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관계

Title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선명숙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청소년은 과도기적 단계를 거치면서 역할갈등, 장래에 대한 부담과 불안, 과중한 학업 부담 등의 스트레스로 인해 적응상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청소년 문제는 한번 발생하여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난 후에는 그것을 해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이후의 심리적, 사회적 발달과 적응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양한 종류의 사회부적응을 낳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돕기 위해서는 기존의 문제 해결 중심의 접근이 아닌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와 관련해 최근 심리학의 한 분야로 강조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긍정심리학에서는 인간의 강점을 증진, 계발하는 것이 심리적인 부적응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예방 중심적 시각은 청소년을 이해하고 그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관점이다. 또한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청소년을 이해하기 위해 긍정심리학의 주요개념이라 할 수 있는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이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잠재력을 실현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좌절하거나 사회부적응 문제를 보이지 않고 건강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고찰해 보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지만,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만 일부 있을 뿐,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청소년을 이해하는 주요개념인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는 한 차례의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되었으며, 완성된 설문지는 2010년 10월에 배포 및 회수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8개 학교 1, 2, 3 학년 580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선정하였으며 이중 52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단계선택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평균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별에 따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 평균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안녕감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을 더 개방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 집단만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을 더 역기능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개방적으로 지각할수록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만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역기능적으로 지각할수록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안녕감에는 아버지-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어머니-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이, 여학생의 안녕감에는 아버지-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버지-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의 자기효능감에는 어머니-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이, 여학생의 자기효능감에는 어머니-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버지-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학생의 자아탄력성에는 어머니-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이, 여학생의 자기효능감에는 아버지-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버지-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향상과 관련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논의와, 교육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Adolescents experience various problems of adaptation due to tremendous stress caused by role conflict, anxiety regarding their future, and excessive study pressure as they go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The stress they suffer from affects their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and development even after adolescence, which causes diversified problems for social misfits. Once these problems reach a serious level it consequently provokes social problems, making them difficult to resolve. Therefore, a new approach rather than the ‘problem-solving’ perspective is required an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ocus attention to recent studies on Positive Psychology. The positive psychology emphasizes that problem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re possibly prevent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strengths and virtues. This preventive perspective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youth and encouraging their healthy development. Thus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which are key concepts in positive psychology are worthy of notice. According to the research, adolescents are able to overcome negative emotions (i.e. anxiety, depression etc.), realize their potential, and develop themselves even under stress by strengthening their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For this reason,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those factors needs to be accumulated and developed.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variabl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ould affect the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Surprisingly,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ego-resilience.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which seek comprehensive explanation on the relation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in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First and foremost, it attempts to analyze the variation in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among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t attempt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communication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ird, it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the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ego-resilience. Lastly, it identifies the impa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the sense of well-being/self-efficacy/ego-resilience. Hereup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her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criterion 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investigation. Revis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October 2010. A sample of 580 students from freshman, junior, senior year was selected from 8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onsequently, 536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f which 527 of them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WIN 16.0 program using the following methodology. First,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the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Second, the 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communication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i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typ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ourth, amo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identifying the impa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 in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mean value. Among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nly sense of well-being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in comparison to male students. Aside form sense of well-being, other variable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econd, in regard to the difference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communication,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tudents perceived maternal communication more openly compared to paternal communication. However, female students perceived that maternal communication produced more adverse effect than paternal communication.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verall students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more ope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the higher the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ego-resilience were produced. For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when they perceive the communication negatively, their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decreased. Fourth, in reference to the impact of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patern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and matern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e of well-being for male students. For female students, parent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and adverse effect of paternal-adolescent communication was influential to sense of well-being. In terms of self-efficacy, matern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was influential for male students. For female students, matern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and the adverse effect of paternal-adolescent communication exerted significant impact. Lastly, in reference to ego-resilience, matern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for male students. For female students, paternal-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and the adverse effect of paternal-adolescent communication were influentia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nse of well-be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s also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