적으로 상호작용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 내용을 살펴보면, 학습성과가 높은 팀은 인지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팀 관리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수행을 위한 목표 지향적인 상호작용 유형이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빈도와 변화양상에서 두 팀은 차이를 보였다. 먼저 사회적 실재감이 높은 팀이 전체 상호작용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협력촉진 상호작용 유형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친목활동 위주의 상호작용 보다는 학습과 관련하여 칭찬 하거나, 팀을 동기화하는 상호작용이 사회적 실재감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 두 변인의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 두 변인 모두 높은 팀이 두 변인이 모두 낮은 팀보다 상호작용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 모두 높은 팀에서는 인지적 차원의 상호작용이 학습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 중반부 이후 인지적 상호작용의 증가가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있겠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의 다양한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유형의 빈도수와 그 변화 분석에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으므로, 팀 내의 다양한 상호작용 모습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편중된 몇몇 학습자 위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는지 혹은 다양한 학습자의 참여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것들이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측면의 상호작용 패턴을 반영하여 추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공적인 온라인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시기별 학습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학습 초반의 갈등유발 메시지는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과제 파악의 어려움과 관련한 갈등이 후반에 발생하지 않도록 초반에 이를 상세히 안내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과제 수행 중반과 후반에는 인지적 차원의 상호작용이 꾸준히 유지되고 증가하는 것이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공동체 진행 시기별로 촉진 및 지원되어야할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전략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만들어 정례화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An online learning community refers to a learning system that individuals who have the same objects create knowledge in collaboration through online interaction(Kang M. H., Lim B. H. 2002).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enables learners to improve their cooperat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required in modern society, and they construct knowledge through mutual interaction such as shar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ir interested fields.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is drawing attention as a future learning space in that it makes use of diverse open and flexible media like message boards, chat room or e-mail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Preece, 2000). So far, studies of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have failed to provide any clear information on what kind of communication could serve to boost the social presence of learners and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interaction aspects between teams with higher learning outcome and another teams with lower learning outcome. Under the circumstances, it's hard to formulate successful design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online learning communities. Unlike existing studies of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action in a selected online learning community in an effort to hav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interaction. After several teams that were different in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were selected, the aspects of interaction in the selected teams were compare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differences does the level of learning outcome make to the aspects of interaction(frequency and change) in the teams of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2. What differences does the level of social presence make to the aspects of interaction(frequency and change) in the teams of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3. What differences do the level of learning outcome and the level of social presence make to the aspects of interaction(frequency and change) in the teams of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s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outcome, the interaction frequency was larger in the teams that produced higher learning outcome than in the other teams that produced lower learning outcome in genera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s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prese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action frequency and aspects of change between the teams. The overall interaction frequency was larger in the teams with higher social presence. Specifically, a large disparity was found in the frequency of cooperation-facilitating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s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two variables that were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the interaction frequency was larger in the team with higher learning outcome and higher social presence than in another team with lower learning outcome and lower social presence. An increase in interaction in and after the middle stage of learning was identified as the variable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a wide variety of interaction patterns that affects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should be analyzed. For instance, whether interaction takes place just among some particular learners or whether many learners have a mutual interaction or not should be investigate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by selecting more diverse interaction patterns. Second, how to develop a learning assistance system for different stages should be studied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In this study, conflict-triggering messages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In the middle and latter stages of task performance, an increase in prolonged cognitive interaction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Therefore teaching-lear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what type of interaction should be facilitated and backed up in different sta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온라인 학습공동체 6 1.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개념과 특징 6 2.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환경 8 3.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학습 9 B. 사회적 실재감 12 1. 사회적 실재감의 개념 12 2. 사회적 실재감의 요소 16 C.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 20 1. 상호작용의 개념 20 2. 상호작용의 분석 21 D. 관련 선행 연구 26 1.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학습성과와 상호작용의 관계 26 2.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27 3. 사회적 실재감 관련 연구 3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34 A. 연구대상 34 B. 연구도구 35 1. 온라인 학습공동체 환경과 협력과제 35 2. 학습성과 측정 도구 37 3. 사회적 실재감 측정 도구 37 4. 상호작용 분석 도구 38 C. 연구절차 45 Ⅳ. 연구결과 46 A. 학습성과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 분석 46 1. 상호작용 메시지의 빈도분석 46 2. 상호작용 메시지의 변화 49 B. 사회적 실재감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 분석 52 1. 상호작용 메시지의 빈도분석 52 2. 상호작용 메시지의 변화 54 C. 학습성과 및 사회적 실재감 두 변인의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분석 57 1. 상호작용 메시지의 빈도분석 59 2. 상호작용 메시지의 변화 62 V. 결론 및 제언 68 A. 결론 및 논의 68 1. 학습성과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의 비교 68 2. 사회적 실재감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의 비교 70 3. 학습성과 및 사회적 실재감 두 변인의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의 비교 71 B. 의의 및 시사점 72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2 참고문헌 74 부록 81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61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Outcome and Social Presence to Interaction Aspects in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dc.creator.othernameJo, Joo Yeun-
dc.format.pagev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