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대학생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의 결과보고 및 활용방안 탐색

Title
대학생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의 결과보고 및 활용방안 탐색
Other Titles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 Reporting the Results of Interpersonal Skills Diagnostic tool And Search for Utilization
Authors
박주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태제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is to develop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psychomotor behavior in harmonic manner. However recent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merely focus on basic academic skills, training and evaluation of the cognitive perspective. It is needed to develop a measurement of evaluation based on the purpose of a college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and nurture talents for society. For this reason, Korea KRIVET the college vocational basic skills diagnostic tools(Core competency assessment) to introduce promoted in 2010 the current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nder the chairmanship of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online college was established. Core competency is engaged in any profession, even i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communication skills, Resources, Information & Technology skill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Global competency, interpersonal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and consists of 6 different areas. Of these Interpersonal skills, Emotional bonding, Teamwork, Mediation, Leadership, System thinking that was significant impacted to a modern organization of society. Despite it's one of important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society, it's insufficient giving feedback on the test results of interpersonal skills. Therefore when viewed in report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feasibility repor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ults measurement tools, Interpersonal skills, the results of diagnostic tools in the reporting system needs to provide students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to obtain what is causing the difference i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higher education to explore ways to help is necessary. This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on sex, grade, academic field, university location are chosen depending on the level of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by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est in reporting the results to provid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for students that is a purpose of this. Also, select the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studen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navigation in the resulting report is to provide a level of achievement. Furthermore, these results based on interpersonal skills in a college education can improve the effective and will give suggestions on ways. Interpersonal skills, sex, grade, department, college location, depending on whether you receive accurate to verify the measurement error is controlled latent variables using the average compared to latent mea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gender difference except for in emotional ties, analysis of the potential sub-scores in wome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peration and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students at school for use as a basis for interpersonal gender differences in test results. Second, freshmen year's potential average was the lowest in result of differences by grade in all capital area, Senior year's potential average is higher than Freshmen year in all the capital area. The result of re-measure the average in comparison with the difference between freshmen and Senior was greatest, and for freshmen, sophomore, junio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subarea. Third,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the analysis of family cooperation and emotional ties, except, mediation, leadership,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the potential average was higher tha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an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differences by college lo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ll capital area's potential average was higher than out of capital area and leadership,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t the level of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and studen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clusters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4 pieces. The clusters were extracted named to the excellent group, and normal group, the lack of a group, depending on excellent interpersonal skills and characteristics. There i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results of each cluster according to gender, grade, colleges addresses, except for college departments. Male's group of the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superior group was higher percentage than the girls in the group. Female's ordinary group and the excellent group was higher than male's. In addition, freshmen year and sophomore year of the ratio was higher in the group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senior year rates were higher in the superior group. Looking at colleges by location,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group and normal group was higher proportion in the out of capital area, but excellent group and excellent group rate was higher in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is result of study, if interpersonal skills of existing diagnostic tools in the test report were only provided standards, and test score of the entire group the test scores. It should be presented the results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student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groups and they can pinpoint the position.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provided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the positions of themselves. Therefore in this study, interpersonal skills of results of diagnostic tools were suggested considering of above. It suggested standards of difference between freshmen year and senior year in Interpersonal skills of diagnostic tools' reporting the results. Present level of achievement was to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results by using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us, It is necessary to app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interpersonal skills' diagnostic tools reporting the results of the tests. The results reported should reflect the subjects of the attribut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 Also, it should be presented directly to the level of subjects to take advantage of the variety of resul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rriculum in a college education to improve nurture interpersonal skills. It is necessary to a college to provide a variety of programs and developed content to college students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out of classroom. Also it should be continued to test of the interpersonal skills for future research and study.;교육은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심동적 행동의 세 가지 측면을 조화롭게 변화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에서는 학문기초능력, 즉 인지적 영역의 교육과 평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교육의 목적은 인격을 도야하고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것에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가할 수 있는 진단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의 도입을 추진하였으며,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주도 하에 온라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은 어떤 직업에 종사하더라도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인 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자원정보기술의 활용능력, 종합적 사고력, 글로벌 역량,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역량 등 총 6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대인관계능력은 정서적 유대, 협력, 중재,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 조직사회의 팀 운영방식에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이 사회가 요구하는 중요한 역량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대인관계능력 검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은 미흡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대인관계 측정도구의 결과보고 방식 및 결과보고 타당성에 대한 선행연구에 비추어 보면,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의 결과보고 방식에 있어서도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대인관계능력과 관련된 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대학교육의 개선과 질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 학년, 계열, 대학소재지를 대학생 특성으로 선정하고, 대학생의 특성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검사 결과보고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선정하고 대인관계능력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특성을 탐색하여 결과보고에 있어서 성취수준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에 있어서 대인관계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능력이 성, 학년, 계열, 대학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정확하게 검증하고자 측정오차가 통제된 잠재변수를 이용하여 평균비교를 하는 잠재평균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정서적 유대를 제외한 하위영역에서 남학생의 잠재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협력과 중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대인관계 검사의 결과에서 성차가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둘째, 학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1학년의 잠재평균이 가장 낮았고, 재척도화된 평균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1학년과 4학년의 차이가 가장 컸으며, 1, 2, 3학년의 경우 하위영역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육에 있어서의 효과로 볼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취업을 앞둔 학년일수록 취업과 관련된 시험 방식과 익숙해졌기 때문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계열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협력을 제외한 정서적 유대, 중재,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에서 인문・사회계열의 잠재평균이 이・공계열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에 대한 이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가 모든 전공에 걸쳐 적용 가능한 공통영역으로 한정되어 선정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향후 전공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소재지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수도권의 잠재평균이 비수도권보다 높았고, 중재,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소재지에 따라 임금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지역 간 직업 시장의 불균형에 따른 대학 교육의 질 저하에서 비롯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설정하고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군집은 총 4개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군집은 특성에 따라 대인관계능력 탁월 집단, 우수 집단, 보통 집단, 미흡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각 군집에 따라 성, 학년, 계열, 대학소재지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계열을 제외한 성, 학년, 대학소재지에서 군집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대인관계능력 미흡 집단과 탁월 집단에서 여학생보다 비율이 높았고, 보통 집단과 우수 집단에서는 여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1, 2학년의 비율은 대인관계능력 미흡 집단에서 높았으며, 4학년은 탁월 집단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소재지별로 살펴보면, 대인관계능력 미흡 집단과 보통 집단에서는 비수도권의 비율이 높았으나, 우수 집단과 탁월 집단에서는 수도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에, 기존의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가 검사보고에 있어서 검사점수 및 전체 집단의 규준만을 제공하였다면, 앞으로는 집단 차이를 고려한 결과를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자신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본인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성취수준을 제공하여 자신이 위치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의 결과보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차이분석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1학년과 4학년 간 차이를 보였던 학년 규준을 제시하였고, 군집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성취수준을 제시하여 결과 해석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의 검사 결과보고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피험자 집단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피험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특성에 따라 결과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결과보고에 있어서 이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성취수준을 제시하여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대학교육에서는 대인관계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 내에서 수업 외에 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소재지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비수도권 대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대인관계능력 진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앞으로 결과보고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