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중등음악교사들의 인식조사

Title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중등음악교사들의 인식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uthors
이승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인식과 지도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 음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 음악교육과 관련된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조사‧분석 하였으며, 서울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김용기(2002)와 여서현(2010)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 항목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 문제들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 또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은 교차분석(Chi-square analysis)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는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문화 음악의 수업 빈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감상과 가창 영역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문화 음악은 음악 교과 내에 좀 더 비중 있는 영역으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 음악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악곡들은 특정 장르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다. 즉, 문화권에서는 유럽음악, 종교음악에서는 기독교 음악, 대중음악에서는 뮤지컬 음악이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처럼 일부의 특정 영역에 편중된 교과과정은 보다 다양한 음악을 다루도록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음악교사들은 다문화 음악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다문화 음악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로는 '다문화 음악 관련 교육 자료의 부족', '교과서 내에 다문화 음악 부분의 적은 비중', '다문화 음악에 관한 연수기회의 부족'등이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다문화 음악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집중도, 호응도, 이해도로 나누어 조사되었는데, 집중도와 호응도에는 다소 높은 반응을 보인 반면, 이해도의 경우는 보통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다문화 음악 교육 프로그램 및 지도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사들은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지도환경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다문화 음악 관련 학습자료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지 않았으며, 다문화 음악교육환경의 적합성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효과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해 관련 학습자료를 마련할 수 있는 학습환경이 구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음악교육이 현재 수업에서 드러내는 문제점을 점차적으로 해소하여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개방성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중요한 음악수업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to discuss how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o reach the solution, studying of the related documents and preceding studi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100 music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in Seoul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version of Kim(2002) and Yeo(2010). The collected data was measured by frequency, percentage, descriptive with SPSS win 12.0 program.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group relations, X²(Chi-squa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well the necess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owever, they showed less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refore, re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is necessary. Second, the result says few class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were offered and most of these classes focus on listening and singing the multicultural music. To improve this,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hould account for a greater part of the music curriculum in school. Third, music dealt with in the multicultural music class was limited to certain types of genre, especially European music in culture sector, Christian music in religious sector and musical song in pop music. This narrow music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to teach more various types of music. Forth,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music teachers had difficulty teaching the multicultural music. This is owe to the shortage of the materials of the multicultural music, small portion of the multicultural music in the music textbooks and lack of the multicultural music-teaching training for teachers. Fifth, most of students had positive opinions about the multicultural music. Students' replies to the questionnaire about the multicultural music segment into three parts: concentration, response and understanding level. The result showed that concentration and response level was high while understanding level was normal. To enhanc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music, it was required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and a guidance plan for teachers. Sixth, teachers were generally not satisfied with the teaching environment, especially materials of the multicultural music. Teachers also responded negatively when asked whether environment of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appropriate for students.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for the effectiv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Nowadays, many different cultures and races live together in Ko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study of the Korea's curren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ality must take precedence. This study will help solve the current problems so that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